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면, 북한에서 일어나는 작고 큰 변화들이 모이면 북한의 민주화가 시간이 지날수록 현실로 나타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섞인 생각이 든다.
글의 시작에서도 신문 기사를 인용했지만, 글을 마치면서도 기사 하나를 언급하고 싶다. 비록 아직 어린 학생들이지만 우리나라 동요인 ‘곰 세 마리’를 통해 북한의 권력자들에 대해 풍자하는 노래를 불렀다는 기사이다. 「北 주민들, \"김정은 비판 \'곰세마리\' 노래 유행\"」, http://news.nate.com/view/20101027n12898 2010.10.27
이는 내가 앞에서 봤던 기사와는 사뭇 다르다. 앞선 기사에서는 단지 우리의 문화를 접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라면, 이 기사에서는 우리의 문화를 접한다는 사실과 동시에 북한 주민들이 북한의 권력자들에 대해 분명히 불만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문화를 접한다는 것과 권력자들에 대해 불만을 갖는다는 점은 함의하고 있는 차이가 굉장히 다르다고 생각한다. 최소한 내가 여태껏 학생으로서 북한에 대해 배운 배경으로만 보자면, 북한처럼 폐쇄적이고 강압적인 나라에서도 비록 일부만 보도된 것이지만 권력자들에 대해 풍자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는 것이다. 서서히 우리의(혹은 다른 나라의) 문화가 스며들어가고, 우리나라(혹은 다른 나라) 사람들과의 교류가 많아지면서 그들이 바깥 세상에 대해 차츰 눈을 뜨게 되고, 자신들의 현실에 대해 무언가 잘못됐다는 것을 깨달으며 북한의 권력자들에 대한 불만이 하나 둘씩 생긴다는 사실을 보고 있자면, 북한 사람들의 가치관의 변화에 따른 북한의 민주화는 절대 불가능한 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그것은 좀더 확장해서 생각해보면 곧 우리 주도의, 우리의 의도대로 민주주의 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통일 가능성 또한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안찬일 외, 「10명의 북한 출신 엘리트들이 보는 - 10년 후의 북한」(인간사랑, 2006)
정성장 엮음, 「북한은 변하고 있는가? 1997 vs 2007」(세종연구소, 2008)
황장엽, 「북한민주화와 민주주의적 전략」(시대정신, 2008)
기 타 자 료
조선닷컴「北 불법 민박서 한국 음란물 보며 성매매한 남성 붙잡혀」, 2010.9.20
뉴데일리「남한드라마 본 北 간부에 총탄 90발 난사」, 2010.9.28
노컷뉴스「北 주민들, \"김정은 비판 \'곰세마리\' 노래 유행\"」, 2010.10.27
글의 시작에서도 신문 기사를 인용했지만, 글을 마치면서도 기사 하나를 언급하고 싶다. 비록 아직 어린 학생들이지만 우리나라 동요인 ‘곰 세 마리’를 통해 북한의 권력자들에 대해 풍자하는 노래를 불렀다는 기사이다. 「北 주민들, \"김정은 비판 \'곰세마리\' 노래 유행\"」, http://news.nate.com/view/20101027n12898 2010.10.27
이는 내가 앞에서 봤던 기사와는 사뭇 다르다. 앞선 기사에서는 단지 우리의 문화를 접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라면, 이 기사에서는 우리의 문화를 접한다는 사실과 동시에 북한 주민들이 북한의 권력자들에 대해 분명히 불만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문화를 접한다는 것과 권력자들에 대해 불만을 갖는다는 점은 함의하고 있는 차이가 굉장히 다르다고 생각한다. 최소한 내가 여태껏 학생으로서 북한에 대해 배운 배경으로만 보자면, 북한처럼 폐쇄적이고 강압적인 나라에서도 비록 일부만 보도된 것이지만 권력자들에 대해 풍자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는 것이다. 서서히 우리의(혹은 다른 나라의) 문화가 스며들어가고, 우리나라(혹은 다른 나라) 사람들과의 교류가 많아지면서 그들이 바깥 세상에 대해 차츰 눈을 뜨게 되고, 자신들의 현실에 대해 무언가 잘못됐다는 것을 깨달으며 북한의 권력자들에 대한 불만이 하나 둘씩 생긴다는 사실을 보고 있자면, 북한 사람들의 가치관의 변화에 따른 북한의 민주화는 절대 불가능한 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그것은 좀더 확장해서 생각해보면 곧 우리 주도의, 우리의 의도대로 민주주의 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통일 가능성 또한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안찬일 외, 「10명의 북한 출신 엘리트들이 보는 - 10년 후의 북한」(인간사랑, 2006)
정성장 엮음, 「북한은 변하고 있는가? 1997 vs 2007」(세종연구소, 2008)
황장엽, 「북한민주화와 민주주의적 전략」(시대정신, 2008)
기 타 자 료
조선닷컴「北 불법 민박서 한국 음란물 보며 성매매한 남성 붙잡혀」, 2010.9.20
뉴데일리「남한드라마 본 北 간부에 총탄 90발 난사」, 2010.9.28
노컷뉴스「北 주민들, \"김정은 비판 \'곰세마리\' 노래 유행\"」, 2010.10.27
키워드
추천자료
(북한문학의이해D-E형)주체문예시대 북한문학의 특징에 대하여(북한의 정치변화와 문예이론의...
[인권][인권문제][인간존엄성][북한인권][인권존중][인간의 권리][북한][북한 인권문제]인권...
[권력][미디어][권력과 미디어][농민의 권력][대통령의 권력][북한의 권력체제][농민][대통령...
[명절][북한의 명절][남한의 명절][한국의 명절][중국의 명절][일본의 명절][미국의 명절]북...
[북한3대세습] 김정은후계 공식화에 따른 남북관계 전망과 북한체제의 이해-김정은북한후계자-
[북한문예산책]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북한 문화예술의 관계
[국제정세, 미국 국제정세, 중국 국제정세, 일본 국제정세, 북한 국제정세, 미국, 중국, 일본...
북일국교정상화협상(북한일본국교정상화)의 추진배경, 교섭과정, 협상현황, 재개, 북일국교정...
[생산][북한 상품 생산][일본 지식정보 생산][한국 농업 생산][독일 기업 생산][호주 산업 생...
[북한의 사회와 경제 B형] 북한의 대외관계에 관해 논하시오. (북한의 외교)
[북한의 사회와 경제 E형] 북한주민의 가치관과 일상생활에 대해 논하시오. (북한주민의 가치관)
북한문화의 이해와 선교 (북한 소개, 북한의 문화, 종교 문화, 생활 및 여가문화, 선교현황과...
[북한의사회와경제] 1. 남북한 통일방안의 구체적 내용을 기술 2. 북한 통일방안의 허구성을 ...
★ 국제협상론 - 북한의 협상전략 ( 북한의 역대 협상전략, 살라미 협상전략, 벼랑 끝 협상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