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해자유의 원칙
2. 선박의 기국주의
3. 연안국의 추적권
4. 해상범죄의 단속
5. 선박의 충돌과 형사재판권
2. 선박의 기국주의
3. 연안국의 추적권
4. 해상범죄의 단속
5. 선박의 충돌과 형사재판권
본문내용
를 인정하였다(1927년 '로터스호 사건' 참조). 그러나 1952년 브뤼셀에서 체결된 '선박충돌 및 기타 항행사고에 관한 형사재판관할규칙의 통일을 위한 국제협약'은 선박의 충돌로 인하여 형사상 책임이 문제될 때는 그 선박의 기국만이 재판권을 갖는다고 하고 있다(동 법 제1조). 공해협약이나 국제연합해양법협약도 기본적으로 이러한 태도를 따르고 있다.
추천자료
국제법상 탈북자의 인권보호에 관한 연구
한국헌법상 국제법과 국내법의 관계에 관한 국내판례
국제연합에의 남북공동가입과 국제법이론
국제법(북한 탈북 난민문제)
국제 사회와 국제법 (걸프전, 이라크전, 이중국적문제, 독도문제)
국제법 정리 -요약
국제법 주요 판례
국제법에 의한 국내의 적용
국제인권 요약 정리(국제법)
2009년 2학기 국제법 중간시험과제물 C형(국제사법재판소의 준칙)
2007년 2학기 국제법 중간시험과제물 C형(인권의 국제적보호체제)
2010년 2학기 국제법 중간시험과제물 A형(국제사회에서의무력사용)
2018년 1학기 국제인권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