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브낭 등가회로로 변환시킬때는 우선 구하려는 단자에서 부하저항을 제거하고 전압을 측정하고 계산한다. 이 개방회로전압이 테브낭 전압값()이다. 그다음으로 전압원을 단락시키고 내부저항을 측정하고 계산한다. 이것이 이 개방회로의 저항값()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찾은 전압값()과 저항값()을 이용하여 하나의 전압원과 하나의 직렬저항을 가진 테브낭등가회로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전압원을 테브낭전압값() 저항값은 테브낭저항값()이 된다.
결론은
1)테브낭 등가회로는 하나의 전압원과 하나의 직렬저항 2단자의 출력단자으로 변환된다.
2)1번째로 구하려는 부하저항을 제거하고 전압을 측정한다 이것이 테브낭 전압값이다.
3)2번째로 전압원을 단락시키고 측정한 내부저항값이 테브낭 저항값이 된다.
4)이렇게 구한 전압값과 저항값이 테브낭등가회로를 구성하는 전압원과 저항값이 되는 것이다.
그 것에 대한 다른 결과는 <표 12-2>와 <표 12-3>의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실험의 결과로 테브낭 정리는 구하려는 출력단자 사이에 어떠한 부하에도 같은 응답값을 얻어낼수 있고 간단히 등가변환 시켜줄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준 실험이다.
고찰
이 실험을 통해서 복잡한 회로에서 한 단자에 어떤 단자를 변환해서 쉽게 보고 계산할 수 있어 복잡한 회로에서 출력단에 어떠한 부하저항이 연결되어도 빠르고 편하게 전압값을 구할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되면 실제 회로를 구성할때에도 그렇게 많은 저항이 필요없이 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누구나 누구나 빠르게 회로를 구성 및 계산 가능해 높은 효율을 볼 수 있을거 같다고 생각된다.
결론은
1)테브낭 등가회로는 하나의 전압원과 하나의 직렬저항 2단자의 출력단자으로 변환된다.
2)1번째로 구하려는 부하저항을 제거하고 전압을 측정한다 이것이 테브낭 전압값이다.
3)2번째로 전압원을 단락시키고 측정한 내부저항값이 테브낭 저항값이 된다.
4)이렇게 구한 전압값과 저항값이 테브낭등가회로를 구성하는 전압원과 저항값이 되는 것이다.
그 것에 대한 다른 결과는 <표 12-2>와 <표 12-3>의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실험의 결과로 테브낭 정리는 구하려는 출력단자 사이에 어떠한 부하에도 같은 응답값을 얻어낼수 있고 간단히 등가변환 시켜줄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준 실험이다.
고찰
이 실험을 통해서 복잡한 회로에서 한 단자에 어떤 단자를 변환해서 쉽게 보고 계산할 수 있어 복잡한 회로에서 출력단에 어떠한 부하저항이 연결되어도 빠르고 편하게 전압값을 구할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되면 실제 회로를 구성할때에도 그렇게 많은 저항이 필요없이 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누구나 누구나 빠르게 회로를 구성 및 계산 가능해 높은 효율을 볼 수 있을거 같다고 생각된다.
추천자료
다이오드 반파와 브리지형 전파 정류회로 실험
Ch6. 기본 논리 게이트와 그 응용<디지털회로실험//경희대학교>
Ch14. 비동기식 카운터(Asynchronous Counters)<디지털회로실험//경희대학교>
Ch15. 동기식 카운터(Synchronous Counters)<디지털회로실험//경희대학교>
두개 이상 전압원 선형회로 중첩정리
실험(3) 예비 3-3,4 제너 다이오드의 로우딩,반파정류회로
[일반물리 실험] 2-7. RLC 교류회로 결과보고서
[일반물리 실험] 2-6. RLC 직류회로 결과보고서
[일반물리 실험] 2-6. RLC 직류회로 예비보고서
[물리 실험 보고서] RLC 회로의 임피던스
키르히호프의 법칙,전압분배 회로,전지의 내부저항 실험 보고서
[기초전기전자] 테브난의 등가 회로 실험
실험보고서 - 중첩정리 실험
증폭기의 주파수 특성_예비(전자회로실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