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사업][운하][4대강정비사업][한반도 대운하]외국의 운하로 본 4대강사업과 그 효과(이명박 정부의 4대강사업, 운하의 역사, 중국 징항대운하, 프랑스 미디운하, 이집트 수에즈운하, 독일 RMD운하, 파나마운하)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4대강사업][운하][4대강정비사업][한반도 대운하]외국의 운하로 본 4대강사업과 그 효과(이명박 정부의 4대강사업, 운하의 역사, 중국 징항대운하, 프랑스 미디운하, 이집트 수에즈운하, 독일 RMD운하, 파나마운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명박 정부의 4대강사업
2. 운하의 역사
3. 중국 징항대운하
4. 프랑스 미디운하
5. 이집트 수에즈운하
6. 영국 운하
7. 북미(미국과 캐나다)의 운하
8. 독일 RMD운하
9. 파나마의 파나마운하
10. 4대강사업의 기대효과
11. 4대강사업의 환경적 영향
12. 4대강사업의 환경적 문제
13. 4대강사업의 문제점과 과제

본문내용

외국의 운하로 본 4대강 사업과 그 효과




이명박 정부의 4대강사업

 • 이명박 정부의 한국형 녹색뉴딜 사업
 •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에 노후 제방 보강과 하천 생태계 복원, 중소 규모 댐 및 홍수 조절지 건설, 하천 주변 자전거길 조성, 친환경 보(洑) 설치 추진
 • 하지만 최근에 이명박 정권이 끝나가고 박근혜 정권이 새로이 취임할 준비를 하면서 4대강 사업의 부실성이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있다
 • 이명박 정권이 끝나갈 때를 딱 맞춰 부실을 지적한 감사원의 책임도 지적하고 있다




운하의 역사

 • 약 5000년 전 이집트, 바빌로니아 등지에 많이 만들어졌다
 • 마리카운하·나르완운하, 코린트운하, 중국 대운하 등이 만들어졌다
 • 세계적으로 유명한 영국은 하천에 수문을 설치하여 곡류·수심·유속 등을 조정하여 가항수로를 연장하는 공사를 하였다




중국 징항대운하

 • 세계에서 가장 긴 고대 운하
 • 베이징에서 항저우간 운하로 톈진, 허베이성, 산둥성, 장쑤성과 저장성의 4개성과 1개시를 지난다
 • 하이하·황하·화이하·창강 및 첸탕강의 5대 수계를 연결
전장 1,794㎞
 • 604년 수의 양제가 수도를 장안에서 뤄양으로 옮기고 다음 해인 605년 베이징에서 항저우를 잇는 운하의 건설에 착수하여 6년에 걸쳐 완성
  • 가격9,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3.02.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8314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