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소개
2.줄거리
3.귀여움
4.자연과의 친화
5.정체성과 부모의 마음
2.줄거리
3.귀여움
4.자연과의 친화
5.정체성과 부모의 마음
본문내용
다. 그리고 그 속에서 꽃피고 성숙해 가는 ‘부모의 마음’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한다. 영화를 다 보고 난 후 마음속에 남은 인상들을 쓰다듬어 하나의 문장을 추려 낸다면 ‘아이가 엄마를 키운다.’라는 것이 될 것 같다. 미숙했던 소녀가 아이를 낳고 아이들과 옥신각신 하며 점차 성숙해 나간다. 아이들이 자라는 만큼 그녀는 노련해졌으며, 여유가 생겼고, 씩씩해졌다. 하지만 우리가 스스로를 다 컸다고 여기더라도 어디까지나 아이의 연장선 위에 서 있는 것처럼 그녀 역시도 마찬가지였다. 아들 아메가 결국 인간이 아닌 늑대의 길을 선택하여 산 속으로 들어갈 때 그녀는 그만 무너지고 말았다. 훌쩍 커버린 아들 앞에서 그녀는 더 이상 엄마로서의 강인함을 유지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엄마는 아직 네게 아무것도 해주질 못했어.”
이 문장이 가뜩이나 앳된 미야자키 아오이의 목소리를 입었을 때 이 영화는 완성되었으리라고 생각한다. 그만큼 주고도 더 주고 싶고, 더 주어야만 할 것 같아서 결국 아무것도 준 것이 없다고 생각되는 관계를 우리는 우리의 삶에서 몇 번이나 경험할 수 있을까?
되려 그런 숙제를 남기는 애니메이션이었다. 해피엔딩으로 끝나서 천만다행이다.
-끝-
“하지만 엄마는 아직 네게 아무것도 해주질 못했어.”
이 문장이 가뜩이나 앳된 미야자키 아오이의 목소리를 입었을 때 이 영화는 완성되었으리라고 생각한다. 그만큼 주고도 더 주고 싶고, 더 주어야만 할 것 같아서 결국 아무것도 준 것이 없다고 생각되는 관계를 우리는 우리의 삶에서 몇 번이나 경험할 수 있을까?
되려 그런 숙제를 남기는 애니메이션이었다. 해피엔딩으로 끝나서 천만다행이다.
-끝-
추천자료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 사상
루소의 자연교육사상 3장. 도덕교육
근대의고전적자연법사상
루소의 자연주의 사상을 찬성하는 입장
민족 전통 생명(자연) 사상
자연법사상
시인 박두진 자연과 기독교 사상 현실인식
[교육철학]자연주의 교육사상
<루소의 소극적 교육의 의미> 논문을 통해 본 루소의 자연주의 사상
에피쿠로스와 스토아의 정치 사상(자연법, 만민평등, 세계시민권, 국가와 법률)
루소(Rousseau)의 정치 사상(자연상태, 사회계약론, 일반의지, 주권, 정부와 대표자)
자연법 사상
[서구정치사상사] 로크와 루소의 사회계약에 관한 비교 - 로크와 루소 이론의 기본적 설정(인...
고산 윤선도(孤山 尹善道)의 생애, 그의 사상과 자연관 및 작품세계를 살펴보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