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주민들의 가치관 변화와 북한의 민주화 가능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 주민들의 가치관 변화와 북한의 민주화 가능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면, 북한에서 일어나는 작고 큰 변화들이 모이면 북한의 민주화가 시간이 지날수록 현실로 나타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섞인 생각이 든다.
글의 시작에서도 신문 기사를 인용했지만, 글을 마치면서도 기사 하나를 언급하고 싶다. 비록 아직 어린 학생들이지만 우리나라 동요인 ‘곰 세 마리’를 통해 북한의 권력자들에 대해 풍자하는 노래를 불렀다는 기사이다. 「北 주민들, \"김정은 비판 \'곰세마리\' 노래 유행\"」, http://news.nate.com/view/20101027n12898 2010.10.27
이는 내가 앞에서 봤던 기사와는 사뭇 다르다. 앞선 기사에서는 단지 우리의 문화를 접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라면, 이 기사에서는 우리의 문화를 접한다는 사실과 동시에 북한 주민들이 북한의 권력자들에 대해 분명히 불만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문화를 접한다는 것과 권력자들에 대해 불만을 갖는다는 점은 함의하고 있는 차이가 굉장히 다르다고 생각한다. 최소한 내가 여태껏 학생으로서 북한에 대해 배운 배경으로만 보자면, 북한처럼 폐쇄적이고 강압적인 나라에서도 비록 일부만 보도된 것이지만 권력자들에 대해 풍자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는 것이다. 서서히 우리의(혹은 다른 나라의) 문화가 스며들어가고, 우리나라(혹은 다른 나라) 사람들과의 교류가 많아지면서 그들이 바깥 세상에 대해 차츰 눈을 뜨게 되고, 자신들의 현실에 대해 무언가 잘못됐다는 것을 깨달으며 북한의 권력자들에 대한 불만이 하나 둘씩 생긴다는 사실을 보고 있자면, 북한 사람들의 가치관의 변화에 따른 북한의 민주화는 절대 불가능한 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그것은 좀더 확장해서 생각해보면 곧 우리 주도의, 우리의 의도대로 민주주의 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통일 가능성 또한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안찬일 외, 「10명의 북한 출신 엘리트들이 보는 - 10년 후의 북한」(인간사랑, 2006)
정성장 엮음, 「북한은 변하고 있는가? 1997 vs 2007」(세종연구소, 2008)
황장엽, 「북한민주화와 민주주의적 전략」(시대정신, 2008)
기 타 자 료
조선닷컴「北 불법 민박서 한국 음란물 보며 성매매한 남성 붙잡혀」, 2010.9.20
뉴데일리「남한드라마 본 北 간부에 총탄 90발 난사」, 2010.9.28
노컷뉴스「北 주민들, \"김정은 비판 \'곰세마리\' 노래 유행\"」, 2010.10.27

추천자료

  • 가격13,86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2.10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50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