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부모역할의 정의 및 구성요인
2. 부모역할에서의 어려움
3. 효과적인 부모역할을 위한 서비스
4. 부모역할훈련의 과제
2. 부모역할에서의 어려움
3. 효과적인 부모역할을 위한 서비스
4. 부모역할훈련의 과제
본문내용
경청 (active listening)
- 자녀의 이야기를 비판이나 판단 없이 수용, 감정을 진심으로 이해하려 노력, 적극적 참여
- 자신의 감정을 일단 접고 자녀가 말하는 내용에 귀 기울임
- 부모의 입장이 아닌 독립된 인격체로서 자녀의 입장이 되도록 노력
(2) 나-메시지 (I-message) 전달법
- 부모가 파워행사를 감정적으로 하지 않고 부모-자녀가 서로의 마음을 이해하기 위함
-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전달함
(3) 무승부법 (no-lose method)
- 비효과적인 갈등해결(win-lose) : 독재적인 부모역할 스타일, 허용적인 부모역할 스타일
- 독재적인 부모역할 스타일 : 자녀를 설득, 복종강요
- 허용적인 부모역할 스타일 : 자녀가 자신의 해결책을 주장
- 효과적인 갈등해결(win-win) : 부모-자녀 모두 합의하여 결정
(4) 부모효율성훈련의 효과성
3) 체계적 부모역할 훈련(Systematic Training for Effective Parenting : STEP)
- Dinkmeyer, Mackay가 개발
- 자녀의 부정적 행동의 목표를 이해, 행동 통제를 위해 자연스럽고 논리적인 결과활용
- 9주간 한 장씩 진행 : 내용, 문제, 질문을 실천하고 경험담 나누기
- 프로그램의 구성과 내용
STEP
내 용
첫 번째 모임
아동의 행동을 이해
두 번째 모임
자녀와 부모 자신의 이해
세 번째 모임
격려: 자신감과 가치감 길러주기
네 번째 모임
의사소통 : 반영적 경청
다섯 번째 모임
의사소통 : 대안찾기, 부모의 생각과 느낌의 표현
여섯 번째 모임
책임감 훈육방법
일곱 번째 모임
자연적·논리적 결과의 활용
여덟 번째 모임
가족모임
아홉 번째 모임
자신감 개발 및 잠재력 발휘
4)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 (Resilient Parenting Program)
(1) 프로그램의 구성과 내용
- Walsh (1998)
- 강점관점, 생태체계관점
- 목적 : 부모역할에 대한 만족감, 효능감 증진, 가족관계의 질 향상
(2) 프로그램의 내용
회기
가족탄력성
목표와 내용
1
신념체계
부모역할과 관련된 긍정적 신념체계 형성
2
가족, 자녀의 강점과 자원 활용
3
조직유형
적절한 가족규칙, 역할분담
4
친밀, 애정적인 가족관계 형성
5
효과적인 훈육기술 증진
6
의사소통과정
효과적인 의사소통기술 증진
7
협력적인 문제해결기술 증진
8
자기관리
자기관리기술 증진
후속모임
추후점검
(3) 프로그램의 운영
- 주 1회, 2시간씩, 총 8회, 프로그램 종료 후 3주 뒤에 후속모임
- 초등학교 자녀를 둔 학령기 부모 대상, 집단원 수는 10~12명
- 주 진행자(전문 사회복지사), 보조진행자 1~2명
(4)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의 효과성
- 부모역할 만족도 척도, 양육효능감 척도, 가족관계 척도
4. 부모역할훈련의 과제
- 아버지의 역할 강조
- 가정에서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지지적일 것 : 부모역할과 배우자의 지지는 밀접함
- ‘좋은 아버지가 되려는 사람들의 모임’
- 자녀의 이야기를 비판이나 판단 없이 수용, 감정을 진심으로 이해하려 노력, 적극적 참여
- 자신의 감정을 일단 접고 자녀가 말하는 내용에 귀 기울임
- 부모의 입장이 아닌 독립된 인격체로서 자녀의 입장이 되도록 노력
(2) 나-메시지 (I-message) 전달법
- 부모가 파워행사를 감정적으로 하지 않고 부모-자녀가 서로의 마음을 이해하기 위함
-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전달함
(3) 무승부법 (no-lose method)
- 비효과적인 갈등해결(win-lose) : 독재적인 부모역할 스타일, 허용적인 부모역할 스타일
- 독재적인 부모역할 스타일 : 자녀를 설득, 복종강요
- 허용적인 부모역할 스타일 : 자녀가 자신의 해결책을 주장
- 효과적인 갈등해결(win-win) : 부모-자녀 모두 합의하여 결정
(4) 부모효율성훈련의 효과성
3) 체계적 부모역할 훈련(Systematic Training for Effective Parenting : STEP)
- Dinkmeyer, Mackay가 개발
- 자녀의 부정적 행동의 목표를 이해, 행동 통제를 위해 자연스럽고 논리적인 결과활용
- 9주간 한 장씩 진행 : 내용, 문제, 질문을 실천하고 경험담 나누기
- 프로그램의 구성과 내용
STEP
내 용
첫 번째 모임
아동의 행동을 이해
두 번째 모임
자녀와 부모 자신의 이해
세 번째 모임
격려: 자신감과 가치감 길러주기
네 번째 모임
의사소통 : 반영적 경청
다섯 번째 모임
의사소통 : 대안찾기, 부모의 생각과 느낌의 표현
여섯 번째 모임
책임감 훈육방법
일곱 번째 모임
자연적·논리적 결과의 활용
여덟 번째 모임
가족모임
아홉 번째 모임
자신감 개발 및 잠재력 발휘
4)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 (Resilient Parenting Program)
(1) 프로그램의 구성과 내용
- Walsh (1998)
- 강점관점, 생태체계관점
- 목적 : 부모역할에 대한 만족감, 효능감 증진, 가족관계의 질 향상
(2) 프로그램의 내용
회기
가족탄력성
목표와 내용
1
신념체계
부모역할과 관련된 긍정적 신념체계 형성
2
가족, 자녀의 강점과 자원 활용
3
조직유형
적절한 가족규칙, 역할분담
4
친밀, 애정적인 가족관계 형성
5
효과적인 훈육기술 증진
6
의사소통과정
효과적인 의사소통기술 증진
7
협력적인 문제해결기술 증진
8
자기관리
자기관리기술 증진
후속모임
추후점검
(3) 프로그램의 운영
- 주 1회, 2시간씩, 총 8회, 프로그램 종료 후 3주 뒤에 후속모임
- 초등학교 자녀를 둔 학령기 부모 대상, 집단원 수는 10~12명
- 주 진행자(전문 사회복지사), 보조진행자 1~2명
(4)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의 효과성
- 부모역할 만족도 척도, 양육효능감 척도, 가족관계 척도
4. 부모역할훈련의 과제
- 아버지의 역할 강조
- 가정에서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지지적일 것 : 부모역할과 배우자의 지지는 밀접함
- ‘좋은 아버지가 되려는 사람들의 모임’
추천자료
유아기의 부모역할
아버지를 위한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
청년기의 발달과 부모역할
아버지를 위한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
부모역할 훈련 프로그램
적극적 부모역할프로그램(AP)
아동의 발달에 따른 부모역할
아동 발달단계에 따른 부모역할
부모역할의 과제와 활성화 방안
청소년기 부모역할의 실제 - 실태 조사 보고서
PET(parent efficiency training)에 대한 설명과 한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부모역할훈련프로그...
[다문화 자녀양육] 다문화가정 아동 자녀양육의 문제점과 부모역할에 대해 서술.
<결혼과 부모역할> 고부갈등이 이혼에 미치는 영향, 고부갈등의 정의와 원인, 가치관의 변화,...
잠재력 개발을 위한 부모역할에 대해 쓰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