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1. GLASSER 생애
1) GLASSER의 성장과정
2. 선택이론
1) 지각된 세계와 질적인 세계
2) 전행동 (Total Behavior)
3) 기본욕구
3. 현실요법
1) 주요개념 및 현실요법의 특징
2) 전통적인 정신분석과 현실요법의 차이점
4. 상담의 과정과 방법
1) 상담환경 가꾸기
2) 행동변화를 위한 상담과정 (W.D.E.P)
5. 가족치료와 현실요법
1) 현실가족치료의 목표와 절차
6. 현실치료의 평가
1) 현실치료의 강점과 한계점
1. GLASSER 생애
1) GLASSER의 성장과정
2. 선택이론
1) 지각된 세계와 질적인 세계
2) 전행동 (Total Behavior)
3) 기본욕구
3. 현실요법
1) 주요개념 및 현실요법의 특징
2) 전통적인 정신분석과 현실요법의 차이점
4. 상담의 과정과 방법
1) 상담환경 가꾸기
2) 행동변화를 위한 상담과정 (W.D.E.P)
5. 가족치료와 현실요법
1) 현실가족치료의 목표와 절차
6. 현실치료의 평가
1) 현실치료의 강점과 한계점
본문내용
거예요.
상35: 그럴지도 모르지요. 그렇지만 내가 공격하는 기운을 낮추면 저쪽도 공격하는 기운이 낮아질 수 있거든요. (메타포 사용)
내35: 제가 원하는 건 평화스러운(peaceful)거예요. 그걸 집에서 지키지 못하게 하니까 아들에게 너무 화가 나고 싫어요.
상36: 그가 다시 때릴까봐 두려운가요? (주제에 귀 기울이기)
내36: 네. 그래서 그가 술에서 깨어났을 때도 아주 싫은 소리를 하게 되요.
상37: 서로 인간으로 대하는 것이 아주 중요한 일입니다. 서로 존중하고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주 중요한 일이지요. (초점맞추기)
내37: 아들이 어렸을 때는 서로 이야기를 했어요.
상38: 지금이야말로 이야기할 필요가 아주 많은 시점인 것 같은데요? (초점맞추기)
내38: 이야기가 통하지 않아요.
상39: 이야기 해보세요(talk to him). 어떻게 하라고 하는 대신에요. (instead of telling him what to do). (계획하기)
내39: 그럼 이렇게 된 데는 제 문제가 크다는 말인가요?
상40: 그런 이야기가 아닙니다. 아들에게 커피를 만들어 주면서 그저 이야기를 해보라는 것이지요. 어떻게 하라고 야단치거나 네가 두렵다
는 메시지를 주지 말고요. (제안하기)
내40: 그게 될까요?
상41: 한 번 그렇게 해보면 어때요. 그 아이는 16살입니다. 우리 마음대로 어딘가 끌고 갈 수도 없고 집안 어디다 묶어 둘 수도 없지요.
(유머 사용하기)
내41: 그 아이가 집에 취해서 만쥐한 상태에서 행패를 부리려는 걸 보는 건 정말 끔찍해요.
상42: 아이가 집에 돌아오는 걸 원하십니까? (바램 탐색하기)
내42: 그럼요. 아들이 집에 돌아오는 걸 원해요. 그렇지만 술에 취하지 않고 깨어있는 상태로요.
상43: 그러니까 아들이 집에 들어오는 걸 원하기는 술에 취하지 않고 깨어 있는 상태로 오기를 원하는 거지요. (초점맞추기)
내43: 네.
상44: 그래서 어떻게 하셨습니까? (전행동 탐색하기)
내44: 술마시고 들어오면 마구 화내고 야단치고 그랬지요. 그게 소용이 없으면 아침에 아들이 집을 나갈 때 제발 술마시고 들어오지 말라
고 나는 그런 꼴 보기 싫다고 말하고는 했지요.
상45: 그렇게 말하면 효과가 있었나요? (평가하기)
내45: .....아니요. 점점 더 상태가 나빠지기만 한 것 같아요.
상46: 그러니까 그렇게 말하면서 그 애를 대한게 아무 도움이 안되었다는 말이지요. (요약하기)
내46: .....그렇게 된 셈이지요.
상47: 그럼 다르게 말한다면 어떻게 해보면 좋을까요? (제안하기)
내47: 이렇게 말해보면 어떨까요? 켄. 너는 나한테 아주 중요한 사람이야.
상48: 처음부터 갑자기 그렇게 말하는건 좀 너무 무겁지 않을까 싶은데요. (계획에 대한 평가)
내48: 이렇게 말해볼까요? 나는 네가 집에 오기 바래.
상49: 그렇게 말해보실 수 있겠어요? (계획하기)
내49: 그렇게 말해본 적은 없었어요. 이렇게 하라. 저렇게 하지 말라. 이렇게 하는게 정말 싫다. 그렇게만 말했었지요.
상50: 그런 이야기는 많이 할수록 관계가 멀어지게 되지요. 아들인 켄은 그런 이야기를 하거나 듣고 싶지 않을 겁니다. (평가하기)
내50: 가르치거나 설교하는 것을 그만두어야 할까요?
상51: 이미 가르치거나 설교하는 건 수천 번 하셨을 겁니다. 소용이 있었던가요? (평가하기)
내51: .....아무 소용이 없었지요.
상52: 아들이 집에 있을 때 자면 그대로 놓아두고 안 자면 커피를 끓여주실 수 있겠어요? 가르치거나 설교하지 않구요. (제안하기)
내52: 그렇다면 무슨 이야기를 하면 좋을까요?
상53: 네 친구가 되어줄게. 나는 네 엄마고 너를 사랑한다, 같은 말을 하면 좋겠지요. (제안하기)
내53: 아들이 어떻게 나올까요?
상54: 모르지요. 아들이 뭐라고 말하면 잘 듣고, 말하지 않으면 당신이 말하세요. (제안하기)
그럴 때 꼭 기억해 두실 일은 가르침이나 설교는 소용없다는 점입니다. (평가하기)
내54: 그렇게 하면 좋은 관계가 유지될까요?
상55: 우선 두 사람이 좀 더 가까워질 가능성은 있지요. (평가하기) 가까워지고 싶지 않으십니까? (바램탐색)
아들과 가까워지면 상담받느라고 돈들일 필요도 없어 돈도 안들게 되지요. (유머사용)
내55: .....
상56: 당신은 사업을 할 때 첫째로 좋은 관계를 유지하려고 들지 않으십니까? 소리치고 고함지르고 하면 보험 업무가 잘 이루어질 수가 없
지요. 집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예측하게 하기)
내56: 아버지를 따라 한다는 말을 아주 싫어하는데도 자주 했어요.
상57: 아버지를 아들도 두려워하고 있을지 모릅니다. (요약하기)
내57: 내 감정에 휩싸여 그런 생각을 하지 못했어요. 아들이 어렸을 때 아버지를 몹시 무서워했지요.
상58: 지금 현재 상태에서 실제로 남편이 문제입니까? (촛점 맞추기)
내58: .....사실 그런건 아니예요.
상59: 아들이 말하고 싶어하는 관심사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초점 맞추기)
내59: 야구경기며 하키팀에 관한 거지요.
상60: 그런데 관해 자연스럽게 이야기 해보실 수 있어요? (계획하기)
내60: 네. 해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전에는 그런 이야기를 많이 했지요.
상61: 중요한 것은 있지도 않은 남편이 지금 당신과 아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아이를 대하는 점이지요. (계획하기)
내61: 알겠어요. 그렇게 한 번 해볼께요. 딸하고는 잘 지내거든요.
상62: 아주 좋습니다. 어떻게 되는지 제게 전화해주시겠습니까? 필요하다면 다시 제게 돌아와서 다른 방법을 찾아보지요. (약속 받아내기)
내62: 그렇게 할게요.
상63: 여기 올 때 기대했던 것과 많이 다릅니까? (평가하기)
내63: 네. 어떻게도 도움받기 어려우리라고 생각했었는데 이제는 무언가 해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상64: 자. 그럼 집에 가셔서 이야기 한 대로 해보신 후 전화로 우리 다시 이야기를 나누어 보지요. (약속하기)
내64: 감사합니다.
출처 : 심리상담전문가모임
[출처][현실치료] 역할 연습(Role Play) 방법|작성자고도
상35: 그럴지도 모르지요. 그렇지만 내가 공격하는 기운을 낮추면 저쪽도 공격하는 기운이 낮아질 수 있거든요. (메타포 사용)
내35: 제가 원하는 건 평화스러운(peaceful)거예요. 그걸 집에서 지키지 못하게 하니까 아들에게 너무 화가 나고 싫어요.
상36: 그가 다시 때릴까봐 두려운가요? (주제에 귀 기울이기)
내36: 네. 그래서 그가 술에서 깨어났을 때도 아주 싫은 소리를 하게 되요.
상37: 서로 인간으로 대하는 것이 아주 중요한 일입니다. 서로 존중하고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주 중요한 일이지요. (초점맞추기)
내37: 아들이 어렸을 때는 서로 이야기를 했어요.
상38: 지금이야말로 이야기할 필요가 아주 많은 시점인 것 같은데요? (초점맞추기)
내38: 이야기가 통하지 않아요.
상39: 이야기 해보세요(talk to him). 어떻게 하라고 하는 대신에요. (instead of telling him what to do). (계획하기)
내39: 그럼 이렇게 된 데는 제 문제가 크다는 말인가요?
상40: 그런 이야기가 아닙니다. 아들에게 커피를 만들어 주면서 그저 이야기를 해보라는 것이지요. 어떻게 하라고 야단치거나 네가 두렵다
는 메시지를 주지 말고요. (제안하기)
내40: 그게 될까요?
상41: 한 번 그렇게 해보면 어때요. 그 아이는 16살입니다. 우리 마음대로 어딘가 끌고 갈 수도 없고 집안 어디다 묶어 둘 수도 없지요.
(유머 사용하기)
내41: 그 아이가 집에 취해서 만쥐한 상태에서 행패를 부리려는 걸 보는 건 정말 끔찍해요.
상42: 아이가 집에 돌아오는 걸 원하십니까? (바램 탐색하기)
내42: 그럼요. 아들이 집에 돌아오는 걸 원해요. 그렇지만 술에 취하지 않고 깨어있는 상태로요.
상43: 그러니까 아들이 집에 들어오는 걸 원하기는 술에 취하지 않고 깨어 있는 상태로 오기를 원하는 거지요. (초점맞추기)
내43: 네.
상44: 그래서 어떻게 하셨습니까? (전행동 탐색하기)
내44: 술마시고 들어오면 마구 화내고 야단치고 그랬지요. 그게 소용이 없으면 아침에 아들이 집을 나갈 때 제발 술마시고 들어오지 말라
고 나는 그런 꼴 보기 싫다고 말하고는 했지요.
상45: 그렇게 말하면 효과가 있었나요? (평가하기)
내45: .....아니요. 점점 더 상태가 나빠지기만 한 것 같아요.
상46: 그러니까 그렇게 말하면서 그 애를 대한게 아무 도움이 안되었다는 말이지요. (요약하기)
내46: .....그렇게 된 셈이지요.
상47: 그럼 다르게 말한다면 어떻게 해보면 좋을까요? (제안하기)
내47: 이렇게 말해보면 어떨까요? 켄. 너는 나한테 아주 중요한 사람이야.
상48: 처음부터 갑자기 그렇게 말하는건 좀 너무 무겁지 않을까 싶은데요. (계획에 대한 평가)
내48: 이렇게 말해볼까요? 나는 네가 집에 오기 바래.
상49: 그렇게 말해보실 수 있겠어요? (계획하기)
내49: 그렇게 말해본 적은 없었어요. 이렇게 하라. 저렇게 하지 말라. 이렇게 하는게 정말 싫다. 그렇게만 말했었지요.
상50: 그런 이야기는 많이 할수록 관계가 멀어지게 되지요. 아들인 켄은 그런 이야기를 하거나 듣고 싶지 않을 겁니다. (평가하기)
내50: 가르치거나 설교하는 것을 그만두어야 할까요?
상51: 이미 가르치거나 설교하는 건 수천 번 하셨을 겁니다. 소용이 있었던가요? (평가하기)
내51: .....아무 소용이 없었지요.
상52: 아들이 집에 있을 때 자면 그대로 놓아두고 안 자면 커피를 끓여주실 수 있겠어요? 가르치거나 설교하지 않구요. (제안하기)
내52: 그렇다면 무슨 이야기를 하면 좋을까요?
상53: 네 친구가 되어줄게. 나는 네 엄마고 너를 사랑한다, 같은 말을 하면 좋겠지요. (제안하기)
내53: 아들이 어떻게 나올까요?
상54: 모르지요. 아들이 뭐라고 말하면 잘 듣고, 말하지 않으면 당신이 말하세요. (제안하기)
그럴 때 꼭 기억해 두실 일은 가르침이나 설교는 소용없다는 점입니다. (평가하기)
내54: 그렇게 하면 좋은 관계가 유지될까요?
상55: 우선 두 사람이 좀 더 가까워질 가능성은 있지요. (평가하기) 가까워지고 싶지 않으십니까? (바램탐색)
아들과 가까워지면 상담받느라고 돈들일 필요도 없어 돈도 안들게 되지요. (유머사용)
내55: .....
상56: 당신은 사업을 할 때 첫째로 좋은 관계를 유지하려고 들지 않으십니까? 소리치고 고함지르고 하면 보험 업무가 잘 이루어질 수가 없
지요. 집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예측하게 하기)
내56: 아버지를 따라 한다는 말을 아주 싫어하는데도 자주 했어요.
상57: 아버지를 아들도 두려워하고 있을지 모릅니다. (요약하기)
내57: 내 감정에 휩싸여 그런 생각을 하지 못했어요. 아들이 어렸을 때 아버지를 몹시 무서워했지요.
상58: 지금 현재 상태에서 실제로 남편이 문제입니까? (촛점 맞추기)
내58: .....사실 그런건 아니예요.
상59: 아들이 말하고 싶어하는 관심사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초점 맞추기)
내59: 야구경기며 하키팀에 관한 거지요.
상60: 그런데 관해 자연스럽게 이야기 해보실 수 있어요? (계획하기)
내60: 네. 해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전에는 그런 이야기를 많이 했지요.
상61: 중요한 것은 있지도 않은 남편이 지금 당신과 아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아이를 대하는 점이지요. (계획하기)
내61: 알겠어요. 그렇게 한 번 해볼께요. 딸하고는 잘 지내거든요.
상62: 아주 좋습니다. 어떻게 되는지 제게 전화해주시겠습니까? 필요하다면 다시 제게 돌아와서 다른 방법을 찾아보지요. (약속 받아내기)
내62: 그렇게 할게요.
상63: 여기 올 때 기대했던 것과 많이 다릅니까? (평가하기)
내63: 네. 어떻게도 도움받기 어려우리라고 생각했었는데 이제는 무언가 해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상64: 자. 그럼 집에 가셔서 이야기 한 대로 해보신 후 전화로 우리 다시 이야기를 나누어 보지요. (약속하기)
내64: 감사합니다.
출처 : 심리상담전문가모임
[출처][현실치료] 역할 연습(Role Play) 방법|작성자고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