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못한다는 말이 시편 기자에게 직접적으로 발설되는 것인가, 아니면 간접적으로 전해진 것인가에 대한 해석을 내리고 있다. 헬라어 구약성경의 경우에 대해서 발표자는 “그에게는” “그의” 라는 표현을 근거로 적들이 시편 기자가 없는 곳에서 기자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에게는”, “그의”라는 표현만을 보고 시편 기자가 없는 곳에서 기자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 것이라는 정황을 단정지을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 말은 충분히 시편 기자가 자리하고 있는 곳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시편 기자가 왕이라면 더욱 그럴 가능성이 높다. “그에게는”, “그의”는 그가 없는 곳에서, 또는 그가 듣지 못하도록 험담하는 곳에서 말할 때 사용될 수 있지만, 그의 백성과 신하들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위협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열왕기하 18장에 보면 이와 비슷한 정황이 나와 있다. 앗수르의 장군 랍사게가 군사를 거느리고 예루살렘 포위하고 예루살렘 성벽에 “유다 방언으로” 이와 비슷한 내용을 소리친 사실이 성서에 기록되어 있다(왕하 18:28-37). 랍사게는 앗수르의 신과 군대로부터 히스기야 왕이 의지하는 여호와가 너희를 구원할 수 있겠느냐고 소리지른다. 이 말을 히스기야 왕이 직접 듣지는 못했으나, 히스기야 왕의 신하 요아가 듣고 곧장 히스기야에게 알리게 된다(왕하 18:36-37). 다시 말해서 히스기야 왕이 그 자리에 있었어도 랍사게는 3인칭 대명사를 사용한 험담을 사용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으며, 시편 3편의 정황도 시편 기자가 듣는 앞에서 발설된 말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에게는”, “그의”라는 표현만을 보고 시편 기자가 없는 곳에서 기자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 것이라는 정황을 단정지을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 말은 충분히 시편 기자가 자리하고 있는 곳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시편 기자가 왕이라면 더욱 그럴 가능성이 높다. “그에게는”, “그의”는 그가 없는 곳에서, 또는 그가 듣지 못하도록 험담하는 곳에서 말할 때 사용될 수 있지만, 그의 백성과 신하들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위협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열왕기하 18장에 보면 이와 비슷한 정황이 나와 있다. 앗수르의 장군 랍사게가 군사를 거느리고 예루살렘 포위하고 예루살렘 성벽에 “유다 방언으로” 이와 비슷한 내용을 소리친 사실이 성서에 기록되어 있다(왕하 18:28-37). 랍사게는 앗수르의 신과 군대로부터 히스기야 왕이 의지하는 여호와가 너희를 구원할 수 있겠느냐고 소리지른다. 이 말을 히스기야 왕이 직접 듣지는 못했으나, 히스기야 왕의 신하 요아가 듣고 곧장 히스기야에게 알리게 된다(왕하 18:36-37). 다시 말해서 히스기야 왕이 그 자리에 있었어도 랍사게는 3인칭 대명사를 사용한 험담을 사용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으며, 시편 3편의 정황도 시편 기자가 듣는 앞에서 발설된 말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