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사례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관련 질병 및 문헌 고찰
간호과정
관련 질병 및 문헌 고찰
간호과정
본문내용
0.5T *QD
dopamine D2 serotonin 2 receptor antagonist : 정신분열증의 치료,양극성장애와 관련된 조증의치료
졸음,어지러움,변비,기립성 저혈압, 구강건조, 간효소 이상, 두통, 무력증, 복통, 고혈당
없음
lasix
0.5T * QD
고혈압(본태성, 신성 등), 원발성알도스테론증,저칼륨혈증, 심성부종(울혈성심부전)
신성부종, 간성부종, 특발성부종
저칼륨혈증, 심부전, 기립성 저혈압
없음
aldactone
2T * QD
고혈압(본태성, 신성 등), 원발성알도스테론증,저칼륨혈증, 심성부종(울혈성심부전)
신성부종, 간성부종, 특발성부종
고칼륨혈증, 다리경련
어지러움, 두통, 신경과민
없음
(2)간호과정양식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주관적 자료>
-“발이 너무 부어서서있기도 힘드네”
-“배가 불러 물 좀 빼죠. 숨쉬는 것도 힘드네”
<객관적자료>
-몸무게
60.4->62.4kg증량
-albumin: 3.0
-Na:122
-ptting edema +++
-abdomen
distension ↑
#1. 간기능저하와 관련된 체액과다
<장기목표>
1.퇴원전까지 정상체중을 유지 한다.
<단기목표>
1. 24시간이내 호흡이 편안하다고 표현한다.
2.48시간 이내 체중이 감소한다.
3.ptting edema ++정도로 감소 보인다.
1.처방에 따른 이뇨제, 알부민을 투여한다.
2.paracetesis시행시 전후 간호와 체액 양상 확인을 한다.
3.8시간 간격으로 I/O check를 기록하고 비교한다.
4. V/S과 함께 호흡 양상을 관찰한다.
5.부종이 나타나는 부위와 정도를 사정한다.
6. 필요시 하지를 올려준다.
* 이뇨제, 알부민투여하여 수분, 전해질 balance를 맞춘다.
* paracentesis 시행으로 체액을 빼고 복부 팽만감을 감소시킬수 있다.
* 호흡 양상의 변화를 관찰하여 환자 안위를 살핀다.
*하지부종을 완화시킨다.
1. 처방에따른 lasix, aldactone, albumin투여후 부작용 유무 관찰함.
I/O balance 확인함.
2. 임상 병리 검사 결과 확인하여 비교함.
3. paracentesis후 환자 상태및 체액양과 양상을 확인함.
4.V/S시 호흡 양상 관찰하며 semifowler's position취해줌
5.하지 부종양상을 관찰함. 간헐적으로 하지 elevation시행함.
1. 24시간 이내 호흡의 용이함을 표현함.
2.몸무게 62.4kg->60.7kg으로 감량함(당일)
3.요흔성 부종 +++ -> ++ 감소함.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주관적 자료>
“넘어지면서 팔이 침대에 부딪혔어. 피가 나더라고”
“다리가 너무 부어서 서기도 힘드네”
<객관적자료>
-오른쪽 팔꿈치
2*2cm bleeding &
wound 관찰됨.
-PLT 71.00
-PT/aPPT
21.2/30.1
-NP consult상
delirium의 양상 소견 관찰된다함.
-낙상위험평가도구
15점(13점이상고위험)
#2.낙상사고와 관련된 피부손상
<장기목표>
1.퇴원전까지 낙상 사고가 일어나지 않는다.
2. 일주일안에 wound healing이 된다.
<단기목표>
1.48시간안에 wound site 통증이 없다고 표현한다.
2.10분이내 bleeding이 나지 않는다.
3.감염소견이 나타나지 않는다.
1.wound site 상태 확인후 처방에 따라 dressing 시행한다.
2. 통증 양상을 확인한다.
3. wound site 외부자극을 최소화 한다.
4. 이동시 간호사와 함께 움직이며 움직임 제한에 대해 설명한다.
*ressing을 통해 감염을 예방하고 wound care를 한다.
*통증 양상 확인을 통해 환자에게 적절한 통증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자극에 의한 이차적 손실을 방지 한다.
*낙상위험성을 최소화 한다.
1. wound site 처방난 메디폼으로 dressing시행함.
2. wound site 통증 정도를 사정하여 확인함.
3. 환자 주위에 걸리는 물건을 정리함.
4.화장실등 이동시 간호사또는 보호자와 함께 이동함.
5. 낙상 위험성에 대해 교육함.
1. 48시간 이내 통증이 없다고 표현함.
2. bleeding 없음
3. 감염 없음
4. dressing상태 유지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주관적 자료>
-“다리가 너무 부어서 서기도 힘드네”
-“몸에 힘이 없네... 움직이지도 못하겠다”
<객관적자료>
-70세 고령 환자
-9월11일 낙상사고 2건발생
-foot pitting edema +++
-monilac-syrup 복용으로 화장실 이용 횟수 증가
#3. 전신쇠약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장기목표>
1.퇴원전까지 낙상사고가 일어나지 않는다.
<단기목표>
1. 일주일에 3-4번 복도 걷기 운동을 시행한다.
2. 이틀안에 낙상 사고 일어나지 않는다.
1. 화장실 이동시 간호사와 함께 이동한다.
2. 간호사와 함께 20분씩 복도 걷기를 시행한다.
3. 낙상 주의에 대해 설명하고 보호자에게도 설명한다.
4. 주위 환경을 안전한 환경으로 제공한다.
5. 약물 부작용에 대해 설명후 약 복용시간때 활동을 피하다록 교육한다.
6. 간헐적으로 하지 elevation시행함.
* 이동시 보호자 또는 간호사와 함께 이동하므로서 낙상을 최소화 한다.
* 운동 활동을 통해 전신 쇠약에 호전을 보일 수 있다.
* 약물 부작용(특히 어지러움)에 대해 인지하고 활동 할 수 있다.
1.활동량을 check하며 이동시 간호사또는 보호자와 함께 이동함.
2. 낙상 위험성에 대해 반복 교육 시행함.
3. 병실 주위에 걸리는 물건을 정리함.
4.투약시 부작용에 대해 설명함.
1.2일동안 2차례 복도 10-20분 걷기 운동시행함.
2.낙상 사고 일어나지 않음.
참고문헌
전시자 외(2000). 성인간호학. 서울 : 현문사
대한간호협회(1995). 간호진단과 간호계획. 서울 : 대한간호협회
한경자 외(1996). 간호중재.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대학교병원(1994). 간호진단과 간호계획.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dopamine D2 serotonin 2 receptor antagonist : 정신분열증의 치료,양극성장애와 관련된 조증의치료
졸음,어지러움,변비,기립성 저혈압, 구강건조, 간효소 이상, 두통, 무력증, 복통, 고혈당
없음
lasix
0.5T * QD
고혈압(본태성, 신성 등), 원발성알도스테론증,저칼륨혈증, 심성부종(울혈성심부전)
신성부종, 간성부종, 특발성부종
저칼륨혈증, 심부전, 기립성 저혈압
없음
aldactone
2T * QD
고혈압(본태성, 신성 등), 원발성알도스테론증,저칼륨혈증, 심성부종(울혈성심부전)
신성부종, 간성부종, 특발성부종
고칼륨혈증, 다리경련
어지러움, 두통, 신경과민
없음
(2)간호과정양식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주관적 자료>
-“발이 너무 부어서서있기도 힘드네”
-“배가 불러 물 좀 빼죠. 숨쉬는 것도 힘드네”
<객관적자료>
-몸무게
60.4->62.4kg증량
-albumin: 3.0
-Na:122
-ptting edema +++
-abdomen
distension ↑
#1. 간기능저하와 관련된 체액과다
<장기목표>
1.퇴원전까지 정상체중을 유지 한다.
<단기목표>
1. 24시간이내 호흡이 편안하다고 표현한다.
2.48시간 이내 체중이 감소한다.
3.ptting edema ++정도로 감소 보인다.
1.처방에 따른 이뇨제, 알부민을 투여한다.
2.paracetesis시행시 전후 간호와 체액 양상 확인을 한다.
3.8시간 간격으로 I/O check를 기록하고 비교한다.
4. V/S과 함께 호흡 양상을 관찰한다.
5.부종이 나타나는 부위와 정도를 사정한다.
6. 필요시 하지를 올려준다.
* 이뇨제, 알부민투여하여 수분, 전해질 balance를 맞춘다.
* paracentesis 시행으로 체액을 빼고 복부 팽만감을 감소시킬수 있다.
* 호흡 양상의 변화를 관찰하여 환자 안위를 살핀다.
*하지부종을 완화시킨다.
1. 처방에따른 lasix, aldactone, albumin투여후 부작용 유무 관찰함.
I/O balance 확인함.
2. 임상 병리 검사 결과 확인하여 비교함.
3. paracentesis후 환자 상태및 체액양과 양상을 확인함.
4.V/S시 호흡 양상 관찰하며 semifowler's position취해줌
5.하지 부종양상을 관찰함. 간헐적으로 하지 elevation시행함.
1. 24시간 이내 호흡의 용이함을 표현함.
2.몸무게 62.4kg->60.7kg으로 감량함(당일)
3.요흔성 부종 +++ -> ++ 감소함.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주관적 자료>
“넘어지면서 팔이 침대에 부딪혔어. 피가 나더라고”
“다리가 너무 부어서 서기도 힘드네”
<객관적자료>
-오른쪽 팔꿈치
2*2cm bleeding &
wound 관찰됨.
-PLT 71.00
-PT/aPPT
21.2/30.1
-NP consult상
delirium의 양상 소견 관찰된다함.
-낙상위험평가도구
15점(13점이상고위험)
#2.낙상사고와 관련된 피부손상
<장기목표>
1.퇴원전까지 낙상 사고가 일어나지 않는다.
2. 일주일안에 wound healing이 된다.
<단기목표>
1.48시간안에 wound site 통증이 없다고 표현한다.
2.10분이내 bleeding이 나지 않는다.
3.감염소견이 나타나지 않는다.
1.wound site 상태 확인후 처방에 따라 dressing 시행한다.
2. 통증 양상을 확인한다.
3. wound site 외부자극을 최소화 한다.
4. 이동시 간호사와 함께 움직이며 움직임 제한에 대해 설명한다.
*ressing을 통해 감염을 예방하고 wound care를 한다.
*통증 양상 확인을 통해 환자에게 적절한 통증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자극에 의한 이차적 손실을 방지 한다.
*낙상위험성을 최소화 한다.
1. wound site 처방난 메디폼으로 dressing시행함.
2. wound site 통증 정도를 사정하여 확인함.
3. 환자 주위에 걸리는 물건을 정리함.
4.화장실등 이동시 간호사또는 보호자와 함께 이동함.
5. 낙상 위험성에 대해 교육함.
1. 48시간 이내 통증이 없다고 표현함.
2. bleeding 없음
3. 감염 없음
4. dressing상태 유지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목표
계획
이론적 근거
<주관적 자료>
-“다리가 너무 부어서 서기도 힘드네”
-“몸에 힘이 없네... 움직이지도 못하겠다”
<객관적자료>
-70세 고령 환자
-9월11일 낙상사고 2건발생
-foot pitting edema +++
-monilac-syrup 복용으로 화장실 이용 횟수 증가
#3. 전신쇠약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장기목표>
1.퇴원전까지 낙상사고가 일어나지 않는다.
<단기목표>
1. 일주일에 3-4번 복도 걷기 운동을 시행한다.
2. 이틀안에 낙상 사고 일어나지 않는다.
1. 화장실 이동시 간호사와 함께 이동한다.
2. 간호사와 함께 20분씩 복도 걷기를 시행한다.
3. 낙상 주의에 대해 설명하고 보호자에게도 설명한다.
4. 주위 환경을 안전한 환경으로 제공한다.
5. 약물 부작용에 대해 설명후 약 복용시간때 활동을 피하다록 교육한다.
6. 간헐적으로 하지 elevation시행함.
* 이동시 보호자 또는 간호사와 함께 이동하므로서 낙상을 최소화 한다.
* 운동 활동을 통해 전신 쇠약에 호전을 보일 수 있다.
* 약물 부작용(특히 어지러움)에 대해 인지하고 활동 할 수 있다.
1.활동량을 check하며 이동시 간호사또는 보호자와 함께 이동함.
2. 낙상 위험성에 대해 반복 교육 시행함.
3. 병실 주위에 걸리는 물건을 정리함.
4.투약시 부작용에 대해 설명함.
1.2일동안 2차례 복도 10-20분 걷기 운동시행함.
2.낙상 사고 일어나지 않음.
참고문헌
전시자 외(2000). 성인간호학. 서울 : 현문사
대한간호협회(1995). 간호진단과 간호계획. 서울 : 대한간호협회
한경자 외(1996). 간호중재.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대학교병원(1994). 간호진단과 간호계획.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