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후계자론
2.김정일의 등장
3.당 제 6차 대회와 김정일 후계체제의 확립
참고문헌
2.김정일의 등장
3.당 제 6차 대회와 김정일 후계체제의 확립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 관련이 있는 지역들이 혁명 사적지로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함께 그의 저작물들이 본격적으로 출판되어 대중학습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1987년부터 항일무장투쟁 시기 유격대원들이 그의 출생을 칭송해서 나무껍질을 벗겨 써놓았다는 각종 구호나무 발굴작업과 그에 대한 문헌학습도 대대적으로 전개되었다. 바로 이러한 가운데 수령 김일성은 1986년 5월 31일 김일성 고급당학교 창립 40주년 기념연설에서 조선로동당에서 \'수령의 후계자문제\'가 빛나게 해결되었음을 분명히 하였다. 이로써 조선로동당과 북한사회에 혁명적 수령관에 기초한 수령-후계자로 이어지는 유일지도체계의 최종 골격이 완성된 것이다.
이후 김정일은 1994.7 김일성이 사망한 뒤 3년동안 유훈통치를 하다가 1997.10 조선 로동당 총비서에 추대되었고 1998.9에는 헌법개정을 통해서 헌법개정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전체국가사회가 국가수반으로 공인한 국방위원장에 취임하였다.
참고문헌
□ 단행본
오일환 저 『현대북한체제론』 , 을유문화사 2000
이종석 저 『조선 로동당 연구』 , 역사비평사 1997
한용원 저 『북한학』 , 오름 1998
이교덕 저 『북한의 후계자론』 , 통일연구원 2003
이후 김정일은 1994.7 김일성이 사망한 뒤 3년동안 유훈통치를 하다가 1997.10 조선 로동당 총비서에 추대되었고 1998.9에는 헌법개정을 통해서 헌법개정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전체국가사회가 국가수반으로 공인한 국방위원장에 취임하였다.
참고문헌
□ 단행본
오일환 저 『현대북한체제론』 , 을유문화사 2000
이종석 저 『조선 로동당 연구』 , 역사비평사 1997
한용원 저 『북한학』 , 오름 1998
이교덕 저 『북한의 후계자론』 , 통일연구원 2003
추천자료
[북한문학의이해]북한역사소설 높새바람과 황진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북한문학의이해]1960년대 1990년대까지 북한문학의 주체문예이론 형성과 변화
[북한]북한의 대남 적화 통일 전략
[북한] 북한의 대외정책
[북한사회바로보기]북한의 정치체제와 권력구조의 분석 (각주, 참고문헌)
[북한문학]주체문예시대 북한문학의 특징에 대하여
[북한정치] 북한의 권력구조의 변화와 정치체제
[북한인권]북한 인권문제에 관한 쟁점과 해법
[북한문학]90년대 전반기 북한 단편소설속에 나타난 여성성의 전형 양태
(문화통합론과북한문학)북한 소설 「황진이」에 나타난 주인공의 '자유의지'에 대한 분석 및 ...
[북한의사회와경제] 북한의 군사력과 군사전략에 관해
[북한의 이해] 북한의 3대 세습 계보 및 내용.ppt
[북한의 사회와 경제 A형] 북한의 권력기관에 관해 논하시오.
[북한정치론] 김정은의 유일영도체계와 북한정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