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통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국통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편찬배경
3. 편찬과정
4. 편찬체제
5. 사론
6. 동국통감의 특징 및 의의
7. 맺음말

본문내용

ㆍ동국통감》(전56권)이 탄생한다. 이것이 바로 오늘날 현존하는 동국통감이다. <동국통감>은 편년체로 외기ㆍ삼국기ㆍ신라기ㆍ고려기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 단군 조선에서 삼한, 삼국의 건국에서 신라 문무왕 9년(669년)까지, 문무왕 9년에서 고려 태조 18년(935년)까지, 이후 고려 말까지를 서술하였다. 기존의 사서에 있던 사론과 찬자의 사론이 아울러 실려 있으며, 군주와 신하의 명분을 중시하고 불교나 풍수지리설을 배격하였다. 사론의 대부분은 사실을 고증한 것보다는 사실에 대한 포폄과 관련되는 것인데, 중국에 대한 사대명분을 중요시하는 입장이었다. 다음으로 강상윤리를 존중하는 사론이 많아 이를 잘 지킨 사람은 칭송하며, 군신·부자·남녀의 위계질서를 정립하고 현실적으로 성종과 사림의 정치적 입장을 강화하려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세조가 편찬하려던 <동국통감>은 세종의 고려사를 토대로 하고 그 토대 위에 고대사를 재구성하여 전제군왕적 현각에서 통사체계를 형성 하려는 것이다. <동국통감>은 선초의 기성사대부와 신진사대부의 역사서술과 역사인식이 처음으로 합류되었다는 점에서 조선왕조 500 년간 관찬사서를 대표하는 위치를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1.19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89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