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절한 행동을 학생들에게 그 행동이 나쁘다는 점을 인식하게 해주고, 학생들이 정신을 가다듬을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학습과 관련되었을 때에는 학생들이 열심히 했는데도 불구하고 성취도가 나빠서 벌(자극)받았다고 가정해보자. 이 때 학생은 벌을 받음으로써 자신감이 상실되고 동기유발도 현저히 낮아질 것이다.(반응) 즉,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학습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나타날 수 있다. 나는 벌의 사용에 개인적으로 반대한다. 물론 벌을 사용함으로써 학생들을 올바른 길로 인내할 수 있다. 하지만 벌은 어느 의미를 가지든 학생들에게 스트레스를 주고, 학생을 수동적인 존재로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즉, 학생을 위축하게 하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나는 벌의 사용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하지만, 전적으로 벌의 사용에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학생이 심한 잘못을 하였을 때는 벌을 주어야한다. 이 경우 벌을 주지 않으면 학생들은 자신의 한 행동에 대하여 반성을 하지 않고, 다시 그릇된 행동을 되풀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는 벌을 기본적으로는 반대하나, 학생이 큰 잘못을 하였을 때에는 반성의 의미로써 벌을 주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