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허들종목 (3p~9p)
ⅰ. 허들의 정의
ⅱ. 허들의 유래와 개요
ⅲ. 허들의 변천
ⅳ. 허들 경주의 종류
1) 허들 경기의 구성
2) 허들의 표준 높이
3) 허들 경기의 기초적 기술 트레이닝
4) 허들 경주의 기술 연습과정
ⅴ. 허들 경주의 자세
1) 허들 경기 선수의 좋은 조건
2) 도약국면
3) 공중시간
4) 착지국면
5) 찾지 때에 밸런스
6) 허들링을 하는데 상체와 팔의 움직임
7) 스텝
ⅵ. 허들 경주에서 실격이 되는 경우
1) 부정 스타트를 두 번 했을 때.
2) 경주가 세퍼레이트 코스에서 행해지므로 각자의 정해진 코스에서 밖으로 나왔을 때
3) 경기자의 발이나 다리가 허들의 바깥 족으로 벗어나 통과했을 때
4) 자기 코스 이외의 허들을 넘었을 때
5) 고의로 손 또는 발로 허들을 떠밀었을 때
Ⅱ. 릴레이 종목 (10p~14p)
ⅰ. 이어달리기의 역사
ⅱ. 이어달리기의 특성과 효과
ⅲ. 바톤
1) 바톤의 터치방법
2) 바톤의 구조
3) 바톤터치 이득거리
4) 바톤 주고 받기의 여러 가지 방법
5) 바톤존에서 주고받기
6) 바톤터치의 실격
7) 바톤터치 유형
8) 출발 표시점
ⅳ. 경기방법
ⅴ. 경기종목
ⅵ. 경기규칠
ⅶ. 경기복장
1) 의복
2) 경기화
ⅸ.주자선정 방법
Ⅲ. 조사를 마치며. (14P)
ⅰ. 허들의 정의
ⅱ. 허들의 유래와 개요
ⅲ. 허들의 변천
ⅳ. 허들 경주의 종류
1) 허들 경기의 구성
2) 허들의 표준 높이
3) 허들 경기의 기초적 기술 트레이닝
4) 허들 경주의 기술 연습과정
ⅴ. 허들 경주의 자세
1) 허들 경기 선수의 좋은 조건
2) 도약국면
3) 공중시간
4) 착지국면
5) 찾지 때에 밸런스
6) 허들링을 하는데 상체와 팔의 움직임
7) 스텝
ⅵ. 허들 경주에서 실격이 되는 경우
1) 부정 스타트를 두 번 했을 때.
2) 경주가 세퍼레이트 코스에서 행해지므로 각자의 정해진 코스에서 밖으로 나왔을 때
3) 경기자의 발이나 다리가 허들의 바깥 족으로 벗어나 통과했을 때
4) 자기 코스 이외의 허들을 넘었을 때
5) 고의로 손 또는 발로 허들을 떠밀었을 때
Ⅱ. 릴레이 종목 (10p~14p)
ⅰ. 이어달리기의 역사
ⅱ. 이어달리기의 특성과 효과
ⅲ. 바톤
1) 바톤의 터치방법
2) 바톤의 구조
3) 바톤터치 이득거리
4) 바톤 주고 받기의 여러 가지 방법
5) 바톤존에서 주고받기
6) 바톤터치의 실격
7) 바톤터치 유형
8) 출발 표시점
ⅳ. 경기방법
ⅴ. 경기종목
ⅵ. 경기규칠
ⅶ. 경기복장
1) 의복
2) 경기화
ⅸ.주자선정 방법
Ⅲ. 조사를 마치며. (14P)
본문내용
구역 10m와 바톤 존 내의 15m 지점의 거리를 합한 25m를 스탠딩 스타트로 달린 기록을 구한다.
100m 달리기의 70m와 100m의 통과 시간을 각각 구한여 후반 30m의 평균 초속도를 구한다.
바톤을 넘겨 받는 주자가 스탠딩 스타트로 25m를 달리는 데 걸린 시간과 2.에서 구한 초속을 곱 하여 거리를 구한다. 이렇게 산출된 거리에서 25m를 뺀 나머지 거리를 예비선으로부터 떨어뜨려서 출발 표시점으로 정한다.
예비구간의 이용
- 질주의 탄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20m 바톤 터치 구간 앞의 10m 예비 구간에서 출발할 수도 있다.
- 2,4주자의 출발점(곡선주로에서의 바톤터치)
- 곡선에서 바톤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최대한 레인의 바깥쪽에서 출발하는 것이 원심력의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유리하다.
Ⅱ-ⅳ.경기방법
1) 400m와 1600m 이어달리기 2종목이 올림픽종목.
2) 1600m경기는 스탠딩 스타트 로 출발해도 무방.
3) 400m까지의 코스는 세퍼레이트코스로 뛰고 그 이상의 거리는 오픈코스로 뛰어도 무방하며, 한팀은 4 명으로 구성, 바톤을 주고받을 때는 바톤 존(바톤터치 구간)에서 실시하고, 주자는 왼손에서 오른손으로 옮겨주고, 받는 주자는 다시 오른손에서 왼손으로 옮겨 쥐고 달린다.
4) 바톤 터치 중 바톤을 떨어뜨렸다면, 바톤을 주는 주자가 주워야 한다.
5) 바톤을 던져 주면 안된다.
6) 크라우칭 스타트할 때, 바톤의 앞부분이 바닥에 닿으면 안된다.
7) 바톤 터치 존에서 바톤을 주고 받을 때 가장 이상적인 지점은 주고받는 선수의 속도를 일치 시킨 후, 15-28m가 좋다.
Ⅱ-ⅴ.경기종목
400m 이어달리기(100m×4)
800m 이어달리기(200m×4)
1600m 이어달리기(400m×4)
1000m 이어달리기(100m →200m→ 300m→ 400m : 메들리 혹은 스웨덴 릴레이)
올림픽에서는 400m 이어달리기와 1600m 이어달리기만 실시된다.
Ⅱ-ⅵ.경기규칙
1번 주자를 제외한 나머지 2,3,4번 주자는 바톤 터치 지역 밖 10m 예비 지역 내에서 출발할 수 있다.
바톤을 주고 받을 때 바톤을 떨어뜨린 경우에는 바톤을 넘겨 주는 주자가 반드시 주워야 한다. 단, 달리는 중에 떨어뜨린 경우는 떨어뜬린 주자가 주울 수 있다.
바톤을 넘겨 줄 때 바톤을 던져 주거나, 자기 팀의 선수를 밀어 주면 실격된다. 또한 상대방의 배
턴 터치를 방해하면 안된다.
400m 이어달리기는 세퍼레이트 코스가 적용된다. 즉, 한 팀의 주자 4명은 모두 같은 레인에서
달려야 한다.
세퍼레이트 코스로 경기가 실시될 경우 이미 경기장 트랙에 그려져 있는 라인과 구별되도록 최대
5cm×40cm 크기의 색상 테이프를 이용하여 자기 레인 내에 표시를 할 수 있다.
흙이나 잔디로 이루어진 경기장에서는 바닥을 긁어 자신의 레인 안에 표시를 할 수 있다.
바톤 터치 지역에 표시된 라인을 기준선으로 하여 바톤 터치가 안 된 상태에서 바톤이 완전히 통
과하게 되면 실격으로 처리된다.
1600m 이어달리기의 첫 번째 주자는 세퍼레이트 코스를 뛰고 두 번째 주자는 120m를 뛴 다음
부터 오른 코스로 뛰게 되며, 세 번째와 네 번째 주자는 오픈 코스로 경기를 진행한다.
1600m 이어달리기 경기에서 세 번째와 네 번째 주자는 그 앞의 주자가 200m를 통과한 순서에
따라서 출바라 위치를 선정한다. 이러한 규칙을 코너 톱(corner top)이라고 한다.
Ⅱ-ⅶ.경기복장
1)의복
선수는 모든 경기에서 청결하고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디자인된 경기복을 입어야 한다.
경기복은 젖어도 속이 비치지 않는 옷감으로 만들어져야 하며, 심판의 시각을 방해하는 현란한 색상이 어서는 안된다.
2)경기화
선수는 맨발이나 한쪽 또는 양쪽 발에 경기화를 신고 경기에 참가할 수 있다. 경기화를 신는 것은 발을 보호하고 안정시키며 지면을 힘차게 딛게 하기 위해서이다.
경기화에는 스프링이나 어떤 형태의 장치도 부착할 수 없으나. 발등 부분을 끈으로 여매는 경기화 의 착용은 하용된다.
※스파이크
①스파이크의 수
경기화의 앞창과 뒷굽에는 최대 11개의 스파이크를 부착할 수 있다.
②스파이크의 규격
경기가 인조 트랙에서 개최될 경우에는 앞창이나 뒷굽에서 돌출된 스파이크 부분의 길이가 9mm를 초과할 수 없다.
③번호표
대회 기간 중 모든 선수에게는 2개의 번호표를 지급하여 가슴과 등에 분명히 알아볼 수 있도록 붙인다.
단, 장대높이뛰기와 높이 뛰기에서는 가슴이나 등 중 어느 한쪽에만 번호표를 붙여도 무방하다. 번호표 는 프로그램에 있는 번호와 일치해야 한다.
사진 판정 장치가 사용되는 경기에서는 운동팬츠 측면에 접착시키는 형태로 추가 번호표를 붙여야 한다.
4X1000m, 4X400m 남녀 이어달리기의 4개 세부종목에서 경기를 벌이게 된다.
Ⅱ-ⅸ.주자 선정 방법
제 1주자 : 빠른 스타트와 가속을 잘 하는 사람
제 2주자 : 직선 주로에 강한 사람
제 3주자 : 곡선 주로에 가속이 좋은사람
제 4주자 : 승부근성이 강한사람
Ⅲ.조사를 마치며
조사를 마치며 결국 허들은 단거리 전력질주를 할 수 있는 스피드와 높은 허들을 넘기 위한 유연성, 민첩성 운동을 조정하는 능력을 함께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허들경주의 시간은 같은 거리를 질주하는 시간과 허들을 넘는 데 소요되는 시간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장애물을 뛰어넘는 실기에는 허들을 올바른 자세와 방법으로 달릴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과 또 허들을 뛰어넘는 공중동작의 정확한 자세가 가장 중요한 것이라 생각하였다.
또한 릴레이 에서는 앞사람과 호흡의 중요성와 주자선정기준을 명확히 알수 있어서 정말 좋았고 실제로 바톤을 넘기는 과정에서 올바른 자세로 넘기는 여러 가지 방법들로 알 수 있어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릴레이에서는 바톤을 넘기는 구간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이런 조사를 하고 레포트를 쓰면서 허들과 릴레이의 규칙과 자세등 여여러가지들을 알게 되었고 또한 추가적으로 어떻게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하는지 까지 알수있어서 참 도움이 된 레포트였던것 같다.
100m 달리기의 70m와 100m의 통과 시간을 각각 구한여 후반 30m의 평균 초속도를 구한다.
바톤을 넘겨 받는 주자가 스탠딩 스타트로 25m를 달리는 데 걸린 시간과 2.에서 구한 초속을 곱 하여 거리를 구한다. 이렇게 산출된 거리에서 25m를 뺀 나머지 거리를 예비선으로부터 떨어뜨려서 출발 표시점으로 정한다.
예비구간의 이용
- 질주의 탄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20m 바톤 터치 구간 앞의 10m 예비 구간에서 출발할 수도 있다.
- 2,4주자의 출발점(곡선주로에서의 바톤터치)
- 곡선에서 바톤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최대한 레인의 바깥쪽에서 출발하는 것이 원심력의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유리하다.
Ⅱ-ⅳ.경기방법
1) 400m와 1600m 이어달리기 2종목이 올림픽종목.
2) 1600m경기는 스탠딩 스타트 로 출발해도 무방.
3) 400m까지의 코스는 세퍼레이트코스로 뛰고 그 이상의 거리는 오픈코스로 뛰어도 무방하며, 한팀은 4 명으로 구성, 바톤을 주고받을 때는 바톤 존(바톤터치 구간)에서 실시하고, 주자는 왼손에서 오른손으로 옮겨주고, 받는 주자는 다시 오른손에서 왼손으로 옮겨 쥐고 달린다.
4) 바톤 터치 중 바톤을 떨어뜨렸다면, 바톤을 주는 주자가 주워야 한다.
5) 바톤을 던져 주면 안된다.
6) 크라우칭 스타트할 때, 바톤의 앞부분이 바닥에 닿으면 안된다.
7) 바톤 터치 존에서 바톤을 주고 받을 때 가장 이상적인 지점은 주고받는 선수의 속도를 일치 시킨 후, 15-28m가 좋다.
Ⅱ-ⅴ.경기종목
400m 이어달리기(100m×4)
800m 이어달리기(200m×4)
1600m 이어달리기(400m×4)
1000m 이어달리기(100m →200m→ 300m→ 400m : 메들리 혹은 스웨덴 릴레이)
올림픽에서는 400m 이어달리기와 1600m 이어달리기만 실시된다.
Ⅱ-ⅵ.경기규칙
1번 주자를 제외한 나머지 2,3,4번 주자는 바톤 터치 지역 밖 10m 예비 지역 내에서 출발할 수 있다.
바톤을 주고 받을 때 바톤을 떨어뜨린 경우에는 바톤을 넘겨 주는 주자가 반드시 주워야 한다. 단, 달리는 중에 떨어뜨린 경우는 떨어뜬린 주자가 주울 수 있다.
바톤을 넘겨 줄 때 바톤을 던져 주거나, 자기 팀의 선수를 밀어 주면 실격된다. 또한 상대방의 배
턴 터치를 방해하면 안된다.
400m 이어달리기는 세퍼레이트 코스가 적용된다. 즉, 한 팀의 주자 4명은 모두 같은 레인에서
달려야 한다.
세퍼레이트 코스로 경기가 실시될 경우 이미 경기장 트랙에 그려져 있는 라인과 구별되도록 최대
5cm×40cm 크기의 색상 테이프를 이용하여 자기 레인 내에 표시를 할 수 있다.
흙이나 잔디로 이루어진 경기장에서는 바닥을 긁어 자신의 레인 안에 표시를 할 수 있다.
바톤 터치 지역에 표시된 라인을 기준선으로 하여 바톤 터치가 안 된 상태에서 바톤이 완전히 통
과하게 되면 실격으로 처리된다.
1600m 이어달리기의 첫 번째 주자는 세퍼레이트 코스를 뛰고 두 번째 주자는 120m를 뛴 다음
부터 오른 코스로 뛰게 되며, 세 번째와 네 번째 주자는 오픈 코스로 경기를 진행한다.
1600m 이어달리기 경기에서 세 번째와 네 번째 주자는 그 앞의 주자가 200m를 통과한 순서에
따라서 출바라 위치를 선정한다. 이러한 규칙을 코너 톱(corner top)이라고 한다.
Ⅱ-ⅶ.경기복장
1)의복
선수는 모든 경기에서 청결하고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디자인된 경기복을 입어야 한다.
경기복은 젖어도 속이 비치지 않는 옷감으로 만들어져야 하며, 심판의 시각을 방해하는 현란한 색상이 어서는 안된다.
2)경기화
선수는 맨발이나 한쪽 또는 양쪽 발에 경기화를 신고 경기에 참가할 수 있다. 경기화를 신는 것은 발을 보호하고 안정시키며 지면을 힘차게 딛게 하기 위해서이다.
경기화에는 스프링이나 어떤 형태의 장치도 부착할 수 없으나. 발등 부분을 끈으로 여매는 경기화 의 착용은 하용된다.
※스파이크
①스파이크의 수
경기화의 앞창과 뒷굽에는 최대 11개의 스파이크를 부착할 수 있다.
②스파이크의 규격
경기가 인조 트랙에서 개최될 경우에는 앞창이나 뒷굽에서 돌출된 스파이크 부분의 길이가 9mm를 초과할 수 없다.
③번호표
대회 기간 중 모든 선수에게는 2개의 번호표를 지급하여 가슴과 등에 분명히 알아볼 수 있도록 붙인다.
단, 장대높이뛰기와 높이 뛰기에서는 가슴이나 등 중 어느 한쪽에만 번호표를 붙여도 무방하다. 번호표 는 프로그램에 있는 번호와 일치해야 한다.
사진 판정 장치가 사용되는 경기에서는 운동팬츠 측면에 접착시키는 형태로 추가 번호표를 붙여야 한다.
4X1000m, 4X400m 남녀 이어달리기의 4개 세부종목에서 경기를 벌이게 된다.
Ⅱ-ⅸ.주자 선정 방법
제 1주자 : 빠른 스타트와 가속을 잘 하는 사람
제 2주자 : 직선 주로에 강한 사람
제 3주자 : 곡선 주로에 가속이 좋은사람
제 4주자 : 승부근성이 강한사람
Ⅲ.조사를 마치며
조사를 마치며 결국 허들은 단거리 전력질주를 할 수 있는 스피드와 높은 허들을 넘기 위한 유연성, 민첩성 운동을 조정하는 능력을 함께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허들경주의 시간은 같은 거리를 질주하는 시간과 허들을 넘는 데 소요되는 시간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장애물을 뛰어넘는 실기에는 허들을 올바른 자세와 방법으로 달릴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과 또 허들을 뛰어넘는 공중동작의 정확한 자세가 가장 중요한 것이라 생각하였다.
또한 릴레이 에서는 앞사람과 호흡의 중요성와 주자선정기준을 명확히 알수 있어서 정말 좋았고 실제로 바톤을 넘기는 과정에서 올바른 자세로 넘기는 여러 가지 방법들로 알 수 있어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릴레이에서는 바톤을 넘기는 구간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이런 조사를 하고 레포트를 쓰면서 허들과 릴레이의 규칙과 자세등 여여러가지들을 알게 되었고 또한 추가적으로 어떻게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하는지 까지 알수있어서 참 도움이 된 레포트였던것 같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