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이 영화를 선택한 이유
2.영화에 대한 소개
2-1 인물소개
2-2 간단한 줄거리
2-3 전체 적인 내용
2.영화에 대한 소개
2-1 인물소개
2-2 간단한 줄거리
2-3 전체 적인 내용
본문내용
주인공이 되어 열심히 연습하지만 연극 전 날 아버지에게 들킨다.
닐 아버지는 내일밤에 세상이 끝난다고 해도 연극은 못한다고 말한다.
닐은 알겠다고 말한다.
#
그리고 닐슨은 키팅에게가서 조언을 구한다.
우리 시대에 우리가 찾는 멘토라는 모습은 이 것이 아닐까 생각해보았다. 차 한잔을 권하며 자신의 고민을 듣어 주고, 방향을 일러주는 사람. 가벼운 말을 하고 듣을수 있는 사람은 많아 졌지만 그 만큼 깊이있는 유대를 가지는 사람이 적어진 우리들에게는 더욱 와 닿는 모습이라 생각한다.
#
크리스를 찾아 그녀의 학교로 온 오버스트릿 하지만 그녀는 당황하며 그를 돌려 보내려한다. 결국 교실까지 쫓아와서 그녀에게 시를 읽어주고 온다.
다시 친구들과의 만남에서 그는 시를 읽어 줬다는 것, 그 자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그녀가 어떤 반응이였는지는 크게 신경쓰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카르페디엠을 실천한 것에 만족하는 모습같았다.
#
그리고 키팅과 닐의 대화
키팅은 닐에게 아버지에게 자신이 가진 연극에 대한 열정을 보여드렸냐고 했더니 보여드렸고 허락했다고 한다. 키팅은 약간 의심스러운 눈빛을 짓지만 더 물어 보진 않는다.
#
오버스트릿을 찾아온 크리스
그녀는 그에게 최후통첩을 하러 온 것이지만, 결국 그의 열정과 딱 한번만 기회를 달라는 요청에 연극을 같이 보러간다.
#
닐의 연극이 잘 끝나고, 아버지는 닐을 끌고간다. 닐의 표정은 도살장으로 끌려가는 가축 같은 눈빛을 보여주었다. 걱정밖에 없는 모습에서 키팅은 지난 번에 아버지를 설득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
집으로 가서 아버지와 대화하는 닐
여기서 학교 자퇴후 군사학교로 보내겠다고 아버지는 말한다.
닐은 자신이 말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지만 말하지 못한다. 처음에 닐은 속 겁쟁이라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겉으로 보았을 때 친구들앞에서는 적극적이고 솔직한 표현으로 자신을 표현하지만, 자신의 꿈을 아버지에게는 말 하지 못하는 모습 때문이다.
하지만 무의식적으로 아버지 앞이라 겁이났고, 결국 말하지 못한 것이라 생각이든다.
결국 그날 닐은 자살을 한다. 자신의 열정이 죽음보다 너무 앞서서인지 아버지에 대한 자신의 말을 죽음으로 전달한 것인지 잘은 모르겠다.
#
친구들과 키팅선생님이 슬퍼하는 모습이 나온다.
친구들은 믿을 수 없는 상황에, 키팅 선생님은 죄책감 때문인 것같다.
어떤 과정을 거쳤든 자신을 믿고 따르던 학생을 잃었으니, 얼마나 슬플까 생각한다.
#
그리고 다락방 같은 곳에서 카메론을 빼고 모두 모여있다.
카메론은 다락방으로 와서 키팅에게 이 문제를 덮어 씌우겠다고 말한다. 그것이 우리 모두가 사는 길이라 말한다. 찰리는 참지 못하고 카메론을 한 대 때린다.
그들은 자신의 꿈,사랑앞에서는 누구보다 앞선 선장들이였지만 학교라는 큰 사회 앞에서는 한 없이 약해지는 모습이 안쓰럽게 느껴진다.
그들은 자신의 의지는 있지만 부모님과 교장의 압박으로 키팅선생니 부추겨서 ‘죽은 시인의사회’를 만들었다는 서류에 서명을하게 한다.
용기를 잃은 그들은 그저 수동적인 존재가 되어 서명을 하고만다.
#
키팅 선생의 교육방식에 영감을 받은 맥칼리스터 선생은 야외를 거닐며 라틴어를 가르친다.
그러던 중 창문에 있는 키팅과 인사를 나눈다.
이 장면은 아름답거나 극적이진 않지만 가장 중요한 장면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학생들이 키팅을 만나 빠르게 변화했듯이, 그가 없어지면 빠르게 되돌아 갈 것입니다.
하지만 천천히 키팅의 방식을 받아들인 맥칼리스터 선생님은 키팅의 뜻을 계속 이어줄 유일한 희망처럼 보이기 때문입니다.
#
키팅선생은 제직당하고 자신의 짐을 찾으러 영어 수업중에 교실로 찾아온다. 자신의 짐을 다 챙긴 그는 교실을 나가려고 한다. 그때 토르는용기를 내어 그들이 서명하라고 시킨 것이라 키팅에게 외친다. 그리고 키팅은 말한다 “I do believe you" 그리고 눈가에 눈물이 맺히며 교장에 의해 발길을 돌린다. 그때 들리는 "Oh captain my captain" 그리고 이어지는 "Oh captain my captain" 영화 시작때 들리던 빽파이프소리가 조금 더 밝게 들린다.
그리고 키팅의 행동에 반감을 가졌던 홉킨스라는 학생도 일어나 키팅을 바라본다.
이 때 들리는 음악소리는 처음 들었던 느낌과 달랐다. 영화 초반에 들렸던 빽파이프 소리는 전통이 있는 학교의 자부심같은 느낌이 들었는데, 지금은 상당히 극적인 느낌이 들면서 밝다.
"Thank you, boys. Thank you" 키팅의 이 한마디로 영화는 끝이난다.
닐 아버지는 내일밤에 세상이 끝난다고 해도 연극은 못한다고 말한다.
닐은 알겠다고 말한다.
#
그리고 닐슨은 키팅에게가서 조언을 구한다.
우리 시대에 우리가 찾는 멘토라는 모습은 이 것이 아닐까 생각해보았다. 차 한잔을 권하며 자신의 고민을 듣어 주고, 방향을 일러주는 사람. 가벼운 말을 하고 듣을수 있는 사람은 많아 졌지만 그 만큼 깊이있는 유대를 가지는 사람이 적어진 우리들에게는 더욱 와 닿는 모습이라 생각한다.
#
크리스를 찾아 그녀의 학교로 온 오버스트릿 하지만 그녀는 당황하며 그를 돌려 보내려한다. 결국 교실까지 쫓아와서 그녀에게 시를 읽어주고 온다.
다시 친구들과의 만남에서 그는 시를 읽어 줬다는 것, 그 자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그녀가 어떤 반응이였는지는 크게 신경쓰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카르페디엠을 실천한 것에 만족하는 모습같았다.
#
그리고 키팅과 닐의 대화
키팅은 닐에게 아버지에게 자신이 가진 연극에 대한 열정을 보여드렸냐고 했더니 보여드렸고 허락했다고 한다. 키팅은 약간 의심스러운 눈빛을 짓지만 더 물어 보진 않는다.
#
오버스트릿을 찾아온 크리스
그녀는 그에게 최후통첩을 하러 온 것이지만, 결국 그의 열정과 딱 한번만 기회를 달라는 요청에 연극을 같이 보러간다.
#
닐의 연극이 잘 끝나고, 아버지는 닐을 끌고간다. 닐의 표정은 도살장으로 끌려가는 가축 같은 눈빛을 보여주었다. 걱정밖에 없는 모습에서 키팅은 지난 번에 아버지를 설득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
집으로 가서 아버지와 대화하는 닐
여기서 학교 자퇴후 군사학교로 보내겠다고 아버지는 말한다.
닐은 자신이 말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지만 말하지 못한다. 처음에 닐은 속 겁쟁이라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겉으로 보았을 때 친구들앞에서는 적극적이고 솔직한 표현으로 자신을 표현하지만, 자신의 꿈을 아버지에게는 말 하지 못하는 모습 때문이다.
하지만 무의식적으로 아버지 앞이라 겁이났고, 결국 말하지 못한 것이라 생각이든다.
결국 그날 닐은 자살을 한다. 자신의 열정이 죽음보다 너무 앞서서인지 아버지에 대한 자신의 말을 죽음으로 전달한 것인지 잘은 모르겠다.
#
친구들과 키팅선생님이 슬퍼하는 모습이 나온다.
친구들은 믿을 수 없는 상황에, 키팅 선생님은 죄책감 때문인 것같다.
어떤 과정을 거쳤든 자신을 믿고 따르던 학생을 잃었으니, 얼마나 슬플까 생각한다.
#
그리고 다락방 같은 곳에서 카메론을 빼고 모두 모여있다.
카메론은 다락방으로 와서 키팅에게 이 문제를 덮어 씌우겠다고 말한다. 그것이 우리 모두가 사는 길이라 말한다. 찰리는 참지 못하고 카메론을 한 대 때린다.
그들은 자신의 꿈,사랑앞에서는 누구보다 앞선 선장들이였지만 학교라는 큰 사회 앞에서는 한 없이 약해지는 모습이 안쓰럽게 느껴진다.
그들은 자신의 의지는 있지만 부모님과 교장의 압박으로 키팅선생니 부추겨서 ‘죽은 시인의사회’를 만들었다는 서류에 서명을하게 한다.
용기를 잃은 그들은 그저 수동적인 존재가 되어 서명을 하고만다.
#
키팅 선생의 교육방식에 영감을 받은 맥칼리스터 선생은 야외를 거닐며 라틴어를 가르친다.
그러던 중 창문에 있는 키팅과 인사를 나눈다.
이 장면은 아름답거나 극적이진 않지만 가장 중요한 장면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학생들이 키팅을 만나 빠르게 변화했듯이, 그가 없어지면 빠르게 되돌아 갈 것입니다.
하지만 천천히 키팅의 방식을 받아들인 맥칼리스터 선생님은 키팅의 뜻을 계속 이어줄 유일한 희망처럼 보이기 때문입니다.
#
키팅선생은 제직당하고 자신의 짐을 찾으러 영어 수업중에 교실로 찾아온다. 자신의 짐을 다 챙긴 그는 교실을 나가려고 한다. 그때 토르는용기를 내어 그들이 서명하라고 시킨 것이라 키팅에게 외친다. 그리고 키팅은 말한다 “I do believe you" 그리고 눈가에 눈물이 맺히며 교장에 의해 발길을 돌린다. 그때 들리는 "Oh captain my captain" 그리고 이어지는 "Oh captain my captain" 영화 시작때 들리던 빽파이프소리가 조금 더 밝게 들린다.
그리고 키팅의 행동에 반감을 가졌던 홉킨스라는 학생도 일어나 키팅을 바라본다.
이 때 들리는 음악소리는 처음 들었던 느낌과 달랐다. 영화 초반에 들렸던 빽파이프 소리는 전통이 있는 학교의 자부심같은 느낌이 들었는데, 지금은 상당히 극적인 느낌이 들면서 밝다.
"Thank you, boys. Thank you" 키팅의 이 한마디로 영화는 끝이난다.
키워드
추천자료
죽은 시인에 사회
조정래시인 조사 및 태백산맥 줄거리 외 감상평
죽은 시인의 사회를 보고
죽은 시인의 사회 독후감
N.H.클라인바움 - 죽은 시인의 사회
영화 허브 사회복지관점 영화감상문(영화줄거리, 지적장애인주인공, 정신지체, 사회복지프로...
카드로만든집 사회복지관점 영화감상문(줄거리, 예비사회복지사로서 프로그램제안, 자폐아와...
버틀러 대통령의 집사 사회복지적 영화감상문(영화줄거리, 주인공장애, 환경분석, 시대적배경...
사회계약론 줄거리 및 감상
[최신A+자료]터널영화감상문[터널을 통해 바라본 사회적 문제점][터널과 세월호사건의 유사성...
죽은 시인의 사회 -Bernstein의 코드 이론 관점으로 분석-
죽은 시인의 사회
7번방의 선물 사회복지적 영화감상문(영화줄거리 주변환경 사회복지정책프로그램 프로그램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