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체제론』 , 을유문화사 2000
이종석 저 『조선 로동당 연구』 , 역사비평사 1997
한용원 저 『북한학』 , 오름 1998
이교덕 저 『북한의 후계자론』 , 통일연구원 2003 1.후계자론
2.김정일의 등장
3.당 제 6차 대회와 김정일 후계체제의 확립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360원
- 등록일 2012.1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정일의 인재등용에 어떠한 변화가 있을지 두고 볼일이다.
김정일은 충성을 맹세한 이러한 탄탄한 조직기반 아래 대학을 졸업한 이듬해인 1964년 처음으로 권력중심에 진입하는데 성공하였고, 1970년대 후반부터는 본격적인 후계체제의 발판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후계」와 관련된 북한의 지도체제 및 이론적 배경
2.1 수령론
2.2 후계자론
3. 김정일체제의 분석
3.1 정치적 리더십 이론
3.2 관료체제론
4. 김정일 후계체제 구축과정 분석
4.1 관료체제 변화와 '좌경적' 체제공고화
4.2 관료체제의 강화
|
- 페이지 39페이지
- 가격 3,200원
- 등록일 2008.09.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김정은 후계체제 과정
1. 후계체제 공식화
북한이 28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셋째 아들 김정은(28세 · 사진)에게 대장 칭호를 부여하며 후계체제를 공식화했다. 세계에 유례가 없는 3대 세습 작업에 나선 것이다.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일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9.3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후계자 공식 서두른 이유
1. 김정일 건강 악화
북한이 김정은 후계체제 구축을 서두른 것은 그만큼 김 위원장의 건강이 심각하다는 방증이다. 후계 구도를 통해 김 위원장의 급변 사태에 대한 우려를 조기에 불식시켜 체제 안정을 도모하겠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0.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