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 2-8. 운동량과 운동에너지(B):충격량과 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결과) 2-8. 운동량과 운동에너지(B):충격량과 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결과 및 분석
[1] 탄성충돌
1) 운동량보존
2) 운동에너지보존

[2] 비탄성충돌
1) 운동량보존
2) 운동에너지보존

2. 토의 및 결론
1). 탄성 충돌에서 보다 비탄성 충돌에서 발생하는 퍼센트 오차 값이 작은 이유
2). 탄성 충돌과 비탄성 충돌실험에서 카트1의 질량을 증가시킬수록 발생하는 퍼센트 오차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띄는 이유.

본문내용

클수록 카트2에서 손실 되는 운동량이 적어 운동량의 퍼센트 오차가 작아질 것 이다. 덧붙여 하나 더 생각해 보면 같은 맥락에서 카트1의 속도가 빠를수록 충돌 할 때의 속도의 변화량(=가속도a)이 크므로 카트1이 카트2에 작용하는 힘(F)가 클 것이고 따라서 운동량의 퍼센트 오차가 마찬가지로 작아질 것 을 생각 해 볼 수 있다.
- 탄성 충돌 실험에서 운동에너지의 퍼센트 오차 값은 운동량의 퍼센트 오차 값보다 더 크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는 아래 와 같이 증명 가능한 부분 이다.
- 비탄성 충돌 실험에서 운동에너지에 대한 퍼센트 오차 값이 20% 이상으로 계산 되었다. 이는 이론적으로 예상 했던 결과 인데 그 이유는 카트1과 카트2가 충돌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 소리, 기타 손실 에너지 등으로 운동에너지가 전환 된다는 개념으로 생각 해 볼 수 있다.
- 이번 실험에서 왜 탄성 충돌보다 비탄성 충돌에서 운동량의 퍼센트 오차가 더 작은지, 왜 카트1의 질량이 증가 할수록 운동량의 퍼센트 오차가 더 작아지는 경향을 보이는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며 사과가 나무에서 떨어지는 현상을 궁금해 했던 뉴턴, 빛이 어떤 계 에서도 항상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진행 한다는 점에서 시공간의 개념을 새로 확립 한 아인슈타인 등 위대한 과학자의 순수한 탐구 정신을 느낄 수 있었다. 물리라는 학문을 책에서 이론으로만 상상 해보았던 고등학교 시절과는 다르게 직접 손으로 만져보고 눈으로 관찰해가며 실험 하고 그 실험 결과에서 발생한 궁금증을 풀어가는 과정에서 내가 마치 물리학자가 된 것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었다.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2.20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15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