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호민론의 의미
- 백성을 소홀히 다루는 현실
- 백성들의 세 가지 유형
- 학정으로 인한 망국의 실례
- 우리 나라의 형편
- 결론
- 백성을 소홀히 다루는 현실
- 백성들의 세 가지 유형
- 학정으로 인한 망국의 실례
- 우리 나라의 형편
- 결론
본문내용
라에는 호민이 없다."고 한다. 견훤·궁예같은 자가 나와서 난을 일으키면 백성들이 위에 있는 사람들은 두려운 형세를 바로 알고 정치를 바로 하여야 한다는 것이 '호민론'의 요지이다. 이 글은 기성의 권위에 맞서 이단으로 일컬어질만한 새로운 사상과 개혁의 이론을 내세운 그의 정치사상의 일면을 보여주는 글로, 호민이 위험한 존재임을 역사적인 사례를 들어 뒷받침하면서 호민이 생기지 않도록 정치를 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이러한 사상은 그의 작품인 <홍길동전>에 잘 드러나고 있으며, 작자는 지배층이 아닌 백성의 관점에서 정치를 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참고문헌≫
尹泰林. 意識構造上으로 본 韓國人. 玄岩社. 1970.
李翼成. 許筠文選. 乙酉文化社. 1974.
이이화. 허균의 생각. 뿌리깊은나무. 1980.
≪참고문헌≫
尹泰林. 意識構造上으로 본 韓國人. 玄岩社. 1970.
李翼成. 許筠文選. 乙酉文化社. 1974.
이이화. 허균의 생각. 뿌리깊은나무. 198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