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국통감에 대한 사학사적 고찰」『한국사연구』2122합집,1978
http://boinp.netian.com/9_01.html I.머리말
II. 「동국통감」 편찬
1.편찬 목적과 배경 2. 편찬과정
III.서거정, 노사신 등의 「삼국사절요」
IV. 「신편동국통감」의 서술체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6.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통감』을 편찬하였고,『신편동국통감』은 그것을 약간 수정하거나 거기에 주로 사론을 더 첨가하여 편찬하였다는 점에서『동국통감』은 사림과 훈구세력의 합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은 훈구세력의 마지막 사서로서 의미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편)은 구사론과 겹치지 않은 내용에 첨가하고 삼국에 대한 사론을 고루 첨가함으로서 균형이 이루어진 사서였다.
『동국통감』에서 흥미로운 점은, 신사론이 성리학의 의리명분론에 입각하여 군신의 명분과 대의관념(大義觀念)을 적극적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작되어 1484년에 일단 완성되었으나, 찬자들의 사론(史論)이 들어가지 않았다. 이에 일단 완성된 “동국통감”에 찬자들의 사론을 붙여 그 이듬해인 1485년 56권으로 다시 신편하였다. 당시 수사관(修史官)은 서거정 등 10명이다. 없음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4.05.02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3. 인물들의 출생과 성품
정중부는 예종 1년에 해주 정씨 가문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부(父)에 대한 기사는 어디에서도 찾아 볼 수 없었다. 이는 아마도 정중부의 가문이 소위 잘 나가는 가문은 아니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는 자존심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4.09.07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