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만시기별 간호중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만시기별 간호중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Lavandula angustifolia (lavender)
Boswellia carterii (frankincense)
Salvea sclarea (clary sage)
Mentha x piperta (peppermint)
Citrus limon (lemon)
Citrus reticulata (mandarin zest)
Rosa centifolia (rose absolute)
Jasminum grandiflorum (Jasmine absolute)
Eucalyptus globulus (Eucalyptus)
Anthemis nobilis (Roman chamomile)
아로마테라피는 임신에 관계된 위험 요소에 상관없이 원하는 모든 산모에게 실행되었다. 산모의 선택과 별론으로 유일한 거절 기준은 다양한 알러지였다. 아로마테라피를 사용한 산모들은 같은 병동의 그렇지 않은 산모들에 비해 경막외 마취를 하지 않는 비율이 의미있게 높았다(Burns, 2002). 병동 내 합성 오피오이드의 사용률이 1990년 6%에서 1998년에는 0.4%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영국에서 특히 낮은 비율이다(대다수 산모 병동에서의 평균은 40%이다). 아로마테라피를 받은 산모의 아기들에게서 식별될 만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산모와 간호제공자들은 서비스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2004년에 나는 이탈리아의 밀라노에서 분만 동안의 아로마테라피에 대한 2번째 연구를 시시하였다. 이것은 무작위로 추출하여 통제하여 추적하는(RCT; randomised controlled trail) 디자인으로 830명의 산모 표본을 포함한다. 목적은 아로마테라피의 적용이 분만시 개입을 줄이고 정상적인 출산율을 높일 수 있는가이다. 5가지의 에센셜 오일이 사용되었고 표2에 열거되어 있다.
[표2] 2004년 밀라노 연구에 사용된 에센셜 오일
Anthemis nobilis (Roman chamomile)
Salvea sclarea (clary sage)
Boswellia carterii (frankincense)
Lavandula angustifolia (lavender)
Citrus reticulata (mandarin zest)
이탈리아의 동료들과 함께 이 추적에 대한 보고서를 진행하는 과정 중에 있기 때문에 나는 산모와 조산사들이 아로마테라피를 높이 평가하고 아기들에게 관련된 부작용이 없다는 사실외에는 자세히 언급할 수 없다.
3 이러한 발견이 왜 아기들에게 중요한가?
분만동안의 신경-호르몬의 상호 작용은 매우 민감하고 복잡하다. 간호제공자들의 목표는 아기를 낳기 위한 산모들의 대처법과 생리적인 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섬세한 균형을 유지하고 촉진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일을 하는 것이어야 한다.
효과적인 자궁 수축에 필수인 옥시토신은 분만 과정의 중요 호르몬이다. 그러나 이 호르몬의 분비는 산모가 통증에 접해 불안이나 공포를 느끼게 되면 쉽게 방해받을 수 있다. 아로마테라피는 산모가 종종 새로운 환경(병원)에서 분만할 때 겪는 불안을 조산사가 도와줄 수 있는 수단이다.
자신의 통증을 조절할 수 있는 산모들은 쉽게 주위를 돌아다닐 수 있고 다른 자세를 시도할 수 있다. 이동성과 이완은 옥시토신의 분비를 쉽게 한다; 이것은 보다 짧고, 덜 고통스러운 분만을 가져온다 (Odent, 1999; Ginese and Niescierosica, 1998a; 1998b). 이것은 필연적으로 아기가 골반을 통과하는 동안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산모가 이완하게 되면 태반의 관류가 최대로 되므로 태아에게 산소 공급이 잘 되게 된다. 효과적인 옥시토신의 순환은 또한 최초의 수유와 이후 수유의 정착에 매우 중요하다 (Kroeger, 2004; Newton and Newton, 1950).
분만 동안 사용되는 모든 약물은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합성 오피오이드의 사용은 아기에 대한 부작용의 증거와 산모의 고통을 효과적으로 줄이지 못하기 때문에 스칸디나비아에서 금지되었다. 진정제를 투여받은 산모는 주변을 쉽게 돌아다닐 수 없고 침대에만 누워있어야 하는데 이는 태아가 골반 안에서 내려오는 것을 도와주지 못한다 (Bricker and Lavender, 2002). 오피오이드는 느리게 대사하고 태반 안을 쉽게 가로질러 태아의 순환에 들어가기 때문에, 위험 요소를 야기할 수 있고 출산 후 아기가 젖을 빠는 능력을 감소시킨다. 신생아에게서 발견되는 오피오이드의 레벨이 출산 후 4일까지 이른다 (Riordan et al., 2000; Righard and Alade, 1992; Kuhnert et al., 1985; Belfrage et al., 1981).
경막외 통각 상실은 더 길어진 분만과 관련이 있으며, 내적인 분비를 국부적으로 억제하는 역할로서의 옥시토신의 합성적인 정맥 주사의 필요성이 증가하는 분만과 연관이 있다. 이것은 또한 기계를 이용하고 수술에 의한 분만율이 높은 것과 관련이 있다; 감각이 마비된 산모는 침대에 누워 있어야 하며 태아를 밀어낼 힘이 거의 없다(Howell, 1999). 기계적인 출산은 아기에게 정신적인 외상을 가져와 수유의 성공적인 정착을 방해하고 (Kroger, 2004), 신생아 행동을 억제한다 (Ransjo-Arvidson et al., 2001).
4 결 론
아로마테라피는 모든 산모들에게 선택될 순 없지만 기꺼이 시도해보고자 하는 산모들에게 유용한 선택권이 될 수 있다. 나는 이것이 조산사들이 산모들과 동조하고 그들을 대하는 기본적인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과정에 참여하는 동안 그들은 분만의 생리학에 대해 보다 큰 이해와 존중을 얻게 된다.
Ⅵ 참고문헌여성건강간호학Ⅱ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수문사
2012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Ⅰ
유은광 외 9
현문사
2008
모성신생아·여성건강간호학Ⅰ
하영수 외 7
신광출판사
2009
모성여성건강학Ⅰ
이경혜 외 7
신광출판사
2003
PAEDIATRIC CARE Volume 2, Issue 2
Ethel Burns
2005
여성건간간호학회지 제17권
이미경, 허명행
2011
  • 가격4,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2.12.05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40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