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와 미국
Ⅲ. 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와 중국
Ⅳ. 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와 일본
Ⅴ. 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와 북한
1. 대남전략 분석
2. 북한의 대남전술⋅태도 및 선전공세
3. 재래식 군사력
참고문헌
Ⅱ. 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와 미국
Ⅲ. 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와 중국
Ⅳ. 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와 일본
Ⅴ. 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와 북한
1. 대남전략 분석
2. 북한의 대남전술⋅태도 및 선전공세
3. 재래식 군사력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공군은 9만 2,000명의 공군력과 1,700여 대의 항공기, 그리고 4만 6,000여 명의 해군력과 800여 척의 함정으로 구성된다. 문제는 12만 2,000여 명으로 구성된 세계최대 규모의 특수부대(SOF:Special Operations Force)라 할 것인데, 이들은 고도로 훈련되어 있고 충성심이 강한 조직으로서 최근 그 규모가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고 한다. 북한이 노리는 초전기습 전략, 정규비정규전의 배합전략, 후방침투 전략에 있어 특수부대는 매우 유효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수도권 집중 타격을 노리는 기습전략과 야포망의 구축은 가공할 만한 것으로 평가된다. 남북이 군사적으로 대치하고 있는 최전선과 수도권의 지리적 근접성(近接性)은 우리의 방위전략에 있어 취약점으로 간주될 수 있는 반면, 이를 사수해야 한다는 절체절명의 명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강점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북한은 평양-원산을 잇는 선(線) 이남 지역에 지상군 전력의 70% 이상을 집중 배치하여 언제든지 남한에 대한 기습공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수도권 지역에 대한 집중적인 장사정포(長射程砲) 공격 위협은 이미 잘 알려져 있고, 금년 국회에서도 커다란 논란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현대는 첨단무기로 무장화 되는 ‘기동력’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재래식 군사력으로 수도권을 위협하고 있는 현실을 외면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북한은 이미 수많은 견고한 지하벙커를 건설하였고 북한의 재래식 군사력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수준이다. 남북한 좁은 산악지대에 대규모 군사력이 밀집배치되어 있고 상호 근접 대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첨단무기’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재래식 무기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북한의 군사적 위협은 ‘실재(實在)’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김성주(2009), 동북아시아 공동체를 위한 통합이론적 접근,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강근형(2004), 동북아시아 안보공동체 구축 : 한국의 시각 , 제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이춘근(2003), 최근 동북아시아 군사·안보환경 변화와 전망,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최영호(2007), 동북아시아 안보환경 변화와 한국의 안보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최수경(2009), 동북아시아 안보에 대한 미국의 정책,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천성권(2000), 21세기 동북아시아 안보와 경제, 광주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또한 수도권 집중 타격을 노리는 기습전략과 야포망의 구축은 가공할 만한 것으로 평가된다. 남북이 군사적으로 대치하고 있는 최전선과 수도권의 지리적 근접성(近接性)은 우리의 방위전략에 있어 취약점으로 간주될 수 있는 반면, 이를 사수해야 한다는 절체절명의 명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강점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북한은 평양-원산을 잇는 선(線) 이남 지역에 지상군 전력의 70% 이상을 집중 배치하여 언제든지 남한에 대한 기습공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수도권 지역에 대한 집중적인 장사정포(長射程砲) 공격 위협은 이미 잘 알려져 있고, 금년 국회에서도 커다란 논란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현대는 첨단무기로 무장화 되는 ‘기동력’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재래식 군사력으로 수도권을 위협하고 있는 현실을 외면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북한은 이미 수많은 견고한 지하벙커를 건설하였고 북한의 재래식 군사력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수준이다. 남북한 좁은 산악지대에 대규모 군사력이 밀집배치되어 있고 상호 근접 대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첨단무기’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재래식 무기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북한의 군사적 위협은 ‘실재(實在)’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김성주(2009), 동북아시아 공동체를 위한 통합이론적 접근,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강근형(2004), 동북아시아 안보공동체 구축 : 한국의 시각 , 제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이춘근(2003), 최근 동북아시아 군사·안보환경 변화와 전망,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최영호(2007), 동북아시아 안보환경 변화와 한국의 안보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최수경(2009), 동북아시아 안보에 대한 미국의 정책,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천성권(2000), 21세기 동북아시아 안보와 경제, 광주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추천자료
- 동북아 다자안보와 주변4강
- 주일미군과 동북아 안보
- 4년주기 국방검토보고서 (QDR)와 국가안보전략 보고서(NSS)의 비교
- [미국 신안보정책수립][미국 대북정책][북미관계]미국의 신안보정책의 수립과 미국 대북정책...
- 다자간안보협력의 개념과 형태, 동북아다자간안보협력체의 필요성, 동북아다자간안보협력의 ...
- [국가안보][국방비][인간안보][다자간 경제체제][APEC]국가안보와 국방비, 국가안보의 현실, ...
- [동북아. 국제사회] 21세기 동북아 안보환경 변화와 북한의 태도 변화
- 미일안보(미국일본 안보)와 일본존립, 미일안보(미국일본 안보)와 주일미군, 미일안보(미국일...
- [일본군국주의, 신군국주의, 군사력증강]일본군국주의와 신군국주의, 일본군국주의와 군사력...
- [국제안보(세계안보), 국제안보(세계안보) 환경, 국제안보(세계안보) 정세, 이사회, 9 11테러...
- [일본, 우경화, 근대화, 민주화, 경제화, 안보내셔널리즘, 아나키즘, 그린투어리즘]일본의 우...
- 미중관계의 역사적 변화와 쟁점, 그리고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 [★★평가우수자료★★][정책사례분석] 대양해군정책 분석, 정책 분석 사례, 분석 사례, MSF 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