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쌍구균에게 주어 형질전환 시켰다라는 생각을 가졌지만 제대로된 이해를 하지 못했고 이후 DNA가 그물질임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분자유전학의 전환점이 되었다. 그당시 DNA 보다는 단백질이 유전정보를 담고 있기에 더 적합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차후에 왓슨과 크릭이 DNA 구조를 결정하고 나서야 DNA가 유전정보를 암호화 한다는 것이 확실해 졌다. 현재는 세포를 CaCl로 처리해 인위적으로 형질 전환을 유도 하고 있으며 세포막을 DNA에 대해 보다 투과성있게 만드는 대표적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를 통해 자연적으로 수용성이 없는 E.coli 까지 성공적으로 형질 전환 시키고 있다. 이때 형질전환 하는 DNA 양은 형질전환 빈도를 높이기 위해 자연계의 정상적인 농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만들어 준다.
추천자료
competent E-coli & Transformation
Transformation of competent E. coli(예비 및 결과)
Transformation of competent E. coli (대장균의 형질전환) 실험 레포트
[생물학] 미생물 형질 전환(Competent cell transformation) 실험
[분자유전학실험]2.Competent cell prep & Transformation of E. coli
Transformation of the Competent E. coli cell - 형질전환을 하기위해 competent cell을 만...
[생물학 실험보고서] 수용성세포 (Competent cell) 준비실험
경희대학교 분자생물학 실험보고서 DNA subcloning - Competent cell (Com.cell), 암피실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