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본문내용
지능과, 논리수학적 지능에 편재에 있는 전통교육의 탈피가 일어 날 것이다. 이는 교육을 통한 지능개발 영역의 한계를 극복하여 더욱 복합적이고 합리적인 지능발달이 이루어 질 수 있다고 본다. 두 번째는 Pestalozzi가 얘기하였던 아동들의 교육 주체화 관점에서 볼 때, 선생님과 학교 방침에 따랐던 피상적인 교육에서 학생들을 위한, 학생들의 지능 발달을 생각한 교육방법으로 다양하게 변화한다는 것이다. 세 번째로는 전통학교에서 특별한 욕구를 가져 자의나 타의에 의해 학업을 포기해야만 했던 학생수가 감소할 것이라고 본다. 복합지능이론은 특수 욕구를 가진 아동들의 어려움이나 장애를 인정하지만 기본적으로 그들도 보통의 건강한 학생들과 똑같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복합지능이론을 통한 교육개혁의 좋은점들도 많이 나타나겠지만, 학교가 당면하게 될 문제점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복합지능이론을 적용하여 교육 할 때 학생들의 잠재력을 너무 일찍 발견하여 편협된 인간으로 몰아갈 문제점도 경계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복합지능에 의해 우리의 교육에 있어서 많은 발전이 있을거라고 의심치 않는다. 20년이 지난후에 모습을 생각할 때 선생님들이 학생에게 "더 골똘히 생각해라"라고 지시 할 경우, 학생들은 "어떤 지능으로 생각할까요?"라고 묻게 될 것같은 장면이 그려진다.
목차
●복합지능(MI)에 대한 도입
○복합지능(MI)의 7가지 지능
○독립적 복합지능(MI)의 논리적 근거
○복합지능(MI)의 핵심 주장
○복합지능(MI)의 평가·개발 방법
●저의 생각이나 고찰-복합지능(MI)으로 인한 학교 변화
-문제점 경계와 끝맺음
목차
●복합지능(MI)에 대한 도입
○복합지능(MI)의 7가지 지능
○독립적 복합지능(MI)의 논리적 근거
○복합지능(MI)의 핵심 주장
○복합지능(MI)의 평가·개발 방법
●저의 생각이나 고찰-복합지능(MI)으로 인한 학교 변화
-문제점 경계와 끝맺음
추천자료
정보와 컴퓨터(시험자료)
완전학습
학교학습모형,처방적교수이론,문제해결학습법,발견학습
교육심리학 키워드 정리
유아기의 조기교육에 실태와 문제점
Gateway to College English 1-3. Finding the Smart Part of Every Child
우리나라 90년대 이후 주택단지개발 현황
개별화학습(교육지도, 개별화수업) 의미와 종류, 개별화학습(교육지도, 개별화수업) 교육프로...
교육학개론
평생교육(평생학습)의 정의, 평생교육(평생학습)의 중요성, 평생교육(평생학습)의 내용, 평생...
[감성][감성교육][감성교육 사례][감성][뇌][교사역할]감성의 정의, 감성과 뇌, 감성의 활용...
팀티칭(협력교수)의 개념, 팀티칭(협력교수)의 유형, 팀티칭(협력교수)의 중요성, 팀티칭(협...
국제경영 OTIS-LG의 글로벌 전략
[한국경제의 이해] 정보통신(ICT)산업이란 무엇인지 설명하고, 한국 ICT산업의 현황 및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