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환경] 습지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태환경] 습지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습지를 사구습지라고 하는데 사구습지는 범람빈도와 발생 장소에 따라 사구지대와 배후산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사구배후습지’와 사구지대 내에서 일시적인 수위의 상승에 의해 형성되는 ‘습윤사구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두웅습지의 형성과정
대부분의 사구지대 후면에는 평지나 배후산지가 뒤이어 나타난다. 굴곡이 심한 해안선에서 골짜기의 전면에 사구사가 쌓여 사구지대가 형성되면 사구지대와 배후산지 골짜기의 경계부에는 담수가 고여 ‘사구배후습지’로 불리는 습지가 형성된다. ‘사구배후습지’의 대표적인 기능은 재해로부터 해안선과 주민을 보호하고 담수를 저장하는 것으로 수량이 풍부하여 주변 지역은 논으로 개간되어 이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두웅습지의 (생태학적)중요성
두웅습지와 같은 ‘사구배후습지’의 물은 배후지로부터 공급되는 것뿐만 아니라 사구지대 하부의 거대한 담수 탱크와 연계 되어 있어 수위가 낮아질 경우 사구지대로부터 역으로 보충된다. 따라서 사구지대 내부에 일시적으로 형성되는 ‘습윤사구저지’와 달리 ‘사구배후습지’는 물이 거의 마르지 않는다. 따라서 이곳을 터전으로 하는 습지 동, 식물에게 안정적인 수분공급원인 동시에 서식지이고, 금개구리나 맹꽁이 같은 중요한 양서류와 수서 곤충류의 산란지이다.
보전 활동
두웅습지는 주변에 농경지가 적어 사람의 간섭은 적게 받고 있지만 포식자들의 침입으로 큰 몸살 을 앓고 있다. 이곳의 관리인이 황소 개구리와 붉은귀거북을 포획하고 있지만 이들 포식자의 수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2002년에 환경부는 두웅습지를 사구습지로는 최초로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금강유역환경청에서 관리하고 있다. 금강유역환경청에서는 수위·수 질, 동식물에 대해 정기적으로 모니터링을 하고 있으며, 보호 지역 내에 오염원 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토지 매수 등의 습지 보전 활동과 더불어 습지 생태탐방을 돕기 위한 자연환경 안내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됨에 따라 이곳에서는 토지형질 변경, 식물 채취, 수 위 변동 행위 등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치는 행위가 금지되고 있으며, 환경부에 서는 차츰차츰 두웅습지 일대의 사유지를 매입할 계획이다.
두웅습지 보전을 위한 국민 실천사항
다량의 지하수 취수는 사구지대 전체의 지하수량 감소를 초래하고 이는 담수와 염수의 평형 상태를 붕괴시켜 염수(해수)가 침입하여 사람이나 동, 식물이 사용할 수 없는 물이 될 수도 있으며, 사구지대를 이루는 모래는 투수성이 매우 높아 하수 등이 여과되지 않은 채 유입되거나, 쓰레기 침출수가 유입되면 빠른 확산과정을 통해 지하수 전체가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습지 동, 식물의 포획과 채취는 물론 물 고갈이나 수질오염은 사구담수생태계의 붕괴로 이어지며, 이는 곧바로 주민과 생물을 포함한 사구 생태계 전체의 붕괴를 의미한다. 해안사구는 매우 민감한 생태계이고 동, 식물과 인간 공동의 삶의 기반이므로 습지의 보전을 위해서는 동, 식물의 보존과 보호, 지하수의 과도한 사용 자제 하수의 철저한 관리, 쓰레기 투기금지 등 세심한 주의와 배려가 요구된다.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3.18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47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