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소의 자연교육사상 3장. 도덕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루소의 자연교육사상 3장. 도덕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Ⅲ. 도덕교육
1. 머리말
2. 양심의 개념
3. 도덕교육 원리
4. 맺음말

본문내용

서 느끼는 연민은 그 불행의 크기에 비례하지 않고 그 불행한 사람에게 베푸는 감정에 비례함.
◈ 사람들을 다룰 줄 알고 자유롭게 사는 세 가지 도덕교육방법
- 첫째, 인간의 마음을 알게 하는(인간을 정확하게 관찰하도록 하는) 교육방법
역사서적, 개인의 전기(플루타크의 영웅전)
- 둘째, 경험을 통한 교육방법 우화
- 셋째, 여행을 통한 실체적 교육방법
◈ 루소의 도덕교육 방식인 소극적 교육방식
- 루소의 모든 도덕적인 교육방법의 일관된 방향은 학생으로 하여금 자기 자신의 주인, 즉 자유인이 되게 하는데 있음.
- 학생의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 자신의 주인이 되어야만 함.
- 참된 교사가 되려면 교사 자신의 양심의 소리를 겸허하게 경청해야 하고, 하나님에 대한 사랑, 즉 종교애를 가져야만 함.
- 교사의 권위적 자세는 잘못된 교육적 관계를 만듦.
- 교사와 학생은 상호 동일시하는 수평적 차원이어야 함.
- 교육 기술은 학생이 그 교육을 기꺼이 받게 하는데 있으며, 학생의 자유를 억압하지 않는데 있음.
- 소극적 교육방식은 적극적인 교육방식과 자유방임적인 교육방법이 갖고 있는 결함을 극복하여 나간 제3의 교육방식이라고 볼 수 있음.
자유의 억압과 자유의 무절제라는 양 극단을 주의깊게 피해 나간 교육방식
- 소극적 교육방식은 학생의 자유를 욕망과 능력의 균형이라는 차원에서 유도해 나가는 것이기 때문에 이미 자유를 획득한 교사의 의도적인 고도의 교육기술인 신중한 배려가 개입됨. 비자연적·비실제적·부정직한 것이라고 비판함.
- 소극적인 교육방식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교사의 성향임.
◈ 루소의 교사에 대한 조언
- 학생을 교육하는 것은 교사가 자유로운 개별적 인간 존재로서 자신의 모든 것을 거는 모험적인 사업임.
- 교육은 인간에 대한 무한한 사랑이 없다면 실천 불가능한 것임.
- 교육은 인간을 편견없이 관찰하고,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사랑할 때 가능함.
- 인간됨과 인간에 대한 사랑이 교사의 첫째 의무이자 자격임.
◈ 루소의 도덕교육관
- 교사의 사랑은 자기애의 원숙한 형태인 양심의 근본원리이므로 이것이 학생의 양심을 인류애와 종교애의 차원까지 높여갈 수 있는 동인(動因)이 됨.
- 교사의 사랑, 곧 인류애와 종교애만이 학생을 그런 사랑에 충만한 자유인으로 되게 할 수 있다고 본 것이 루소의 도덕교육관임.
4. 맺음말
◈ 루소의 도덕교육에 대한 현대 도덕교육 이론가들의 비판
- 루소의 도덕교육은 이론적 정합성이 결여되어 있는 비실제적·비합리적인 모순된 견해임. 도덕교육이론 또는 원리를 세우는데 있어 이성적 관점만을 도덕적 관점으로 여기는 방법론을 도출하기 때문임.
◈ 루소의 도덕교육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 우리에게 도덕성 이해에 접근하는 태도의 전면적인 전환이 필요하다는 위식을 고취시켜줌.
- 학생 또는 행위자 중심에서 본 것이라는 점.
학생의 양심과 자유, 그리고 이성의 권위를 도덕교육의 영역에서 인정함.
- 인간의 보다 나은 삶을 추구하는 행위자의 양심과 자유를 포괄하는 관점에서 도덕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는 점.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1.18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38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