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두개내압의 개념
2. 두개내압 상승의 영향요인
3. 두개내압 상승의 증상과 징후
4. 두개내압 상승 관리
5. 두개내압 감시
6. 간호중재
-참고문헌
2. 두개내압 상승의 영향요인
3. 두개내압 상승의 증상과 징후
4. 두개내압 상승 관리
5. 두개내압 감시
6. 간호중재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규칙적으로 나타나며, 최대 압력은 20-50mmHg이다. B파가 나타나면 뇌의 탄성이 감소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C파는 높지 않은 압력으로 일시적으로 분당 4-8회 정도의 파동이 보인다. 최대 압력은 20mmHg 까지 오르지만 임상적인 의미가 없으므로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3) 두개내압 감시 시 감염관리
두개내압 감시를 하고 있는 환자는 감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집중 감시와 관리가 필요하다. 다음과 같은 경우는 특별히 감염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뇌실 내 도관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 5일 이상 두개내압 감시를 하고 있는 경우
· 뇌척수액 누출이 있는 경우
· 전신감염이 있는 경우
· 지속적인 두개내압 감시를 위해 도관을 새로 교체한 경우
6. 간호중재
1) 자료 수집
두 개 내압 감시장치를 갖고 있는 환자에 대한 적절한 간호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중재가 필요하다. 첫째, 두개내압 파형을 감시하고 그 의미를 해석해야 한다. 비정상적 파형은 뇌의 탄성의 변화를 의미하므로 집중적인 감시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두개내압 상승의 증거가 뚜렷할 경우 담당 의사에게 알리도록 한다. 매 시간마다 뇌관류압을 산출하고 기록한다. 뇌관류압은 평균 동맥압과 두개내압의 차이다.
2) 두개내압의 정확도와 파형
두개내압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재영점화를 하고, 도관이 제 위치에 있는지 매일 확인해야 한다.
3) 내부 변환기 장치 관리
내부 변환기 장치로 두개내압 감시를 할 경우에는 도관을 삽입한 후에는 재영점화가 불가능함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또한 광섬유 변환기가 도관 끝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특히 케이블을 밴드로 고정하지 않아야 한다.
4) 감염 위험 감소
도관 삽입 부위는 건조 멸균 드레싱 상태를 유지하고, 일정에 따라 드레싱을 교환한다. 삽입부위에 감염의 징후나 뇌척수액 누출이 없는지 감시한다. 모든 두개내압 감시장치의 연결부위는 잘 고정하며 무균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5) 뇌척수액 배액
배액 집합관의 높이를 감시하고, 담당의사의 처방에 따라 이주(몬로공의 해부학적 외적 지표)를 기준으로 챔버의 높이를 고정한다. 뇌척수액의 급격한 배액을 방지하기 위해 챔버의 높이를 이주 이하로 두지 않도록 한다. 뇌척수액의 색과 투명도, 그리고 배액량을 감시한다. 검사를 위해 뇌척수액을 취할 때는 절대적으로 무균적 방법으로 시행한다.
참고문헌)
최신 중환자간호-수문사
3) 두개내압 감시 시 감염관리
두개내압 감시를 하고 있는 환자는 감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집중 감시와 관리가 필요하다. 다음과 같은 경우는 특별히 감염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뇌실 내 도관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 5일 이상 두개내압 감시를 하고 있는 경우
· 뇌척수액 누출이 있는 경우
· 전신감염이 있는 경우
· 지속적인 두개내압 감시를 위해 도관을 새로 교체한 경우
6. 간호중재
1) 자료 수집
두 개 내압 감시장치를 갖고 있는 환자에 대한 적절한 간호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중재가 필요하다. 첫째, 두개내압 파형을 감시하고 그 의미를 해석해야 한다. 비정상적 파형은 뇌의 탄성의 변화를 의미하므로 집중적인 감시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두개내압 상승의 증거가 뚜렷할 경우 담당 의사에게 알리도록 한다. 매 시간마다 뇌관류압을 산출하고 기록한다. 뇌관류압은 평균 동맥압과 두개내압의 차이다.
2) 두개내압의 정확도와 파형
두개내압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재영점화를 하고, 도관이 제 위치에 있는지 매일 확인해야 한다.
3) 내부 변환기 장치 관리
내부 변환기 장치로 두개내압 감시를 할 경우에는 도관을 삽입한 후에는 재영점화가 불가능함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또한 광섬유 변환기가 도관 끝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특히 케이블을 밴드로 고정하지 않아야 한다.
4) 감염 위험 감소
도관 삽입 부위는 건조 멸균 드레싱 상태를 유지하고, 일정에 따라 드레싱을 교환한다. 삽입부위에 감염의 징후나 뇌척수액 누출이 없는지 감시한다. 모든 두개내압 감시장치의 연결부위는 잘 고정하며 무균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5) 뇌척수액 배액
배액 집합관의 높이를 감시하고, 담당의사의 처방에 따라 이주(몬로공의 해부학적 외적 지표)를 기준으로 챔버의 높이를 고정한다. 뇌척수액의 급격한 배액을 방지하기 위해 챔버의 높이를 이주 이하로 두지 않도록 한다. 뇌척수액의 색과 투명도, 그리고 배액량을 감시한다. 검사를 위해 뇌척수액을 취할 때는 절대적으로 무균적 방법으로 시행한다.
참고문헌)
최신 중환자간호-수문사
추천자료
폐암 환자의 간호중재
신경외과 데일리
요붕증 진단과 간호중재 및 치료
성인간호학 근골격계 손상 및 간호 (사진有)
심근경색증 혹은 심부전증으로 심박출량 저하가 있는 노인환자의 간호문제와 간호중재법을 기...
11개년 간호사 국가고시 경향 분석
골다공증 대상자 간호중재
신부전(Renal failure)의 치료와 간호중재
[노인건강문제관리] 지역사회 연계를 위한 간호중재
[성인간호학]당뇨병의분류,일반적인치료중재및나타날수있는합병증과이에대한간호,당뇨병합병...
[노인간호학] 노인의 환경과 안전, 노인의 환경적 요구, 노화관련 안전위험요인, 노화관련 안...
분만3기, 분만4시, 태반박리기, 태반만출기, 만출태반의사정, 분만3기간호중재, 분만3기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