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을유문화사 2000
이종석 저 『조선 로동당 연구』 , 역사비평사 1997
한용원 저 『북한학』 , 오름 1998
이교덕 저 『북한의 후계자론』 , 통일연구원 2003 1.후계자론
2.김정일의 등장
3.당 제 6차 대회와 김정일 후계체제의 확립
참고문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360원
- 등록일 2012.1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후계자론이 있다는 것을 통해 북한의 세습정치를 설명하고 있다고 본다. 서론에서 저자가 내제적인 접근법을 활용한다고 언급했든이 이러한 후계자론은 철저히 북한 내부적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는 결론이다. 하지만 권력의 계승에 대한 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후계자론은 북한 최고지도자들의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보고 그들의 집단적인 의지에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과연 김일성의 계속된 숙청 끝에 남게된 최고지도부가 김일성의 꼭두각시가 아니라 자발적인 의지가 있는 사실상 권력을 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주요내용
1. 서론
2. 사회주의 권력 계승론과 북한의 후계자론
3. 강요된 전시체제와 계속혁명의 요구: 1967~74
4. 김일성주의의 공식화와 지도자의 길: 1974~78
5. 우리식 사회주의와 김정일 혁명역사의 창조: 1978~82
6. 계승의 완결과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후계자론은 1984년, 김정일의 권력승계가 막바지에 이르렀을 때 창시되었다. 이는 김정일의 권력승계가 후계자론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김정일의 권력승계과정에 맞게 이를 합리화하기 위하여 나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김정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