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서론 01
서론 01
02 본론 01
1. 생물적 요인 01
1.1 공생작용
1.2 공동작용
1.3 길항과 경합
1.4 항생
1.5 기생
2. 화학적 요인 03
2.1 수분
2.2 수소이온 농도(pH)
2.3 산소
2.4 이산화탄소
2.5 식품유래 성분
2.6 식염
2.7 보존료
2.8 살균제
3. 물리적 요인 08
3.1 온도
3.2 광선
3.3 압력
03 결론 11
결론 및 참고문헌 11
서론 01
02 본론 01
1. 생물적 요인 01
1.1 공생작용
1.2 공동작용
1.3 길항과 경합
1.4 항생
1.5 기생
2. 화학적 요인 03
2.1 수분
2.2 수소이온 농도(pH)
2.3 산소
2.4 이산화탄소
2.5 식품유래 성분
2.6 식염
2.7 보존료
2.8 살균제
3. 물리적 요인 08
3.1 온도
3.2 광선
3.3 압력
03 결론 11
결론 및 참고문헌 11
본문내용
중에서 살균력이 강한 파장영역은 250∼260mμ 로서 태양광선은 대기층에 거의 흡수된다. 자외선 살균등(저압 수은등)이나 태양등(고압 수은등)은 인공적인 자외선을 방출한다. 파장영역 250∼260mμ에서 살균력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은 핵산의 최대흡수파장(260∼265mμ)에 가까우므로 미생물의 핵산이 손상되는 때문이다.
자외선에 대한 미생물의 저항성은 Gram 음성균인 대장균과 Salmonella의 감수성이 가장 높고, Gram 양성 구균도 높은 감수성을 나타낸다. 포자형성균은 비교적 저항성이 있으며, 포자의 저항성은 더 강하며, 효모균의 저항성은 포자의 저항성과 비슷하지만 곰팡이의 저항성은 그보다 훨씬 크다.
자외선 조사에 의한 미생물 변이주의 출현률은 매우 높으며, 일부 미생물의 경우 자외선과 가시광선의 중간 파장영역인 365∼450mμ의 파장범위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처리에 비하여 생존균수가 높게 나타나는 광 재활성화(photoreactivation) 현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③ 전리방사선(ionizing radiation)
1.0∼0.05mμ의 파장을 가지는 전리방사선으로는 가속 β-선(전자선), γ-선, X-선이 있으며, 기타 α-선 및 우주선 등이 있다. 전리방사선의 조사는 식품의 조사 살균에 일부 국가에서 허용하고 있으며, 침투력이 강하고 대량으로 살균처리가 가능할 뿐더러 열을 발생시키지 않는 냉살균(cold sterilization)이 가능하여 식품산업과, 제약산업에서 응용하고 있다. 그 외에도 포자 발아 방지, 살충 및 산란 방지 효과, 과일의 숙성도 조절에 의한 품질개선 목적으로도 연구되고 있다.
미생물에 대한 전리방사선의 살균작용은 DNA나 RNA 등에 방사에너지가 흡수되어 나타난다는 표적설(target hit theory)과 미생물체내의 수분 등을 전리 또는 여기(勵起)시켜 치명적인 효과를 준다고 하는 이온화설(ionizing theory)에 의하여 설명되고 있다.
미생물의 전리방사선에 대한 저항성은 Gram양성균이 Gram 음성균에 비하여 크고, 포자형성균이 비포자형성균에 비하여 강하다. 효모의 저항성은 곰팡이보다는 크지만 Gram 양성균보다는 약하다. 전리방사선에 가장 높은 저항성을 보이는 미생물은 Gram 양성균에 속하는 Micrococcus, Corynebacterium, Streptococcus, Lactobacillus 이다. 외부 환경조건에 따라서는 산소가 있을 때보다는 없을 때가 강하며, 습한 상태보다는 건조한 상태의 세포가 강하며, 대수기의 세포보다 유도기의 세포가 더 강하다.
식품의 살균에 조사 되는 전리방사선의 조사량에 따라서 살균효과가 다르며, 포자형성균(Clostridium botulinum; D값 0.12∼0.238 Mrad))의 완전사멸에 목표를 두고 통조림 산업에서 응용하는 radappertization, 우유의 저온살균에 해당하는 특정의 무포자 병원균의 사멸을 목적의 radicidation은 격리환자용 냉동식품(영국)이나 육제품의 살균(러시아)에 허용되고 있다. 그 외에 특정의 부패세균을 감소 또는 사멸시켜 식품 보존성을 향상시키고자하는 radurization은 생선류(100∼400 Mrad)에 대하여 2∼6배의 보존기간 연장 또는 과일류(200∼300 Mrad)에 대해서 최대 5일이내의 보존기간 연장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축산식품 오염미생물들의 전리방사선에 대한 감수성은 표 -3과 같다.
표 -3 축산식품 오염미생물의 전리방사선에 대한 감수성
박테리아
식품명
D값(Mrad)
Clostridium perfringens
식육
0.21∼0.24
Clostridium botulinum E형
육즙
0.20
Streptococcus faecalis
육즙
0.05
Escherichia coli
육즙
0.02
Salmonella typhimurium
동결란
0.07
Micrococcus radiodurans
우유
0.25
압력
① 삼투압(osmotic pressure)
세포는 유도기에 주변으로부터 영양분을 흡수하여 세포내의 삼투압을 높인다. 세포내의 삼투압과 주변환경인 식품이나 배양 배지의 삼투압과의 차를 팽압(膨壓; turgor pressure)이라고 한다. 팽압은 최고 시기에 15기압까지 증가하며, 15기압은 0.15mg/μ2의 신장력으로 세포벽에 작용한다는 의미이다.
외부 삼투압에 대한 저항성에 따라서 4% 식염농도 이하에서는 생육이 불가능한 절대 호삼투압균, 12∼15% 식염존재 하에서 생육이 가능한 호삼투압균(osmophiles), 내삼투압균으로 나눌 수 있지만 식염에 의한 삼투압은 이와 구별하여 호염균(halophiles)이라고 부른다. 호삼투압균의 원형질의 삼투압은 배지의 삼투압보다 높고, 세포내의 물은 결합수가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② 수압(hydrostatic pressure)
해저 깊은 곳의 수압이 300기압 이하에서는 대부분의 미생물은 생육이 정지되지만, 600∼1,000기압 이하의 압력 하에서 생육이 가능한 미생물을 호압균(baophiles)이라고 한다. 고압은 원형질의 점도와 탄성, 대사활동에 영향을 주어 생육속도를 저하시키는데 분열도 억제되어 사상으로 증식하는 형태적 변형도 일어난다.
● 결론
서론과 본론에서 살펴봤다시피 미생물은 생활에 적합한 환경과 부적당한 환경이 있으며 그 환경들은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그에 따라 적합한 환경이 있으므로 인위적으로 특정 미생물에게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 왕성하게 증식시켜 유용하게 이용할 수도 있고, 증식을 억제하거나 사멸케 하는 조건을 이용하여 방부나 살균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다.
미생물의 증식에 미치는 환경요인으로 생물적인 요인, 화학적인 요인, 물리적인 요인 이처럼 세 가지로 나누어 보았는데 위의 본론을 간략히 설명하자면
첫째, 생물적인 요인에는 공생, 공동, 길항, 경합, 항생, 기생이 있고 둘째, 화학적인 요인에는 수분, pH, 산소, 이산화탄소, 식염, 식품에서 온 성분, 보존료, 살균제 따위의 화학물질이 있다. 마지막으로, 물리적인 요인에는 온도, 광선, 압력이 있었다.
● 참고문헌
www.emkr.or.kr
자외선에 대한 미생물의 저항성은 Gram 음성균인 대장균과 Salmonella의 감수성이 가장 높고, Gram 양성 구균도 높은 감수성을 나타낸다. 포자형성균은 비교적 저항성이 있으며, 포자의 저항성은 더 강하며, 효모균의 저항성은 포자의 저항성과 비슷하지만 곰팡이의 저항성은 그보다 훨씬 크다.
자외선 조사에 의한 미생물 변이주의 출현률은 매우 높으며, 일부 미생물의 경우 자외선과 가시광선의 중간 파장영역인 365∼450mμ의 파장범위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처리에 비하여 생존균수가 높게 나타나는 광 재활성화(photoreactivation) 현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③ 전리방사선(ionizing radiation)
1.0∼0.05mμ의 파장을 가지는 전리방사선으로는 가속 β-선(전자선), γ-선, X-선이 있으며, 기타 α-선 및 우주선 등이 있다. 전리방사선의 조사는 식품의 조사 살균에 일부 국가에서 허용하고 있으며, 침투력이 강하고 대량으로 살균처리가 가능할 뿐더러 열을 발생시키지 않는 냉살균(cold sterilization)이 가능하여 식품산업과, 제약산업에서 응용하고 있다. 그 외에도 포자 발아 방지, 살충 및 산란 방지 효과, 과일의 숙성도 조절에 의한 품질개선 목적으로도 연구되고 있다.
미생물에 대한 전리방사선의 살균작용은 DNA나 RNA 등에 방사에너지가 흡수되어 나타난다는 표적설(target hit theory)과 미생물체내의 수분 등을 전리 또는 여기(勵起)시켜 치명적인 효과를 준다고 하는 이온화설(ionizing theory)에 의하여 설명되고 있다.
미생물의 전리방사선에 대한 저항성은 Gram양성균이 Gram 음성균에 비하여 크고, 포자형성균이 비포자형성균에 비하여 강하다. 효모의 저항성은 곰팡이보다는 크지만 Gram 양성균보다는 약하다. 전리방사선에 가장 높은 저항성을 보이는 미생물은 Gram 양성균에 속하는 Micrococcus, Corynebacterium, Streptococcus, Lactobacillus 이다. 외부 환경조건에 따라서는 산소가 있을 때보다는 없을 때가 강하며, 습한 상태보다는 건조한 상태의 세포가 강하며, 대수기의 세포보다 유도기의 세포가 더 강하다.
식품의 살균에 조사 되는 전리방사선의 조사량에 따라서 살균효과가 다르며, 포자형성균(Clostridium botulinum; D값 0.12∼0.238 Mrad))의 완전사멸에 목표를 두고 통조림 산업에서 응용하는 radappertization, 우유의 저온살균에 해당하는 특정의 무포자 병원균의 사멸을 목적의 radicidation은 격리환자용 냉동식품(영국)이나 육제품의 살균(러시아)에 허용되고 있다. 그 외에 특정의 부패세균을 감소 또는 사멸시켜 식품 보존성을 향상시키고자하는 radurization은 생선류(100∼400 Mrad)에 대하여 2∼6배의 보존기간 연장 또는 과일류(200∼300 Mrad)에 대해서 최대 5일이내의 보존기간 연장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축산식품 오염미생물들의 전리방사선에 대한 감수성은 표 -3과 같다.
표 -3 축산식품 오염미생물의 전리방사선에 대한 감수성
박테리아
식품명
D값(Mrad)
Clostridium perfringens
식육
0.21∼0.24
Clostridium botulinum E형
육즙
0.20
Streptococcus faecalis
육즙
0.05
Escherichia coli
육즙
0.02
Salmonella typhimurium
동결란
0.07
Micrococcus radiodurans
우유
0.25
압력
① 삼투압(osmotic pressure)
세포는 유도기에 주변으로부터 영양분을 흡수하여 세포내의 삼투압을 높인다. 세포내의 삼투압과 주변환경인 식품이나 배양 배지의 삼투압과의 차를 팽압(膨壓; turgor pressure)이라고 한다. 팽압은 최고 시기에 15기압까지 증가하며, 15기압은 0.15mg/μ2의 신장력으로 세포벽에 작용한다는 의미이다.
외부 삼투압에 대한 저항성에 따라서 4% 식염농도 이하에서는 생육이 불가능한 절대 호삼투압균, 12∼15% 식염존재 하에서 생육이 가능한 호삼투압균(osmophiles), 내삼투압균으로 나눌 수 있지만 식염에 의한 삼투압은 이와 구별하여 호염균(halophiles)이라고 부른다. 호삼투압균의 원형질의 삼투압은 배지의 삼투압보다 높고, 세포내의 물은 결합수가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② 수압(hydrostatic pressure)
해저 깊은 곳의 수압이 300기압 이하에서는 대부분의 미생물은 생육이 정지되지만, 600∼1,000기압 이하의 압력 하에서 생육이 가능한 미생물을 호압균(baophiles)이라고 한다. 고압은 원형질의 점도와 탄성, 대사활동에 영향을 주어 생육속도를 저하시키는데 분열도 억제되어 사상으로 증식하는 형태적 변형도 일어난다.
● 결론
서론과 본론에서 살펴봤다시피 미생물은 생활에 적합한 환경과 부적당한 환경이 있으며 그 환경들은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그에 따라 적합한 환경이 있으므로 인위적으로 특정 미생물에게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 왕성하게 증식시켜 유용하게 이용할 수도 있고, 증식을 억제하거나 사멸케 하는 조건을 이용하여 방부나 살균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다.
미생물의 증식에 미치는 환경요인으로 생물적인 요인, 화학적인 요인, 물리적인 요인 이처럼 세 가지로 나누어 보았는데 위의 본론을 간략히 설명하자면
첫째, 생물적인 요인에는 공생, 공동, 길항, 경합, 항생, 기생이 있고 둘째, 화학적인 요인에는 수분, pH, 산소, 이산화탄소, 식염, 식품에서 온 성분, 보존료, 살균제 따위의 화학물질이 있다. 마지막으로, 물리적인 요인에는 온도, 광선, 압력이 있었다.
● 참고문헌
www.emkr.or.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