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편찬목적 및 배경
2. 편찬과정
3. 서술체제와 내용
4. 사론의 성격
5. 『동국통감』의 역사적 의의
2. 편찬과정
3. 서술체제와 내용
4. 사론의 성격
5. 『동국통감』의 역사적 의의
본문내용
국통감』을 편찬하였고,『신편동국통감』은 그것을 약간 수정하거나 거기에 주로 사론을 더 첨가하여 편찬하였다는 점에서『동국통감』은 사림과 훈구세력의 합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은 훈구세력의 마지막 사서로서 의미를 가짐과 동시에 사림세력이 최초로 쓴 사서라고 볼 수 있다. 말하자면 15세기의 왕패 절충적(王覇折衷的) 역사인식에서 16세기의 도학 주의적(道學主義的) 역사인식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의 통사로서 나타난 것이『동국통감』이라 하겠다.
『동국통감』의 편찬이 세조대부터 시작하여 그의 계획에는 훈구파 인사들이 깊이 관여하는 것이지만 이것이 완성될 당시의 성종 대에는 사림파인사들이 대두하고 있었고, 또 그들이 『동국통감』의 사론을 만드는데 깊이 관여하였기 때문에 15세기의 역사 정리 위에 신진사대적인 경향이 강한 사론이 쓰인 특이한 사서라고 할 수 있다. 즉『동국통감』은 훈구파와 사림파의 대립이 있던 시대에 만들어짐으로써 이 양 세력의 견해가 모두 반영된 사서였다는 것이다.『동국통감』은 훈구 대신과 신진사림이 정치적 균형을 이루는 가운데 왕권의 안정을 추구하던 성종 대에 완성된 관찬사서(官撰史書)이다. 따라서 좁은 의미에서 보면 이는 성종대의 지배층의 역사의식을 반영하는 사서라고 하겠으나, 거시적으로 본다면 고려말기 이래 사대부를 중심으로 하여 추진되어 온 일련의 국사 정리 사업이 집성된 것이라는 점에서 사학사적 의의는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사학사의 연구』, 한국사연구회 編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상)』, 조동걸 한영우 박찬승 編
『한국의 역사인식』, 이우성 강만길 編
『동국통감』의 편찬이 세조대부터 시작하여 그의 계획에는 훈구파 인사들이 깊이 관여하는 것이지만 이것이 완성될 당시의 성종 대에는 사림파인사들이 대두하고 있었고, 또 그들이 『동국통감』의 사론을 만드는데 깊이 관여하였기 때문에 15세기의 역사 정리 위에 신진사대적인 경향이 강한 사론이 쓰인 특이한 사서라고 할 수 있다. 즉『동국통감』은 훈구파와 사림파의 대립이 있던 시대에 만들어짐으로써 이 양 세력의 견해가 모두 반영된 사서였다는 것이다.『동국통감』은 훈구 대신과 신진사림이 정치적 균형을 이루는 가운데 왕권의 안정을 추구하던 성종 대에 완성된 관찬사서(官撰史書)이다. 따라서 좁은 의미에서 보면 이는 성종대의 지배층의 역사의식을 반영하는 사서라고 하겠으나, 거시적으로 본다면 고려말기 이래 사대부를 중심으로 하여 추진되어 온 일련의 국사 정리 사업이 집성된 것이라는 점에서 사학사적 의의는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사학사의 연구』, 한국사연구회 編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상)』, 조동걸 한영우 박찬승 編
『한국의 역사인식』, 이우성 강만길 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