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가족 등 아동학대와 관련된 모든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고 힘쓴다면‘제2의 누구 발생’이라는 말이 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직접적으로 그 고통을 느껴본 사람만이 알 수 있는 것이 있기 때문에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협력하여 준다면 더 이상 무분별한 아동학대를 감소시킬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6) 주민들을 대상으로 아동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전환
위의 아동학대 문제해결방안 중에서 가장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사항이‘주민들의 인식전환’이 아닐까 생각된다. ‘아동은 부모에게 의존적이다.’와 같은 예전과 달리 요즘은 그래도 아동을 하나의 인격을 지닌 존재로서 인정해주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옆집에서, 이웃집에서 아이가 우는소리, 때리는 소리 등과 같은 학대 폭력의 소리가 들리는 데도‘뭐 부모가 아이 교육시키는 건데...’하면서 나몰라라하는 주민들이 많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주민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홍보와 교육을 통해 아동이 더 이상 부모에게 종속된 존재, 어른들이 마음대로 해도 되는 존재가 아니라 아동을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나중에 우리나라를 이끌어 갈 미래의 인력자원으로 여김으로써 아동에 대한 인식을 전환시켜야 할 것이다. 그리고 혹시나 길을 지나다닐 때 주변에서 심각한 아이 울음소리, 고함 지르는 소리 등과 같이 아동학대일 것 같다는 장면을 목격하였을 때는 그냥 무관심하게 지나가지 말고 즉시 아동보호전문기관으로 신고하여야 할 것이다.
4. 결론 및 제안
아동학대의 경험은 학대가 발생한 아동기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이 살아가는 전 생애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아동에게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이러한 학대의 경험으로 자신에 대한 자신감을 잃고 위축되어 나중에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사회에 나가서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거나 아웃사이더가 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경우는 어린 시절 아버지나 어머니 등 가족 또는 이웃사람에게 계속적으로 언어폭력, 신체적 폭력 등을 당하며 성장하여, 나중에 아동이 성인이 되었을 때 아동도 똑같이 다른 사람에게 폭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이처럼 아동학대의 경험은 아동에게 끊임없이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또한 여러 생애주기 중 아동기에 있는 아동은 다른 발달단계와 달리 신체적, 정신적 발달을 주요 과업으로 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아동은 어떤 상황에 있어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하는 판단능력이 떨어지고 또한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해결하는 해결능력이 낮다. 그래서 간혹 아동의 이러한 취약점을 악용하여 범행을 저지르는 성인도 있다. 그러므로 아동은 이러한 판단능력, 인지능력 등이 이미 발달한 성인에 비해서 학대문제에 극히 노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무엇보다도 아동학대 피해자들에 대한 따뜻한 관심과 사랑, 아동학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제 아동학대의 문제가 나몰라라해버리는 남의 일이 아닌 자신의 일처럼 생각하여 더 이상 무분별한 아동학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예방 대처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동학대 장면을 목격하였을 때 주춤하지 말고, 모른척하지 말고 신고를 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 정영숙 교수님 강의자료
- 김영화 외, <제3판 성인지적 가족복지론>, 양서원
- 이영분 외, <가족치료 모델과 사례>, 학지사
- 문영희, 아동학대의 의의와 실태 및 대처방안에 관한 고찰, 한양법학회, 한양법학 27,2009.8.
- 2011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 경상북도 아동보호 전문기관 : http://www.i1391.or.kr/
-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soc&arcid=0006407071&cp=du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5575200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un1056&logNo=20164104752
- http://blog.naver.com/lovetoy69?Redirect=Log&logNo=120161067747
- http://love_eunyi.blog.me/30107719568
- http://ko.wikipedia.org/wiki/전자팔찌
- http://blog.jinbo.net/kimpoo88/83
6) 주민들을 대상으로 아동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전환
위의 아동학대 문제해결방안 중에서 가장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사항이‘주민들의 인식전환’이 아닐까 생각된다. ‘아동은 부모에게 의존적이다.’와 같은 예전과 달리 요즘은 그래도 아동을 하나의 인격을 지닌 존재로서 인정해주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옆집에서, 이웃집에서 아이가 우는소리, 때리는 소리 등과 같은 학대 폭력의 소리가 들리는 데도‘뭐 부모가 아이 교육시키는 건데...’하면서 나몰라라하는 주민들이 많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주민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홍보와 교육을 통해 아동이 더 이상 부모에게 종속된 존재, 어른들이 마음대로 해도 되는 존재가 아니라 아동을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나중에 우리나라를 이끌어 갈 미래의 인력자원으로 여김으로써 아동에 대한 인식을 전환시켜야 할 것이다. 그리고 혹시나 길을 지나다닐 때 주변에서 심각한 아이 울음소리, 고함 지르는 소리 등과 같이 아동학대일 것 같다는 장면을 목격하였을 때는 그냥 무관심하게 지나가지 말고 즉시 아동보호전문기관으로 신고하여야 할 것이다.
4. 결론 및 제안
아동학대의 경험은 학대가 발생한 아동기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이 살아가는 전 생애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아동에게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이러한 학대의 경험으로 자신에 대한 자신감을 잃고 위축되어 나중에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사회에 나가서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거나 아웃사이더가 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경우는 어린 시절 아버지나 어머니 등 가족 또는 이웃사람에게 계속적으로 언어폭력, 신체적 폭력 등을 당하며 성장하여, 나중에 아동이 성인이 되었을 때 아동도 똑같이 다른 사람에게 폭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이처럼 아동학대의 경험은 아동에게 끊임없이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또한 여러 생애주기 중 아동기에 있는 아동은 다른 발달단계와 달리 신체적, 정신적 발달을 주요 과업으로 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아동은 어떤 상황에 있어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하는 판단능력이 떨어지고 또한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해결하는 해결능력이 낮다. 그래서 간혹 아동의 이러한 취약점을 악용하여 범행을 저지르는 성인도 있다. 그러므로 아동은 이러한 판단능력, 인지능력 등이 이미 발달한 성인에 비해서 학대문제에 극히 노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무엇보다도 아동학대 피해자들에 대한 따뜻한 관심과 사랑, 아동학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제 아동학대의 문제가 나몰라라해버리는 남의 일이 아닌 자신의 일처럼 생각하여 더 이상 무분별한 아동학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예방 대처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동학대 장면을 목격하였을 때 주춤하지 말고, 모른척하지 말고 신고를 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 정영숙 교수님 강의자료
- 김영화 외, <제3판 성인지적 가족복지론>, 양서원
- 이영분 외, <가족치료 모델과 사례>, 학지사
- 문영희, 아동학대의 의의와 실태 및 대처방안에 관한 고찰, 한양법학회, 한양법학 27,2009.8.
- 2011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 경상북도 아동보호 전문기관 : http://www.i1391.or.kr/
-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soc&arcid=0006407071&cp=du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5575200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un1056&logNo=20164104752
- http://blog.naver.com/lovetoy69?Redirect=Log&logNo=120161067747
- http://love_eunyi.blog.me/30107719568
- http://ko.wikipedia.org/wiki/전자팔찌
- http://blog.jinbo.net/kimpoo88/83
추천자료
[아동복지론] 아동학대[아동학대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유형과 원인 등, 학대받은 아동을 위...
[아동복지론] 아동복지의 개념, 아동복지의 의의와 특징, 아동복지의 기본이념, 아동복지의 ...
[아동복지론] 아동복지시설의 종류 - 아동복지시설의 의의, 아동복지시설의 특징, 아동복지시...
[아동복지론] 아동복지정책 - 아동복지정책의 개념 및 관점, 아동복지정책의 유형 및 법위와 ...
[아동복지론] 아동복지실천방법과 기술 - 클라이언트로서의 아동의 특성과 아동 대상 사회복...
[아동복지론] 아동복지 실천기술 - 아동대상의 개별실천(초기접수상담, 조사, 사정 및 계획,...
[아동복지론] 장애 및 장애아동의 개념, 장애아동발생의 원인, 장애에 대한 정의 및 유형, 통...
[아동복지론 兒童福祉論] 아동복지(child welfare)의 개념 - 아동을 위한 프로그램과 서비스...
[아동복지론 兒童福祉論] UN(유엔)아동권리협약의 이행과제 - 2003년 유엔아동권리위원회 권...
[아동복지론 兒童福祉論] 아동권리의 기본요소와 원칙 - 인권으로서 아동권리, 아동권리의 기...
[아동복지론 兒童福祉論]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이론 - 에릭슨 심리사회이론의 전반적 ...
[아동복지론 兒童福祉論] 아동복지 법률의 체계 및 아동복지법의 이해(입법목적과 이념, 아동...
[아동복지론 兒童福祉論] 지역사회아동을 위한 아동복지실천(아동복지서비스)의 성공 조건
[아동복지론 兒童福祉論] 실종아동정책의 현황 - 예방사업, 실종아동 찾기 사업, 실종아동 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