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사회복지 실천영역 - 장기이식 및 소아암 환자 대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료사회복지 실천영역 - 장기이식 및 소아암 환자 대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장기이식
2. 장기이식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개입
3. 소아암
4. 소아암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개입

본문내용

자주 연락하고, 환아의 형제에게 관심표현을 유도한다. (한국 백혈병 소아암학회, 2005)
3) 소아 호스피스
- 암의 완치율이 70%지만, 30%는 치료 중 합병증이나 재발로 사망한다.
- 불행히도 암의 치료가 더 이상의 효과 없이 진행되는 경우 완화치료 (palliative care)라고 한다.
- 부모가 직면하는 많은 어려운 일 중 하나가 죽어가는 아이에게 정직하고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것이다. 말하는 내용은 아이의 나이에 따라, 그리고 특별한 종교적이고 문화적인 영향에 따라 다르다. 아이에게 정직한 것은 매우 중요하다. 비밀은 아이에게 큰 압박을 준다.
- 아이들은 죽음에 대하여 물어 보는 것을 두려워하는데, 부모들이 죽음에 대하여 전혀 이야기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런 침묵으로 아이는 그의 감정, 걱정과 질문을 물어 볼 기회가 박탈되는 것이다. 터놓고 말함으로써 아이들의 가장 큰 근심이 해소 될 수 있다.
- 생명이 한정된 질병을 가진 아이들에게는 적극적인 호스피스 가료(加療)가 필요하다.
- 소아 호스피스의 역할은 성인과는 다르다. 모든 호스피스 치료는 미리 예측하여 시행하고 서로 유기적인 연관을 가지고 행해져야 한다.
- 너무 늦은 시기에 호스피스를 찾음으로써 통증을 포함한 증상의 치료가 순탄하지 못하고 사별의 슬픔을 경험하는 수가 많다. 그러므로 호스피스 프로그램은 환자의 부모들이 접근할 때 까지는 기다려서는 안 된다.
- 소아 완화치료의 대상은 병이 진행된 말기환자 소아 및 그 가족이며 소아의 성장발달에 따라 치료를 한다.
- 팀 활동이 필요한데 호스피스 팀은 환아, 가족, 의사, 간호사, 약사, 영양사, 사회복지사, 영적 지지자, 봉사자, 학교관계자, 정신건강상담사 등으로 구성된다.
- 호스피스는 증상완화에 중점을 두어 대화를 권장하고 주요 목표를 달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아이들의 생각과 느낌을 이야기하도록 한다.
- 적어도 3세 이상의 아이들은 매우 아프다는 것, 또는 말기의 병을 앓고 있다는 것을 알아챈다. 이때 부인하거나 아닌 척하는 것은 아이들의 믿음을 저버리는 결과를 낳게 되며 오히려 두려움만 가져온다. 호스피스는 가족들이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여 신뢰감을 가지게끔 도와주며 여러 가지 고통이 해소되도록 도와준다.
4) 경제적 지원
- 소아암의 경우, 다른 질환보다 진료비 및 기타 지원 단체들이 많은 편이다.
- 부모가 의료급여수급자인 경우, 소아암에 대해서는 국가의 의료비지원사업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2005년도 소아아동 암환자 의료비 지원사업의 내용을 보면, 2004년에 비해 지원되는 암의 종류가 확대되었으며, 지원연령도 15세에서 18세로 늘어났다.
- 지원금액도 백혈병의 경우 최대 1천만 원에서 2천만 원으로 기타 암 등에 대해서도 1천만 원까지 지원되며, 골수이식 시에도 2천만 원까지 지원된다. (국가암정보센터 2005)
참고문헌
의료사회사업론 권육상, 이준원 외 3명 유풍출판사
의료사회사업론 윤현숙 나남
의료사회사업원론 이광재 인간과 복지
의료사회사업론 이윤로 학지사

추천자료

  • 가격2,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12.10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51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