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과 비만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운동과 비만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에서는 내장지방이 100cm2 이상일 때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내장지방면적/피하지방면적의 비를 측정하여 0.4 이상을 내장비만으로 진단한 연구도 있다. 컴퓨터 단층촬영의 단점은 방사선 노출, 고비용과 접근성이 좋지 않은 점이다. 이외에 자기공명영상(MRI)이나 초음파검사, 이중에너지방사선측정법 등이 있으나 실제로 내장지방을 측정하는 데 활용도가 높지는 않다.
치료 복부비만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식사요법, 운동, 약물요법 등 다양한 각도의 접근이 필요하다.
경과/합병증
내장지방이 많으면 우리 몸의 인슐린 작용을 방해하고 염증 물질이 늘어나 여러 가지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당뇨, 관상동맥질환, 이상지질혈증(콜레스테롤 이상) 등이 잘 알려져 있으며, 내장지방은 지방간과 비알콜성 지방간염(음주와 관련 없이 지방간에 동반하여 간기능 수치의 이상을 보이는 경우)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복부비만은 수면무호흡증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복부비만에서 지방의 축적으로 인해 생기는 체내 공간의 감소와 내장지방의 축적으로 인해 횡격막이 과다 신장되어 호흡운동 시 폐의 탄성에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내장지방은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예방방법
과일, 채소, 통곡류, 살코기 등의 섭취를 권장하며 포화지방산(주로 동물성 기름)이 많은 고지방 식품, 정제된 곡류의 섭취를 제한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적절한 음주는 내장비만 환자에서 콜레스테롤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일반인은 자신의 최대운동능력의 50~80% 범위 내의 강도로, 하루 30~60분을 일주일에 3~5회 시행하는 것이 좋지만, 비만한 사람에서는 운동의 강도를 50~60%로 낮게 하고, 운동시간을 60분 이상으로 늘리며, 일주일에 6~7회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활 가이드
복부비만은 운동량은 줄어들고 식사량은 많아지기 때문에 남는 에너지가 지방으로 복부에 축적되는 것이다. 따라서 필요 이상의 칼로리 섭취를 줄이고 자신에게 맞는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좋다.
식이요법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한다.
- 너무 단기간에 체중을 줄여야 한다는 조급한 생각을 버려야 한다.
- 절식을 하되 식사량을 너무 심하게 줄이면 안 된다. 하루 세끼를 기본으로 하되 저녁식사의 양을 3분의 2 정도 줄이는 것이 적당하다.
- 저녁은 7시 전에 가족과 함께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외식을 해도 담백한 음식, 두부찌개, 오뎅백반, 생선정식, 청국장, 칼국수 등으로 선택한다. 탕 종류를 먹더라도 밥을 한꺼번에 말아 먹기보다는 항상 전보다 적은 양을 먹어야겠다는 생각을 하도록 한다.
- 술은 완전히 끊지 않아도 되지만, 취하지 않을 정도로 과일이나 야채 안주와 함께 먹어야 한다. 음주 후에 해장국이나 해장라면 등을 먹고 곧장 자는 일은 절대로 없어야 한다. 위에 부담을 주고, 비만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해장에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출처-네이버건강 질병 의학http://health.naver.com/medical/disease]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3.15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43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