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11 테러 이후 미국의 안보전략과 주한미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9 11 테러 이후 미국의 안보전략과 주한미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부시의 신군사 닥트린과 해외주둔 미군 운용

2. 탈냉전 및 대테러 전쟁 시대의 한국 안보

본문내용

한미상호방위조약 문제는 분리해서 다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주한미군문제는 한반도 평화체제가 정착되어 가는 과정에서 어떠한 형태로든 문제가 제기될 가능성이 크고 장기적으로 북한의 위협이 사라질 경우 그 존재의의에 관해 논란이 일 수 있으므로, 지금부터 비전을 가지고 한미동맹체제와 주한미군의 역할 조정에 관한 방법론을 강구해 나갈 필요가 있다.
한미 양국 안보관련 부처가 중심이 되어 중.장기적으로 한미동맹체제가 지역동맹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실천 방안을 협의하게 될 때 핵심쟁점 중의 하나가 바로 주한미군의 역할문제가 될 것이다. 한미간 지역동맹으로서의 역할 증대, 동맹의 책임과 한계가 규정되면, 병력구조(force structure)에 관한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현재 주한미군의 병력구조와 관련하여 예상할 수 있는 상황은 주한미군이 한국에서 완전히 철수하는 방안, 지상군 병력은 철수하고 해.공군만 남는 방안, 해.공군과 소수의 지상군 병력만 남는 방안 등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마지막 방안이 현실적으로 가장 바람직하다. 우선 최소병력이라도 지상군이 한반도에 주둔함으로써 한미동맹이 지역동맹이라는 의미에 가장 부합한다는 점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2.04
  • 저작시기201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03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