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날짜
3. 실험방법
4. 실험 결과
1) 레이놀드 수 측정
2) 손실두 측정
5. 고찰
6. 숙제
(1)U자 마노미터와 경사마노미터의 차이와 경사마노미터를 쓰는 이유
(2)벤추리미터, 직관, 플랜지, 오리피스가 쓰여지는 곳과 장단점
(3)중요용어 풀네임(full name)
2. 실험날짜
3. 실험방법
4. 실험 결과
1) 레이놀드 수 측정
2) 손실두 측정
5. 고찰
6. 숙제
(1)U자 마노미터와 경사마노미터의 차이와 경사마노미터를 쓰는 이유
(2)벤추리미터, 직관, 플랜지, 오리피스가 쓰여지는 곳과 장단점
(3)중요용어 풀네임(full name)
본문내용
마찰에 의해서 보통의 흐름이 방해를 받을 때 혹은 층계에 분리가 생겼을 때 form friction등에 의한 손실이 얼마나 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었다. 손실두를 구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값이 필요한데, 실험 조건을 조절하여 물의 속도와 이음관 사이의 압력차만으로 손실두를 구할 수 있었다. 압력차는 마노미터를 이용하여 구하였고, 속도는 첫 번째 실험처럼 질량유량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었다. 실험시 유의할 점은 실험하기전에 물을 틀어 놓아서 관내에 공기를 모두 뺀 후에 실험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압력차와 질량유량을 구하는데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손실두는 압력차와 속도에 의해서 그 결과값이 나오게 된다.
오차의 원인을 분석해보면
첫째로 실제유속과 이론 유속을 비교해 보면 차이가 발생한다. 이 차이가 손실두를 측정하는데 하나의 오차로 작용하게 되었다. 그 원인은 질량유량 측정시 조금의 오차가 발생하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관벽 내의 마찰을 정확히 알 수 없었다는 것도 오차의 원인이 된다.
둘째로 압력차이를 구함에 있어서 오차가 생길 수 있었다. 마노미터를 이용하여 압력차를 구할 때 마노미터에 붙어있는 자로 높이 차이를 구하였다. 마노미터 안에 공기가 들어있었는데 이 공기가 압력차를 나타내는데 작용을 했기 때문에 유체만의 압력차를 구하지 못하였다.
6. 숙제
(1)U자 마노미터와 경사마노미터의 차이와 경사마노미터를 쓰는 이유
⇒마노미터중에 U자관 마노미터가 가장 단순한 형태이다. U자관에서 빗금을 그은 부분에는 밀도가 ρA인 유체 A가 들어있고, 그 위의 두 팔에는 밀도가 이보다 작아서 ρB가 들어있다고 하자. 두 유체는 서로 섞이지 않는다.
U자관의 두 팔에 각각 압력 pa와 pb가 미칠 때, 압력차(pa-pb)가 있으면, 두 팔에서 액면의 차이가 생길 것이므로, 이 차이의 수직 거리 Rm으로부터 압력차를 구할 수 있다.
그림 1. U자관 마노미터 그림 2. 경사형 마노미터
그림 1.에서 점 1의 압력이 pa이므로, 점 2의 압력은 pa+g(Zm+Rm)ρB가 된다. 한편 점 3의 압력은 이다. 유체정역학의 원리에 따르면, 점 2의 압략과 점 3의 압력은 같다.
-----①
이 식을 정리하면
-----②
압력차가 작을 때는 그림 2.과 같은 경사형 마노미터를 사용하면 편리하다. 마노미터의 한 팔을 기울이면 Rm이 작아도 액면차의 길이가 R1으로 커진다, 경사각이 α이면, 가 되므로, 압력차가 작아도 읽음이 커진다.
(2)벤추리미터, 직관, 플랜지, 오리피스가 쓰여지는 곳과 장단점
⇒벤추리 미터
사용용도 : 상류 원뿔에서는 유속이 증가하면서 압력이 감소하는데, 이 압력강하를 유량측정에 이용한다. 벤츄리 미터로 기체의 유량도 측정할 수 있지만, 대개는 물을 비롯한 액체 유량 측정에 쓰인다.
장점 : 벤츄리 미터는 압력 회복율이 크므로 다른 유량계에 비해 동력 소비량이 적다. 배출 원뿔에서는 유속이 감소하면서 원래의 압력이 거의 회복된다. 배출부는 각도를 5도~10도 정도로 적게 하여 경계층 분리를 막고 마찰을 줄인다. 수축 단면에서는 경계층이 분리되지 않으므로 하류 원뿔에 비해 상류원뿔은 아주 짧아도 된다. 일반적으로 상류 원뿔에서 손실되는 압력은 90%가 회복된다.
단점 : 벤츄리 미터는 일반 공장에서 사용하기에는 몇 가지 결점이 있다. 가격이 비싸고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며 목 지름/관 지름의 비를 바꿀 수가 없다. 미터와 마노미터 장치가 정해지면 측정 가능한 최대 유량도 고정되므로 유량 범위가 변하면, 목 지름이 너무 커서 정확한 측정치를 얻을 수 없을 수도 있고, 목 지름이 너무 작아서 최대 유량을 수용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오리피스 미터로 대체할 수 있지만, 동력 소비량이 크다.
⇒오리피스
용도 : 오리피스 미터는 유량측정장치 중 가장 간단한 장치이다.
장점 : 오리피스 유량계는 제작이 용이하고 값이 싸며 정확도가 크기 때문에 많이 이용된다.
단점 : 벤츄리 계수에 비해 오리피스 계수는 값이 작고 변동이 심하다. 따라서 오리피스 미터를 정량적으로 다루려면 검량하여 보정해야 한다.
오리피스를 통과할 때 속도두로 변화된 정압두의 상당부분이 회복되지 않고 손실되어 유체수송을 위한 소요동력이 증가하는 결점이 있다. 오리피스 지름과 관 지름의 비가 크면 이 손실이 적어지나 정확도가 떨어져서 관로 중의 오리피스를 붙이는 곳만 전후에 직경이 큰 관을 사용하여 오리피스를 통과할 때 유속을 적게 함으로써 오리피스 지름과 관지름의 비를 감소시킨다.
⇒직관
용도 : 벽이 두껍고 지름이 비교적 크며 길이가 20~40ft 정도로 보통인 관으로서 튜빙과 구별되며 유체의 수송에 쓰인다.
장점 : 금속직관에는 나삿니를 낼 수 있으며 벽은 다소 거칠다. 직관은 나사이음쇠나 플랜지 이음쇠를 사용하거나 용접하여 서로 연결이 가능하다.
단점 : 온도 변화를 받아 관이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단점이 있다.
⇒플랜지
용도 : 플렌지는 금속판 또는 금속 고리를 볼트(bolt)로 서로 맞추고, 그 면 사이에 가스킷(gasket)을 끼우는 것이다. 플렌지 자체는 나사, 용접 또는 땜에 의하여 파이프에 붙인다. 구멍이 없는 플랜지로서 파이프를 막는 데 사용하는 것을 블라인드 플렌지(blind flange, blank flange)라 한다.
장점 : 유리, 탄소, 주철처럼 깨지기 쉬운 재질로 만든 파이프는 플렌지나 끼워 넣기 연결구(bell-and-spigot joint)로 잇는다.
단점 : 용접 또는 땜에 의해 연결된 플랜지는 관의 분리시 관을 깨야하는 단점이 있다.
(3)중요용어 풀네임(full name)
레이놀드 수 : Reynolds number
층류 : laminar flow
전이영역 : transition region
난류 : turbulent flow
뉴튼 유체 : newtonian fluid
압축성유체 : compressible fluid
베르누이 방정식 : Bernoulli equation
벤추리 미터 : venturi meter
오리피스 미터 : orifice meter
마노미터 : manometer
손실두 : head loss
손실두는 압력차와 속도에 의해서 그 결과값이 나오게 된다.
오차의 원인을 분석해보면
첫째로 실제유속과 이론 유속을 비교해 보면 차이가 발생한다. 이 차이가 손실두를 측정하는데 하나의 오차로 작용하게 되었다. 그 원인은 질량유량 측정시 조금의 오차가 발생하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관벽 내의 마찰을 정확히 알 수 없었다는 것도 오차의 원인이 된다.
둘째로 압력차이를 구함에 있어서 오차가 생길 수 있었다. 마노미터를 이용하여 압력차를 구할 때 마노미터에 붙어있는 자로 높이 차이를 구하였다. 마노미터 안에 공기가 들어있었는데 이 공기가 압력차를 나타내는데 작용을 했기 때문에 유체만의 압력차를 구하지 못하였다.
6. 숙제
(1)U자 마노미터와 경사마노미터의 차이와 경사마노미터를 쓰는 이유
⇒마노미터중에 U자관 마노미터가 가장 단순한 형태이다. U자관에서 빗금을 그은 부분에는 밀도가 ρA인 유체 A가 들어있고, 그 위의 두 팔에는 밀도가 이보다 작아서 ρB가 들어있다고 하자. 두 유체는 서로 섞이지 않는다.
U자관의 두 팔에 각각 압력 pa와 pb가 미칠 때, 압력차(pa-pb)가 있으면, 두 팔에서 액면의 차이가 생길 것이므로, 이 차이의 수직 거리 Rm으로부터 압력차를 구할 수 있다.
그림 1. U자관 마노미터 그림 2. 경사형 마노미터
그림 1.에서 점 1의 압력이 pa이므로, 점 2의 압력은 pa+g(Zm+Rm)ρB가 된다. 한편 점 3의 압력은 이다. 유체정역학의 원리에 따르면, 점 2의 압략과 점 3의 압력은 같다.
-----①
이 식을 정리하면
-----②
압력차가 작을 때는 그림 2.과 같은 경사형 마노미터를 사용하면 편리하다. 마노미터의 한 팔을 기울이면 Rm이 작아도 액면차의 길이가 R1으로 커진다, 경사각이 α이면, 가 되므로, 압력차가 작아도 읽음이 커진다.
(2)벤추리미터, 직관, 플랜지, 오리피스가 쓰여지는 곳과 장단점
⇒벤추리 미터
사용용도 : 상류 원뿔에서는 유속이 증가하면서 압력이 감소하는데, 이 압력강하를 유량측정에 이용한다. 벤츄리 미터로 기체의 유량도 측정할 수 있지만, 대개는 물을 비롯한 액체 유량 측정에 쓰인다.
장점 : 벤츄리 미터는 압력 회복율이 크므로 다른 유량계에 비해 동력 소비량이 적다. 배출 원뿔에서는 유속이 감소하면서 원래의 압력이 거의 회복된다. 배출부는 각도를 5도~10도 정도로 적게 하여 경계층 분리를 막고 마찰을 줄인다. 수축 단면에서는 경계층이 분리되지 않으므로 하류 원뿔에 비해 상류원뿔은 아주 짧아도 된다. 일반적으로 상류 원뿔에서 손실되는 압력은 90%가 회복된다.
단점 : 벤츄리 미터는 일반 공장에서 사용하기에는 몇 가지 결점이 있다. 가격이 비싸고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며 목 지름/관 지름의 비를 바꿀 수가 없다. 미터와 마노미터 장치가 정해지면 측정 가능한 최대 유량도 고정되므로 유량 범위가 변하면, 목 지름이 너무 커서 정확한 측정치를 얻을 수 없을 수도 있고, 목 지름이 너무 작아서 최대 유량을 수용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오리피스 미터로 대체할 수 있지만, 동력 소비량이 크다.
⇒오리피스
용도 : 오리피스 미터는 유량측정장치 중 가장 간단한 장치이다.
장점 : 오리피스 유량계는 제작이 용이하고 값이 싸며 정확도가 크기 때문에 많이 이용된다.
단점 : 벤츄리 계수에 비해 오리피스 계수는 값이 작고 변동이 심하다. 따라서 오리피스 미터를 정량적으로 다루려면 검량하여 보정해야 한다.
오리피스를 통과할 때 속도두로 변화된 정압두의 상당부분이 회복되지 않고 손실되어 유체수송을 위한 소요동력이 증가하는 결점이 있다. 오리피스 지름과 관 지름의 비가 크면 이 손실이 적어지나 정확도가 떨어져서 관로 중의 오리피스를 붙이는 곳만 전후에 직경이 큰 관을 사용하여 오리피스를 통과할 때 유속을 적게 함으로써 오리피스 지름과 관지름의 비를 감소시킨다.
⇒직관
용도 : 벽이 두껍고 지름이 비교적 크며 길이가 20~40ft 정도로 보통인 관으로서 튜빙과 구별되며 유체의 수송에 쓰인다.
장점 : 금속직관에는 나삿니를 낼 수 있으며 벽은 다소 거칠다. 직관은 나사이음쇠나 플랜지 이음쇠를 사용하거나 용접하여 서로 연결이 가능하다.
단점 : 온도 변화를 받아 관이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단점이 있다.
⇒플랜지
용도 : 플렌지는 금속판 또는 금속 고리를 볼트(bolt)로 서로 맞추고, 그 면 사이에 가스킷(gasket)을 끼우는 것이다. 플렌지 자체는 나사, 용접 또는 땜에 의하여 파이프에 붙인다. 구멍이 없는 플랜지로서 파이프를 막는 데 사용하는 것을 블라인드 플렌지(blind flange, blank flange)라 한다.
장점 : 유리, 탄소, 주철처럼 깨지기 쉬운 재질로 만든 파이프는 플렌지나 끼워 넣기 연결구(bell-and-spigot joint)로 잇는다.
단점 : 용접 또는 땜에 의해 연결된 플랜지는 관의 분리시 관을 깨야하는 단점이 있다.
(3)중요용어 풀네임(full name)
레이놀드 수 : Reynolds number
층류 : laminar flow
전이영역 : transition region
난류 : turbulent flow
뉴튼 유체 : newtonian fluid
압축성유체 : compressible fluid
베르누이 방정식 : Bernoulli equation
벤추리 미터 : venturi meter
오리피스 미터 : orifice meter
마노미터 : manometer
손실두 : head los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