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미디어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뉴미디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erator) 제도를 도입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MVNO 도입은 KT와 SK텔레콤이 휴대인터넷 사업권을 획득한 경우에만 한하며, 해당 사에서는 네트워크 용량의 30%를 MVNO 사업자에게 개방할 의무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다만 KT, SK텔레콤 등 지배적 사업자의 별도 자회사를 통한 사업권 신청안은 배제함으로써 지배적 사업자가 직접 휴대인터넷 사업을 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았습니다. 주파수 이용 기간은 시장 성숙기 도달 시점인 할당 후 7년을 이용 기간으로 산정했으며, 주파수 할당 대가는 매출액의 3%(하한액 3248억원, 상한액 3775억원, 사업자당 10821258억원)를 산정해 허가 심사 결과 통보받은 날부터 3개월 이내 출연금을 전액 납부토록 했습니다.
아울러 휴대인터넷 사업자간 중복 투자 완화 방안으로 기지국 상용화, 공동망 구축 유도, 허가 심사시 신청 법인의 기지국 공용화 계획 평가, 전파법상 무선 설비 공동 사용 명령권을 통한 기지국 공용화 의무화, 전파 사용료, 무선국 검사 수수료 감면 등을 통한 공용화와 로밍 적극 유도, 필요시 전파법상 공용화 제도를 통한 로밍 의무화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아울러 허가 심사 기준 관련하여 컨소시엄 우대 항목은 삭제, 조정했으며, 신청 법인(계열사 포함)이 허가 신청 서비스와 경쟁적인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경우(휴대인터넷과 IMT-2000), 서비스 상호간 투자 계획의 조화 여부 및 실현 가능성 여부를 심사하고 계열 회사 중복 참여를 제한한다는 것입니다.
정부는 10월 말에 허가 심사 기준을 개정하고 휴대인터넷 주파수 할당 공고를 거쳐 11월 29일부터 12월 3일 사이에 휴대인터넷 사업허가 신청을 접수받아 2005년 2월에 사업자 선정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현재 휴대인터넷 사업권 확보를 위하여 KT를 비롯해 하나로텔레콤, SK텔레콤, 데이콤 등 유무선 통신사업자들은 2003년 하반기부터 2004년 상반기에 전담 조직을 구성하여 운영 중입니다. 각종 공청회, 기술 개발 시연회, 각종 언론매체를 통한 홍보전 등에서 자사의 휴대인터넷 사업 참여논리 대결이 점입가경에 이를 정도입니다. 사업자수가 3개로 제한되어 한 회사의 탈락은 불가피하기 때문입니다. 상기 4개 사업자가 휴대인터넷 사업권 확보에 생사를 건 전력을 다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이성춘 (KT 컨버전스연구소)-
I. 070 인터넷 전화(VoIP) 서비스 실시
인터넷 전화는 LAN, WAN, VPN 또는 공용 인터넷 등의 패킷-교환 IP 기반 데이터망을 통해 회선-교환 음성대화를 전송하는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PC-to-PC, PC-to-phone, phone-to-phone 방식으로 구분한다.
인터넷을 통한 음성통화는 1995년 Vocaltec사가 인터넷 전화를 도입하면서 시작되었다. Vocaltec의 소프트웨어는 음성 신호를 압축, IP패킷으로 변환해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것으로 PC-to-PC 방식이라 할 수 있는데 수신자와 송신자가 동일한 시간에 접속해 동일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후 인터넷 전화는 급속히 발전했는데 최근에는 인터넷과 PSTN간의 인터페이스라 할 수 있는 Gateway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Gateway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IP패킷으로 변환하거나 반대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PC-to-Phone나 Phone-to-Phone이 가능해졌다.
인터넷 전화는 PSTN 대신 인터넷 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국제전화의 경우 현재 요금의 50%~80%까지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국내외적으로 많은 업체들이 시장에 진출하고 있고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그러나 패킷-교환 망의 특성상 아직 음성 품질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의 급속한 성장과 기술발전에 힘입어 급속히 성장해 PSTN 등의 기존 전화서비스를 보조하거나 대체해나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VoIP 기술의 발전에 따라 중요해지고 있는 Gateway 장비시장이 대단한 호황을 맞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게이트웨이/게이트키퍼 시장은 기업용과 서비스 제공자용을 합쳐 1999년 5억 9,800만달러에서 2003년에는 65억 달러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인터넷 전화의 종류
크게 웹폰 형태와 IP폰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웹폰 - 다이얼 패드와 같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만 송수신이 가능한 서비스로 컴퓨터를 항상 켜놔야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있는 단점이 있지만 기존의 헤드셋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IP폰 - 일반전화기와 같이 생겨서 인터넷 모뎀에 바로 연결하여 쓰는 형태로 컴퓨터를 키지 않고도 일반전화기와 같이 걸거나 받을 수 있다. 셋탑박스와 전화기가 일체형과 분리형이 있는데 지금 나오는 제품들은 일체형이 대부분이다.
◈ 인터넷 전화의 장점
먼저 통화품질이 일반전화랑 거의 똑같고 가격은 더 저렴하며(해외 전화의 경우 75~80%까지 저렴하다.) 같은 서비스업체 사용자간에는 무료통화이다.
화상통화가 가능한 전화기를 사용하면 상대방 얼굴을 보는것 뿐만 아니라 화면을 통해 사진홍보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역시 같은 서비스 사용자간에는 무료 화상통화)
◈ 인터넷 전화기의 단점
아직 119와 같은 긴급전화가 불가능. 하지만 휴대전화를 다 보유하고 있어서 큰 문제로는 보이지 않고 팩스사용이 아직 불완전하다고 한다.
◈ 인터넷 전화 서비스 선택 방법
현재 100여개가 넘는 업체에서 정말 다양한 패키지들을 소개하고 있다. 월 3만원이면 일반전화 10만원어치를 쓸 수 있는 서비스, 기본료 5000원에 사용량에 따라 요금을 받는 서비스 등
♧ 참고 문헌 및 웹사이트
뉴 미디어 조사방법 - 나남
미디어와 정보사회 - 나남출판
현대 미디어의 이해 - 건국대학교 출판부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년 정보화실태조사서 - 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진흥원
2005년 상반기 정보화실태조사서 - 정통부,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인터넷진흥원(http://issue.nida.or.kr//index.jsp)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4.01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67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