본문내용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론은 우리가 생각해왔던 이타적인 행동에 대해서 그것이 종간의 이익을 도모하기 위해서라는 ‘집단 선택 설’을 반박하며 유전자의 중심에서 우리의 행동을 서술한다. 생명체 대부분의 행동-여기서 대부분은 인간을 제외-은 ‘이기적’인 유전자가 자신의 사본을 널리 퍼뜨리기 위해서 진화하며, 적응하며 일으키는 행동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내가 책에서 본 것 중에 예를 들자면 우리가 평소 의아해 했던(그렇지 않을지 몰라도) 부모의 자식에 대한 전념은 사랑과 애정 때문이라는 관념과는 다르게, 이것은 유전자의 관점에 대해 ‘이기적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자식은 부모에 대해 50퍼 의 근연도를 갖는다. 모든 개체가 자신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을 확률은 100퍼 이므로 자기 자신을 돌보는 것이 보통으로는 자식보다 우위를 차지한다. 그러나, 부모는 자식보다 더 늙었고 생식의 가능성도 드물다.
키워드
추천자료
독후감(파페포포 메모리즈, 딥스, 마지막 잎새, 사회 계약론,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명심보...
[A+독후감] 제인구달의 희망의 이유 中 <연민과 사랑>을 읽고...
인체생물학 독후감 - J.D.왓슨의 ‘이중나선’을 읽고-
[독후감] 과학혁명의 구조(토마스S.쿤)
[인생을 바꾸는 게임의 법칙을 읽고] 전략적 사고의 필요성(독후감)
'마음을 움직이는 힘 배려'를 읽고 독후감
게놈의 기적 을 읽고 독후감 (크레이그 벤터)
[독후감] 히가시노 게이고 (東野圭吾/Higashino Keigo)의 <플래티나 데이터>를 읽고
‘욕망의 진화’를 읽고.
[독후감] 자본주의를 위한 가장 아름다운 이야기 『한국의 보노보들』을 읽고... _ 안치용, ...
[독후감] 『힐 더 월드 (Heal the world)』를 읽고 _ 국제아동돕기연합 저
[독후감] 히가시노 게이고(東野圭吾)의 <플래티나 데이터(プラチナデ-タ)>를 읽고
[독후감] 개인의 악덕은 사회의 이익이 될 수 있는 가 -『꿀벌의 우화: 개인의 악덕, 사회의 ...
[독후감] 조나단 싱어 (S. Jonathan Singe)의 ‘자연과학자의 인문학적 이성 죽이기 (The Spl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