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통감의 편찬 서거정 노사신 삼국사절요 신편동국통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머리말

II. 「동국통감」 편찬
1.편찬 목적과 배경 2. 편찬과정

III.서거정, 노사신 등의 「삼국사절요」

IV. 「신편동국통감」의 서술체제와 내용

V. 사론의 성격

VI. 동국통감의 사학사적 의의

VII. 맺음말

본문내용

과 역사인식이 처음으로 합류되었다는 점에서 조선왕조 500년간 관찬사서를 대표하는 위치를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둘째로 사서가 편찬되었던 당시까지의 역사의식을 모두 담고 있으며 또한 조선 초기에 이 룩 하였던 발달된 역사정리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셋째로 조선시대 역사학자들에 의하여 원전으로 많이 이용되었다는 면에서 찾을 수 있다. 정구복,「동국통감의 사학사적 고찰」,『한국사연구』 p185
VII, 맺음말
지금까지의 내용을 정리해 보면 동국통감은 신라 초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편찬한 사서로 총56권 28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책의 편찬 사업은 1458년 세조에 의해 시작되어 1476년 성종 대와 와서 비로소 고대사 부분이 완성 되었다. 이 고대사 부분이 “삼국사절요”라는 이름으로 따로 간행되었으며, 이 후 1484년에 고려사를 완성해 「동국통감」으로 합본되었다. 하지만 이 책은 현재 남아 있지 않고 1485년 성종과 사림 세력이 중심이 되어 개찬한 「동국통감」만 남아 있다.
한편 동국통감은 편년체로 되어 있으며, 단군조선에서 삼한까지를 외기, 삼국의 건국을 신라기, 그 이후부터 1392년까지를 고려기로 편찬하고 있다. 또한 신라기를 독립시킨 것은 신라통일의 의미를 부각시키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삼국이 대등하다는 균적론(均適論)을 내세워 어느 한 나라를 정통으로 간주하지 않은 것은 권근의 동국사략에서 신라를 정통으로 내세운 것과는 대비되는 점이다. 그러나 동국통감은 사론이 지나치게 성리학적 관점에 치우쳐 있다는 것은 한계로 지적된다. 중국에 사대한 행적이 있으면 칭송되는 반면에 대항했거나 사대를 소홀히 한 점이 있으면 철저히 비판하는가 하면 불교, 도교, 민간신앙 등을 이단으로 배격하였다. 이런 지나친 유교적, 사대적 역사관은 신화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왕권을 강화하려던 세조의 의도를 매몰시키고 말았다. 이에 반해 신숙주 주도 하에 만든 삼국사절요는 그나마 세조의 민족주의적 관점의 일면을 발견할 수 있다.
서거정이 주도한 훈신들의 작품인 구편동국통감은 지나친 명분론에 입각한 사서는 아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성종과 사림에 의해 개찬되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는 것은 유교적 명분론에 입각하여 준엄한 포폄(貶)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훈신들을 공격하는 의미로 해석되며, 조선 초기에 추진되었던 부국강병책을 간접적으로 비판하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이러한 비판은 상대적으로 사림 세력의 입지를 강화시키려는 역할을 했을 것이며, 그것은 곧 훈신의 압력을 벗어나 왕권을 강화하려는 성종의 왕권 신장에도 이용되었을 것이다. 그렇지만 동국통감의 기초는 훈신들이 확립한 것이므로 비록 여기에 명분론 중심의 사론이 가해졌다 해도 이 책은 훈신과 사림 그리고 성종의 합작품인 것만은 부정할 수 없다. 그 때 까지 조정 세력의 대립적인 양상으로 역사관이 하나로 모아지지 못했던 점을 감안한다면 동국통감은 조선 초기의 역사 서술의 완성품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한영우, 역사학의 역사, 지식 산업사,2002.9
강만길외1명,「조선전기의 역사서술」『한국의 역사인식(상)』창작과비평사,1999.2
조동걸외 2명,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상),1994.5
한영우「조선전기사학사연구」서울대학교출판부,1981.
정두희 「조선전기의 역사인식」『한국사학사의 연구』을유문화사,1979
한영우, 「동국통감의 역사서술과 역사인식」『한국학보』,일지사 1979
이원순 「조선전기 사서의 역사인식」『한국사론』6, 국사편찬위원회.1979
정구복「동국통감에 대한 사학사적 고찰」『한국사연구』2122합집,1978
http://boinp.netian.com/9_01.html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3.13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95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