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허균이 살던 시대
2. 허균의 생애와 평가
3. 유교의 교조주의
4. 사회의 혼란과 민생고
5. 허균이 생각하는 이상정치 - 호민론의 혁명이론, 민본사상과 내정개혁 :「호민론」
6. 허균과 도교 :「남궁선생전」
2. 허균의 생애와 평가
3. 유교의 교조주의
4. 사회의 혼란과 민생고
5. 허균이 생각하는 이상정치 - 호민론의 혁명이론, 민본사상과 내정개혁 :「호민론」
6. 허균과 도교 :「남궁선생전」
본문내용
기인 「남궁선생전」에서 양생과 함께 한 차원 높은 신선술을 말하였다. 곧, 남궁 두가 온갖 수련을 닦아 천상의 신선은 못 되었으나 지상에서 장수를 누린 얘기를 적고 자기의 이견을 덧붙였다.
우리 나라 사람들이 부처는 숭상하였지만 도교는 숭상하지 않았다고 한다. 신라에서 조선까지 몇 천년이 지났지만 한 사람도 도를 얻어서 신선이 되었다는 말은 듣지 못했다.…… 그러나 내가 본 남궁선생으로 말할 것 같으면 기이하다 하겠다.…… 선생이 나이가 많음에도 얼굴이 젊은이처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참으로 도를 얻은 사람이 아니겠느냐? 또 나이가 여든 살인데도 이와 같이 장건하겠느냐? 이것으로 보아 실제로 이런 일이 없었다고 할 수는 없다.
그리고는 이어 "도에 가까우면 신선이 되고 도에 어두우면 범인(凡人)이 된다"고 하여 도가의 수련을 폭넓게 말하였다. 곧, 죽어서 신선이 된다는 허망한 얘기를 앞세우지 않고 수양을 통해 살아 있는 육신이 신선이 되는 것을 말하였다. 그는 신선이 되는 수련 과정에서 양생을 중요하게 생각하되 결코 어느 일정한 방법만을 강조하지 않았다. 이것은 다시 말해서 신선이 되는 것이 '인간의 이상세계를 동경'하는 데에 중심이 있지, 신선의 세계를 구상화시켜보는 데에 뜻이 있지는 않음을 뜻하는 것이다.
【 참 고 도 서 】
김태준 엮음 『고전문학사』-「호민론」,「남궁선생전」 국어국문학과 고전산문연구실 2002
신동욱 편 『허균의 문학과 혁신 사상』- 허균의 생애와 문학. 새문사. 1982
이이화 『허균의 생각』- 허균의 시대, 허균이 생각하는 정치, 허균이 생각하는 학문.
뿌리깊은 나무. 1978
우리 나라 사람들이 부처는 숭상하였지만 도교는 숭상하지 않았다고 한다. 신라에서 조선까지 몇 천년이 지났지만 한 사람도 도를 얻어서 신선이 되었다는 말은 듣지 못했다.…… 그러나 내가 본 남궁선생으로 말할 것 같으면 기이하다 하겠다.…… 선생이 나이가 많음에도 얼굴이 젊은이처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참으로 도를 얻은 사람이 아니겠느냐? 또 나이가 여든 살인데도 이와 같이 장건하겠느냐? 이것으로 보아 실제로 이런 일이 없었다고 할 수는 없다.
그리고는 이어 "도에 가까우면 신선이 되고 도에 어두우면 범인(凡人)이 된다"고 하여 도가의 수련을 폭넓게 말하였다. 곧, 죽어서 신선이 된다는 허망한 얘기를 앞세우지 않고 수양을 통해 살아 있는 육신이 신선이 되는 것을 말하였다. 그는 신선이 되는 수련 과정에서 양생을 중요하게 생각하되 결코 어느 일정한 방법만을 강조하지 않았다. 이것은 다시 말해서 신선이 되는 것이 '인간의 이상세계를 동경'하는 데에 중심이 있지, 신선의 세계를 구상화시켜보는 데에 뜻이 있지는 않음을 뜻하는 것이다.
【 참 고 도 서 】
김태준 엮음 『고전문학사』-「호민론」,「남궁선생전」 국어국문학과 고전산문연구실 2002
신동욱 편 『허균의 문학과 혁신 사상』- 허균의 생애와 문학. 새문사. 1982
이이화 『허균의 생각』- 허균의 시대, 허균이 생각하는 정치, 허균이 생각하는 학문.
뿌리깊은 나무.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