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링 제자훈련 강의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멘토링 제자훈련 강의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생각의 창
제1강 멘토링이란?
1. 멘토링의 정의와 의미 2. 멘토링 훈련의 이해
3. 멘토링의 필요성 4. 멘토링의 기업사례
5. 멘토의 자격

생각의 창
제2강 멘토링의 성경적 의미
1. 멘토의 역할 2. 멘토링의 성경적 배경
3. 성경에 나타난 멘토링의 사례 4. 나의 멘토를 찾아서

생각의 창
제3강 멘토링 적용의 방향들
1. 멘토링의 대상들 2. 멘토링 진행순서

생각의 창
제4강 멘토링의 수칙과 구체적인 적용형태
1. 멘토의 17대 양육수칙 2. 멘토링 양육의 여러 형태
3. 멘토링 교육을 복습하며

본문내용

자도 세상을 얻는 제자도(국제제자훈련원)
1. 참 제자를 볼 수 없다. (pp. 32-59)
2. 예수님은 왜 소수의 인원에 전력투구를 하셨는가? (pp. 92-117)
3. 예수님의 양육모델 (pp. 118-155)
4. 바울의 양육모델 (pp. 156-187)
2) 강의요약 및 적용
-강의들은 내용을 1장분량으로 정리 후 자신에게 적용점을 2가지 찾아서 정리
3) 사례적용 및 나눔
1. 첫째주: 자신이 담당할 후보멘티를 우선 7명을 정하고 그 사람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파악
2. 둘째주: 7명을 접촉하여 멘토링 실행 여부를 타진하여 3명까지 선정한다.
3. 셋째주: 3명과 각각 8번의 만남을 갖기로 하고 멘토링을 시작하여 첫 만남을 가집니다.
4. 넷째주: 시작부터 첫 만남까지의 느낀점과 어려웠던 점 등을 나눈다.
5. 이후: 지도목사에게 매주 만남의 결과와 8번의 일정계획을 점검 받는다.
<생각의 창>
격려의 힘을 아신 예수님처럼
1800년대 초 덴마크에 남들보다 글 솜씨가 뒤 떨어진 아이가 있었습니다.
아이는 열한 살이 되어서야 겨우 글 비슷한 것을 써 주위에 돌렸으나 조롱을 받았습니다.
한 아주머니는 “네 글을 보느니 차라리 다른 일을 할 걸 그랬구나”라고 말했습니다. 크게 실망하고 집에 돌아온 아이에게 어머니는 꽃을 보여주며 말했습니다.“네 글에는 아직 봉오리가 맺히지 못했구나 그러나 언젠가는 봉오리가 맺히고 꽃이 필거야. 걱정마라‘ 이 미숙한 꼬마가 훗날 위대한 작가로 우뚝 선 안데르센입니다. 안데르센은 어머니의 변함 없는 격려와 지지로 자신 안에 내재해 있던 능력을 개발합니다.
예수님은 실수가 많고 믿음이 없는 제자들을 책망하였습니다. 그러나 부활하신 주님은 역경 앞에서 배반하고 도망친 제자들을 찾아와 책망하지 않고 격려하심으로 그들을 다시 일으켜 세우셨습니다. 그리고 땅 끝까지 복음을 전한 위대한 사명자라는 비전을 주시며 격려 하셨습니다. 예수님의 격려는 사도들이 목숨을 아끼지 않고 충성하는 위대한 역사. 초대교회의 놀라운 기적을 만들어 냈습니다. 예수님은 격려의 힘을 아시는 분이었습니다.
넘어진 아이, 실수한 친구, 낙담한 배우자를 일으켜 세우려면 책망하지 말고 격려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를 향한 하나님의 크신 기대가 있음을 알려 주어야 합니다. 당신의 격려로 인해 그의 자존감이 회복된다면, 그는 예수님의 제자들처럼 위대한 역사의 흔적을 남기게 될 것입니다.
경청의 목표는 섬김
스캇팩은 「아직도 가야 할 길」에서 경청의 중요성을 강조 합니다. 그는 우리가 얼마나 듣는 훈련이 안 되었는지를 다음과 같이 기록합니다... “사랑은 깊은 관심을 갖는 것이다. 관심을 행동으로 나타낼 수 있는 가장 평범하고 중요한 방법은 말을 들어 주는 것이다. 우리는 막대한 시간을 듣는데 보내고 있으면서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시간들을 낭비 한다 왜냐하면 대체로 우리는 듣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다.”
우리가 경청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섬김에 있습니다. 사랑의 절정은 섬김에 있습니다. 그러나 섬기는 일은 마음만 가지고는 안됩니다. 철저한 훈련이 필요합니다. 참으로 사랑으로 경청하려고 한다면 우리의 전 존재를 다 동원해야 합니다. 진정으로 들어 주는 일은 사랑을 행동으로 실천하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이 땅에 섬기려고 오셨습니다. 예수님은 하나님을 섬기기 위해 온 몸으로 하나님을 경청 하였습니다. 그리고 온 몸으로 순종하셨습니다. 사람들의 말을 경청하셨습니다. 누구를 만나든지 집중된 관심으로 사랑하셨고 경청하셨습니다. 경청해 주심으로 그 사람을 치유하셨고 변화시키셨습니다.
21세기는 말을 잘 하는 사람보다 잘 들어 주는 사람이 사랑받는 시대입니다.
우리가 늘 사용하는 언어로 인생을 밝고 행복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사람의 말을 경청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나님의 말씀을 경청하는 훈련을 하십시오.
제1강 멘토링이란?
1. 멘토링의 정의와 의미
1) 멘토링의 정의
\"멘토링(Mentoring)은 하나님께서 주신 자원들을 나눔으로써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끼치는 일종의 관계적 경험이다.\"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일정한 관계에 의하여 개인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모든 과정이다.”
2) 멘토링의 의미
멘토링은 멘토쉽(Mentorship)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리더쉽(Leadership), 제자도(Discipleship), 따르는 자의 도(Followership) 등과 어울려 함께 언급되기도 하나 아직까지는 일반적으로 멘토링이란 단어를 주로 사용한다.
멘토란 단어의 기원을 보면 멘토는 호머의 서사시 “오디세이”에 등장하는 오디세우스의 아들인 텔레마쿠스의 보호자요 가정교사였던 ‘멘토(Mentor)’에서 유래된 말로 알려져 있다. 가정교사 멘토는 오디세우스가 트로이 전쟁으로 오랫동안 집을 비운 사이에 그 아들을 아버지 못지 않은 훌륭한 인물로 키워놓았다. 그야말로 훌륭한 멘토링을 한 것이었다.
멘토를 우리나라 말로 어떻게 번역하면 좋겠는가? 클린턴의 ‘영적 지도자 만들기’란 책에서 이순정 박사는 멘토를 ‘선도자’라고 번역했고 하워드 헨드릭스의 ‘철이 철을 날카롭게 하는 것같이’에서 전의우 목사는 멘토를 ‘스승’으로 번역했다.
멘토가 대학에서 사용될 경우에는 ’논문 지도교수’를 의미하고, 스포츠에서는 ‘코치’, 무술에서는 ‘사부’, 예술에서는 ‘사사(Mentoring)해 주는 스승’ 등을 의미한다. 과거 도제 제도에서는 ‘주인(Master)’으로, 사회에서는 ‘상담자’ 혹은 ‘후견인’ 등으로, 교회에서는 ‘양육자’, ‘목자’, ‘제자훈련자’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된다. 또한 용어상에 있어 멘토(Mentor)가 그 영향을 미치는 대상이 되는 사람을 멘토리(Mentoree), 혹은 프로테제(Protege)라고도 하는데 편의상 앞으로 멘토리(Mentoree)를 줄여서 ‘멘티’라고 통일해 사용하겠다.
2. 멘토링 훈련의 이해
사람을 훈련하는 방법은 보통 3가지가 있다. 공식적(Formal), 비공식적(Nonformal), 무형적(Informal) 훈련법이 있다. 공식적 훈련은 예를 들어, 대학이나 신학대학, 성경학교 등 정규적 학위과정이 여기에 속하고, 비공식적 훈련은 세미나, 수련회, 집회, 워크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3.01.11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85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