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
문제제기와 서술 목적
Ⅱ.본론 2
A.조선시대 백정들
a.백정의 기원과 유래
b.백정의 역사와 삶
B.백정중심의 사회변혁운동
a.임꺽정의 난
b.형평운동
Ⅲ.결론 6
문제제기와 서술 목적
Ⅱ.본론 2
A.조선시대 백정들
a.백정의 기원과 유래
b.백정의 역사와 삶
B.백정중심의 사회변혁운동
a.임꺽정의 난
b.형평운동
Ⅲ.결론 6
본문내용
점이다. 임꺽정의 난은 경제모순의 해결, 신분해방을 주장했고, 형평운동 역시 신분해방을 필두고 사회의식개혁, 백정에 의한 경제차별 및 교육차별을 주장했다. 이는 백정들이 그 어느 계층보다도 실천적이였으며, 사회모순해결을 위한 문제의식이 강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개방성이다. 임꺽정의 난은 백정집단뿐만 아니라 향리, 역리, 상인, 농민, 노비, 군사에 이르는 다양한 계층의 참여로 시작된 조선초기의 본격적인 농민저항운동의 성격을 띠었으며, 이것이 중앙으로 하여금 상당한 위협으로 다가왔다. 형평운동 역시 백정들만의 폐쇄적 사회운동이 아닌 각 계층의 사회운동가와 사회단체의 참여, 일본 수평사와의 연계활동 등을 통해 한 가지 시선이 아닌, 폭넓은 시각에서 실시된 저항운동이었다.
결국 이것은 사회는 폐쇄적일지 몰라도, 백정이라는 집단은 그 어느 계층보다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사고방식을 지니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며, 더불어 현재의 일본 부락민들의 신분은 계속적으로 따라오는 꼬리표-그들 역시 수평사 운동을 통한 부락민 신분해방운동을 실시했지만-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에서 백정의 계층이 사라진 것에 대한 좋은 답변으로 적용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본의 부락민층의 운동이 ‘부락민’들로만 한정된 제한된 사회변혁운동이었다면, 조선시대 백정중심의 사회변혁은 ‘누구에게나 열린 운동’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백정은 시대 계층의 가장 밑바닥에 있었기에 그 누구보다 ‘변혁’을 갈망했고,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과 ‘모두 같음’을 보장받고자 했으며,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을 실천으로 보여주었다. 이에 ‘임꺽정의 난’과 ‘형평운동’은 당시의 폐쇄적 조선사회에 대한 가장 낮은 밑바닥에의 ‘평등’을 향한 실천적 외침이었다.
<참고문헌>
홍명희,『청석골 대장 임꺽정』, 동광출판사, 1989
형평 운동 70주년 기념사업회,『형평 운동의 재인식』, 솔 출판사, 1993
한희숙. 『16세기 임꺽정 난의 성격』, 숙명여자대학교. 1995
한국역사연구회,『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1,2』, 청년사, 1996
강영주,『벽초 홍명희화 임꺽정의 연구자료』, 사계절, 1996
계명대학교학교출판부,『조선시대 대구의 모습과 사람』, 계명대학교학교출판부, 2002
김중섭, 『형평 운동』, 지식산업사, 2001
박종성,『백정과 기생』,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고숙화, 『형평 운동』,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8
둘째, 개방성이다. 임꺽정의 난은 백정집단뿐만 아니라 향리, 역리, 상인, 농민, 노비, 군사에 이르는 다양한 계층의 참여로 시작된 조선초기의 본격적인 농민저항운동의 성격을 띠었으며, 이것이 중앙으로 하여금 상당한 위협으로 다가왔다. 형평운동 역시 백정들만의 폐쇄적 사회운동이 아닌 각 계층의 사회운동가와 사회단체의 참여, 일본 수평사와의 연계활동 등을 통해 한 가지 시선이 아닌, 폭넓은 시각에서 실시된 저항운동이었다.
결국 이것은 사회는 폐쇄적일지 몰라도, 백정이라는 집단은 그 어느 계층보다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사고방식을 지니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며, 더불어 현재의 일본 부락민들의 신분은 계속적으로 따라오는 꼬리표-그들 역시 수평사 운동을 통한 부락민 신분해방운동을 실시했지만-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에서 백정의 계층이 사라진 것에 대한 좋은 답변으로 적용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본의 부락민층의 운동이 ‘부락민’들로만 한정된 제한된 사회변혁운동이었다면, 조선시대 백정중심의 사회변혁은 ‘누구에게나 열린 운동’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백정은 시대 계층의 가장 밑바닥에 있었기에 그 누구보다 ‘변혁’을 갈망했고,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과 ‘모두 같음’을 보장받고자 했으며,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을 실천으로 보여주었다. 이에 ‘임꺽정의 난’과 ‘형평운동’은 당시의 폐쇄적 조선사회에 대한 가장 낮은 밑바닥에의 ‘평등’을 향한 실천적 외침이었다.
<참고문헌>
홍명희,『청석골 대장 임꺽정』, 동광출판사, 1989
형평 운동 70주년 기념사업회,『형평 운동의 재인식』, 솔 출판사, 1993
한희숙. 『16세기 임꺽정 난의 성격』, 숙명여자대학교. 1995
한국역사연구회,『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1,2』, 청년사, 1996
강영주,『벽초 홍명희화 임꺽정의 연구자료』, 사계절, 1996
계명대학교학교출판부,『조선시대 대구의 모습과 사람』, 계명대학교학교출판부, 2002
김중섭, 『형평 운동』, 지식산업사, 2001
박종성,『백정과 기생』,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고숙화, 『형평 운동』,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8
추천자료
시민사회운동의 현실인식과 대응방향
한국사회운동의 변화
박헌영과 김단야의 생애와 사상(한국 사회주의운동의 선구자)
[녹색연합] 신사회운동 참여자로써의 녹색연합 분석
[파업]파업의 정의, 파업의 이론, 파업의 부정적 측면, 노조파업의 현실, 구로동맹파업과 198...
20세기 전반에 나타난 한국기독교 사회운동의 특징
복지국가 실현을 위한 사회연대운동의 전략
신사회운동의 정의와 등장배경, 외국의 신사회운동, 한국의 신사회운동의 특징과 전망, 신세...
주민참여와 지역사회운동
[1980년대][금융탈규제][경제상황]1980년대의 금융탈규제, 1980년대의 경제상황, 1980년대의 ...
[사이버거버넌스][사이버문학][사이버교육][사이버가정학습]사이버거버넌스, 사이버문학, 사...
[정치사회적 태도][정치][사회][태도][종교]정치사회적 태도와 시민사회변화, 정치사회적 태...
[지역사회복지론]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 변화, 발전해야 할 부분에 대해 사회복지사가 ...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이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