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산업 - 생체고분자와 시장동향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료산업 - 생체고분자와 시장동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생체 고분자의 기술동향 분석
2. 특허정보 분석
3. 시장 동향 및 전망

결론

본문내용

종 외상 치료제가 3억 4천만 불, 의료시술용 기구가 2억 6천만 불 순이었다. 2002년에는 생체재료의 시장이 60억 불에 이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매년 미국에서 행해지고 있는 360만 회에 이르는 정형외과 수술의 40% 정도가 금속이식과 관련된 것으로, 골절된 뼈의 접합이나 손상된 무릎, 엉덩이 등의 인공관절 교체수술이 그 예이다. 이 밖에도 금속재료는 의치나 치아교정에 사용되는 치과재료와 기형적인 턱을 교정시키는 재료, 인공심장과 같은 인공장기의 부품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많은 인공관절이나 인공장기의 수술이 시행되고 있지만, 생체용 금속재료에 관한 연구개발은 아직도 초보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막대한 금액의 임플란트 관련재료를 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21세기 선도기술 로드맵 자료 중에서 생체재료를 이용한 인공장기의 세계 시장규모는 2002년 6억 달러에서 2005년에는 8,400억 달러, 2012년에는 2조 달러로 폭발적인 증가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 업체 동향
2002년도 바이오 인공장기 개발에 관여하는 업체는 약 89개, 1995년부터 2002년도까지의 연성장률은 11%, 직원 수는 약 2,611명, 2002년 한해 소요경비는 약 4억8천7백만 달러, 자산은 3억7백만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며, 연구 개발비로 45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다. 세포 수준의 장기 영역이 상대적으로 37%를 증가한 반면 대사적, 구조적 장기 영역 부분은 각각 33%, 50% 감소하였다. 미국의 조직공학을 이용한 인공장기 개발의 선두업체로서 Organogenesis 사 (http://www.organogenesis.com)는 인공피부 제품 (상품명: Apligraf)로 널리 알려진 회사로서 2001년 초에는 Novatis사에 개발 중인 Organogenesis 사의 다른 제품의 마케팅 권리를 양도하여 수입의 현저한 증가를 보였으며,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정맥 대체용 소구경 인공혈관을 개발 중에 있다.
또한, 심혈관이나 정형외과용 이식재료로서 응용을 위한 생체조직의 저온보관기술 (cyropreservation)의 선두주자인 CryoLife사 (http://www.cryolife.com)는 수술용 접합재(상품명: BioGlue), 조직공학 기법을 사용한 돼지 심장판막 (상품명: SynerGraft) 등을 상업화하였고, CryoLife사는 조직보관 기술을 통해 2001년 미국에서 이식된 심장판막의 약 70%를 공급하고 있다.
국내의 장기이식 대기자는 2002년 10,144명으로 그 중에서 각막, 골수 이식 대기자 4,987명을 제외하면 신장 4,005건, 심장 117건, 간장 893건, 췌장 106건, 폐 36건으로 전체 5,157건에 달한다. 이 중에서 장기이식 수술을 받은 경우 2002년 국내 뇌사자에 의한 신장, 간 및 심장, 폐, 췌장의 이식수술은 각각 70건, 28건 및 11건, 2건, 8건으로, 총 119건인데, 이것은 장기이식 대기자의 1%를 겨우 넘는 수준이다. 따라서 장기이식을 원하는 많은 환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인공관절을 비롯한 의료용구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 전체규모는 대략 700억원에 이른다. 국내 시장의 경우, 사실상 현재 의료용 고분자를 이용한 인공장기의 시장 규모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다만 국내에서 최초로 상업화에 성공한 것은 셀론텍의 자가 연골 이식술 제품인 콘드론®이다. 이는 국내 최초 및 유일한 KFDA의 생명공학분야 승인제품으로 현재 활발한 제품생산과 이식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세포의 배양 및 공급에 500~600만원의 비용이 드는 것으로 발표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40세 이하의 환자에게 의료보험이 적용되어 200만원 정도의 저렴한 수술비용으로 저변확대에 힘쓰고 있다. 국내의 경우 대부분의 바이오 인공장기 개발은 연구소나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 세포 수준의 장기 영역에서 몇 개의 바이오 전문회사들이 참여하고 있으나 정확한 시장 규모나 판매 실적 등은 보고 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결론
생명연장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생체에 적합한 재료를 활용한 인공장기 및 인공피부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한 선진국들은 생체고분자를 활용한 인공장기 및 인공피부의 연구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다양한 생명공학기술 가운데 어떤 방법이 가장 인공장기를 빨리 생산할 수 있게 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는 해결이 쉽지 않다. 인공장기를 생산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 세포조직공학은 상대적으로 윤리적 제재가 적어 인공장기로의 발전가능성이 무한하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의료용 고분자의 특성을 활용한 생체고분자 재료를 통하여 인공장기를 생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바, 메카트로닉스 등 주변기술이 함께 활용된 인공장기가 머지않아 등장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도 여러 연구소와 벤처기업 등에서 생체고분자 재료를 활용한 인공장기와 인공피부의 개발이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선진국에 비해 기술수준이 크게 뒤져 있는 것이 사실이다. 국가적 차원에서의 전략 마련과 함께, 대대적인 연구개발 투자가 단행되어야 하며, 산.학.연 제휴를 통한 의학 및 공학의 학문적 연구협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1. Gastner DG, Ratner BD, Surface Science 2002;500:42
2. KISTI, “바이오인공장기”
3. 이진호, "PEO 표면의 혈액적합성", 고분자과학과 기술
4. 조원제, "고분자합성에 대한 최근 국내동향", 고분자과학과 기술
5. “바이오 인공장기 미래전망 보고서”, 후지경제연구소
6. Wang X. et. al., Tissue engineering of biphasic cartilage constructs using various biodegradable scaffolds: an in vitro study, Biomaterials 25: 3681-3688, 2004
7. www.kisti.re.kr
8. http://www.mctnet.org
  • 가격2,8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3.03.12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34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