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론 - 개혁주의 신학적 입장에서 본 관상기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회론 - 개혁주의 신학적 입장에서 본 관상기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그리스 철학 전통에서의 관상
2. 중세 신비주의 운동에서의 관상
3. 제 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의 관상
4. 관상기도의 문제점
5. 맺음말

본문내용

련방식을 차용한다. 관상기도와 초월적인 명상은 신체감각에 초점을 맞추고 그것에 잠겨드는 과정을 통해 긴장이 완화되고 평화를 누린다고 말한다. 이런 방법을 통해 무념의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끝으로 관상기도의 목표는 자신의 내면 깊숙이 있는 참 자아를 발견하는 것이다. 결국 관상기도의 방법론은 미국에 소개된 ‘초월적 명상’의 방법을 가톨릭 적으로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5. 맺음말
우리가 관상기도를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그것이 가톨릭 적이어서가 아니라, 플라톤과 플로티노스의 철학 그리고 동양의 신비사상에 기초하기 때문이다. 또한 굳이 관상기도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서 성경에서 말하는 것을 왜곡시킬 위험도 있다. 이 관상기도를 긍정적으로 보는 사람들은 기도의 다양성을 말하지만 이것을 도입하기에 앞서 이것이 가진 신학적인 문제점들이 더 많기에 그러한 주장에 동의할 수 없는 것이다.
올바른 기도는 믿음으로부터 나오고, 그 믿음은 하나님의 말씀으로부터 나온다고 캘빈은 말했다. 캘빈은 기도중에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할 것을 강조하였다. 우리의 기도는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지배되고 억제되어야 한다. 기도의 목적은 하나님과 교통하는 것이다. 하나님과의 교통을 위해 우리는 이 세상과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뜻을 깨닫게 된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로와의 연합을 통해서 그리스도의 의를 전가 받는다. 예수 그리스도로 인하여 의롭게 된 우리들의 과제는 거룩한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오늘날 한국교회에 필요한 것은 관상기도가 아닌 하나님께서 이미 우리들에게 은혜의 방편으로 주신 말씀과 성례와 기도를 회복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2.19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14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