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 및 지능검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능 및 지능검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지능의 개념

2. 지능이론
 1) 지능의 이론
 2) 새로운 지능이론
  (1) Sternberg의 지능의 삼위일체 이론
  (2) 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

3. 지능검사
 1) 지능검사의 역사
 2) 지능 검사의 종류
  (1) Binet 검사
  (2) Wechsler 검사
  (3) 한국판 Kaufman 아동용 지능검사 (K-ABC 검사)
  (4) 그림지능검사 (Pictorial Test of Intelligence: PTI)
  (5) 집단 지능 검사
  (6) 탈문화지능검사

4. 다중지능검사를 활용한 Case

5.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 동시에 통합적으로 처리하는 능력을 나누어 평가한다. 일련의 규준표를 통해 실시된 각 하위검사 원점수들을 척도점수나 표준점수로 환산되며, 이러한 점수들을 합산하여 다시 종합 척도점수로 환산된다. 종합척도의 종류로는 “순차처리 척도”, “동시처리 척도”, 앞선 두 능력을 포괄하는 전반적인 지적 능력을 의미하는 “인지처리 과정 척도”가 있으며 또한 후천적으로 습득한 사실적 지식수준, 즉 학습수준을 의미하는 “습득도 척도” 점수가 산출된다.
(4) 그림지능검사 (Pictorial Test of Intelligence: PTI)
1) 검사의 제작 배경
미국 PTI
① 제작자 : J. L. French
② 지능검사의 전제 : 지능검사는 능력검사의 하나로 이 검사로써 측정된 결과가 타당하게 평가될 수 있으려면 검사를 받는 아동이 그가 알고 있는 것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어야 하지만 이 전제가 성립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 뇌성마비 아동의 경우 WISC의 동작성 검사 실시.미국의 임상심리학자 J. L. French는 이 점을 안타깝게 생각해서 말이나 동작으로 반응하지 않아도 대답을 할 수 있는 지능검사를 고안하였는데 이것이 그림 지능 검사이다.
한국판 PTI
① 제작 동기 : 1980년대 한국판 아동용 지능검사는 모두 정상아동이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서 언어장애 동작 장애를 지닌 특수아동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 그래서 미국판을 번안하였다.
2)그림지능검사(P.T.I)의 대상
4~7세 아동이면 정상아동과 장애아동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미국판 P.T.I에서는 대 상아동의 연령이 3~8세이지만 한국판 P.T.I의 경우 3세 아동의 확보와 검사실시의 어려움 으로 대상아동의 연령을 4~7세로 한다.)
3) 그림지능검사(P.T.I)의 구성
P.T.I의 제작자인 French에 의하면 지능이란 언어나 기호를 사용하여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생활에 적용하는 효율적인 적용능력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에 근거하여 P.T.I는 어휘력, 수계산 능력, 지각적 조직능력, 기억력, 그리고 추리력 등을 측정하기 위한 여섯 개의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1) 어휘능력검사
낱말을 나타내는 그림을 보여주고 해당 낱말에 맞는 그림을 선택지에서 골라내도록 되 어 있다. 이 소검사에서는 언어적 이해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아동이 이전에 배운 낱말의 뜻을 얼마나 알고 있는가를 측정한다.
(2) 형태변별검사
이 소검사는 아동이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그림을 보기카드로 보여주고, 그것과 같은 그림을 문제카드에서 골라내도록 되어있다. 문제카드의 4개의 그림들은 검사가 진행될수록 점점 비슷한 모양으로 그려져 있어, 난이도가 높아진다. 이 검사로 같은 형태와 비슷한 형태간의 차이를 지각하는 능력과 미완성의 형태를 머릿속에서 완성하는 조직능력을 측정한다.
(3) 상식 및 이해검사
이 소검사는 아동이 성장하면서 습득해 온 지식과 일반적인 상식을 알아보고, 아동이 성장한 문화적, 교육적 배경에 관한 정보를 얻고 주위환경에 대한 민감도를 알 수 있다.
(4) 유사성 찾기 검사
이 소검사는 그림이 있는 문제카드에서 나머지 3개와 개념적으로 다른 1개의 그림을 찾 아내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이 소검사는 사물이나 개념 간에 내포된 공통요소를 알아내는 추상화 능력을 측정한다.
(5) 크기와 수 개념검사
이 소검사는 크기의 지각 및 재인능력, 숫자의 기호인지 및 이해, 숫자 세기 그리고 간단 한 기호적인 산수 문제를 푸는 능력을 측정함으로써 수학적 추리능력을 알아본다.
(6) 회상능력검사
이 소검사에서는 보기카드를 5초 동안 제시한 후 문제카드에서 조금 전에 본 그림과 같 은 것을 찾아내도록 되어있다. 사물의 크기, 공간관계, 형태를 순간적으로 알아보는 지각 능력과 잠깐 동안 본 그림을 곧바로 회상해 내는 단기기억 능력을 측정한다.
4) 그림지능검사(P.T.I)의 장점과 단점
(1) 장점
① 검사문항과 응답의 선택지가 전부 그림이기 때문에 주위가 산만하고 학습에 흥미가 없는 아동들도 쉽게 검사에 끌어들일 수 있다.
② 질문이 간단하고 그에 대한 응답은 손가락이나 눈짓으로 해도 되기 때문에, 간단한 지시를 이해할 수 있는 아동이면 누구나 아는 것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다.
③ 검사실시와 채점이 간편하고 객관적이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실시가 가능하다.
④ P.T.I는 편차치 지능지수(IQ)와 정신연령(MA)의 두 가지 규준을 작성해 두어서 아동의 지능수준이 같은 나이 또래집단에서 어느 수준인지 알 수 있고 몇 살 정도의 지능수준인가를 알 수 있다.
⑤ 전체규준IQ 와 지역규준IQ로 나누어 작성해놓아 다각도 비교가 가능하다.
⑥ P.T.I는 개인용 지능검사이므로 지적능력을 측정하는 동시에, 관찰을 통해 여러 가지 특성에 대한 참고 자료도 얻을 수 있다.
⑦ P.T.I는 일반 지능검사로는 지능 측정이 어려운 정신 지체아동의 정신연령이나 IQ도 쉽게 추정할 수 있다.
(2) 단점
① 사지선다형으로 되어 있어 우연히 맞을 가능성이 높다.
5) 검사 실시상의 고려사항
① 검사자는 사전에 검사에 대한 상세한 지식과 충분한 훈련을 쌓아야한다.
② 사전 준비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검사에 들어가기 전, 검사자는 아동의 배경정보를 알아두고 검사장소와 검사도구가 제대로 준비되어 있는지 확인하여야한다.
③ 검사자와 아동간의 친밀감(rapport)이 형성, 유지 되어야 한다.
④ 실시 및 채점 방법은 실시요강에 기술된 표준 절차를 엄격히 따라야 한다.
4. 다중지능검사를 활용한 Case
1) 다중지능검사지
이 연구에서 사용된 MI검사는 문용린 외(2001)가 개발한 중고생용 MI검사를 초등학생용으로 번안 제작한 검사이다.
- 별첨 참고 -
2) MI검사 CASE 1
금파초등학교 2학년 남아
3) MI검사 CASE 2
금란초등학교 2학년 남아
5. 참고문헌
신민섭 외(2005), 웩슬러 지능검사를 통한 아동 정신병리의 진단평가, 서울: 학지사
신명희 외(2007), 교육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장현오(2003),“다중지능 이론과 미술교육”, 미술교육 이론의 탐색, 서울: 예경
박경 최순영(2002). “심리검사의 이론과 활용”: 학지사.
  • 가격2,2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3.02.23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17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