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로 몰아갔던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의 주인공 헨리 프린트는 유럽 문명의 허구성을 통렬히 비난하여 “일종을 박멸하라”는 과격한 표현까지 내걸었던 정치적 음악 철학가이자 행동주의자로, 스톡하우젠의 <오리지널>을 문화제국주의의 산물이라고 비난하면서 저드슨 극장 앞에서 시위 데모를 벌였다. 재즈가 저속한 음악이라고 발언한 스톡하우젠의 하버드 대학 연설이 이들의 화를 자극하였던 것이다. 여기에는 플린트의 영향을 받아 제국주의 문화 반대운동 총본부장직을 맡고 있었던 마키우나스를 비롯해 벤 보티에, 에이오, 사이토 등이 가담했는데, 아이러니컬하게도 극장 안에서는 백남준을 비롯한 일분의 플럭서스 멤버들이 그 공연에 참석하고 있었다. 사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던 것은, 밖에서 피켓을 들고 함께 시위하던 비긴스가 마음을 바꾸어 슬그머니 안으로 들어가 공연에 합세한 일이었다. 이것이 히긴스이고, 이것이 받아들여지는 것이 플럭서스이다. 미국 평론가 비터 프랭크가 이러한 분쟁은 결국 “열려지고 개선되어” 다양하게 지향되는 오히려 “유익한” 결과를 초래하였다고 언급하였듯이 플럭서스는 문제들을 극복하고 내분을 해소함으로써 더욱 강하고 다양한 열린 집단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추천자료
1920년대 여성운동가의 삶과 특성
1920년대 여성운동과 근우회
1920년대 광주지방의 청년학생운동과 지역사회
1930년대 민족운동
장애인운동의 진행 및 평가와 전망 - 80년대, 90년대, 평가와 전망
1920~30년대 반일 노동운동사
1970년대 새마을운동과 지역사회복지
1968년 프랑스 5월운동과 우리나라 70,80년대 사회운동의 상관성
1910~1930년대 민족운동과 교육운동
1970년대 민주화운동과 5&#8228;18광주민주항쟁
[여성단체][여성정책][여성민우회][정보사회][여성단체운동]여성단체와 여성정책, 여성단체와...
[한국근현대사] 1920년대 중후반의 대중투쟁 - 6_10만세운동과 광주학생독립운동
한국민족운동사_1920년대 일제 제국주의 시대의 항일무장투쟁의 의의
[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항일무장 운동 단체(조선혁명군과 한국독립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