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장실무기초 15차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용장실무기초 15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수출입대금결제 방식에 대하여 알아본다.
2. 송금결제방식의 의의와 송금결제방식의 종류에 대하여 알아본다.
3. 송금방식 수출절차도에 대하여 알아본다.
4. 사전송금방식의 종류에 대하여 알아본다.
5. 사전송금방식에 의한 수입대금 지급에 대하여 알아본다.
6. 사전송금방식에 의한 수출대금의 영수에 대하여 알아본다.

본문내용

행이 송금수 표(demand draft : D/D)를 발행해 주면, 이를 수입업자가 수출업자 앞으로 직접 우송하여 결제하는 방식이다.
송금수표(D/D)의 결제과정
<18-2>
② 우편송금(mail transfer : M/T)
㉠ 의의
수입업자의 요청에 따라 송금은행이 송금수표를 발행하는 대신에 지급은행에 대하여 일정한 금액을 지급하여 줄 것을 위탁하는 지급지시서(payment order)에 해당하는 우편환(mail transfer : M/T)을 발행하여 이를 송금은행 이 직접 지급은행 앞으로 우송하는 방식이다.
㉡ 은행을 통한 우편송금방식의 절차
㉮ 수입상과 수출상이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그 대금의 전액을 은행의 우편 환(M/T)의 송금방식으로 결제하기로 약정한다.
㉯ 송금인(수입상)은 자기가 거래하는 외국환은행(송금은행)에 송금할 대금 을 외화로 입금시키고 송금을 의뢰한다.
우편송금(M/T)과 전신송금(T/T)의 결제과정
③ 전신송금방식(telegraphic transfer : T/T)
㉠ 의의
우편환송금방식과 같이 수입상의 요청에 따라 송금은행이 지급은행에 대하여 일정한 금액을 지급하여 줄 것을 위탁하는 지급지시서를 우편환으로 발행하 는 대신에 전신환(telegraphic transfer : T/T)의 형식으로 발행하여 이를 송 금은행이 직접 지급은행 앞으로 송금하는 방식이다.
전신통지수단으로는 CASH CONNECTOR, SWIFT(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Telecommunication ; 국제은행간 자금 결제 통신망)등을 활용한다.
실무적으로 T/T를 “wire transfer”라고도 하며 Telegraphic을 요즈음에는
SWIFT방식으로 대체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SWIFT로 전문을 보내서 소요되는 시간은 대략 미국은 6시 간, 필리핀은 4시간, 일본은 2시간 정도가 소요된다.
㉡ 특성과 활용
송금과정에서의 모든 위험은 당연히 은행이 부담하며 우편환송금방식보다 송 금과정이 신속하고 편리할 뿐 아니라 송금환의 분실이나 도난의 위험, 그리고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이 거의 없기 때문에 송금방식중에서 가장 안전한 결제 방식이다.
(6) 사전송금방식에 의한 수입대금 지급
① 준비서류 : ㉠ 외화송금/지급신청서
㉡ 수입계약서 사본
(7) 사전송금방식에 의한 수출대금의 영수
① 준비서류
㉠ 외국환매각/예치/인출신청서
㉡ 수출계약서 사본
② 외국환거래법상 유의사항
계약건당 미화 5만불을 초과하여 수출대금을 선적전 영수한 자는 1년 이내에 동 대금을 반환하거나 대응수출을 이행한 경우에 그 내용을 외국환은행에 보고하여 야 한다. 단, 대응수출 이행기간이 1년을 초과하여 한국은행에 신고한 경우에는 한국은행에 대응수출이행보고를 하여야 한다.
(8) 송금 및 추심결제 방법의 문제점
<학습정리>
1. 수출입대금결제 방식에 대하여 정리한다.
1) 선지급방법 (Advnace Payment)
2) 동시지급방법(Concurrent Payment)
3)후지급 및 혼합지급방법(Deferred and Mixed Payment)
2. 송금결제방식의 의의와 송금결제방식의 종류에 대하여 정리한다.
1) 사전송금방식
2) 사전송금방식의 효용성
3) 사전송금방식의 활용
4) 여타 결제방식과의 차이
3. 송금방식 수출절차도에 대하여 정리한다.
1) 송금방식 수출계약
2) 외화매각시점
3) 대응수출이행외무
4) 사전 송금방식 시 수출물품조달방법
5) 개인수표에 의한 사전송금방식
.
4. 사전송금방식의 종류에 대하여 정리한다.
1) 수표송금방식(demand draft :D/D)
2) 우편송금(mail transfer : M/T)
3) 전신송금방식(telegraphic transfer : T/T)
5. 사전송금방식에 의한 수입대금 지급에 대하여 정리한다.
6. 사전송금방식에 의한 수출대금의 영수에 대하여 정리한다.

1. 수출입대금결제 방식에 대하여 잘못 포함된 것을 찾으시오.
1) 선지급방법 (Advnace Payment)
2) 동시지급방법(Concurrent Payment)
3) 후지급 및 혼합지급방법(Deferred and Mixed Payment)
4) 취소불능 지급방법 (Irrevocable Payment)
2. 송금방식 수출절차도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을 고르시오.
1) 송금방식 수출계약
2) 외화매각시점 및 대응수출이행외무
3) 사전 송금방식 시 수입물품조달방법
4) 개인수표에 의한 사전송금방식
3. 송금결제방식의 종류를 설명한 것 중에 잘못 된 것을 고르시오.
1) 사전송금방식은 수출업자가 대금의 전액을 물품선적 전에 외화나 수표 등으로
수출업자에게 미리 송금하여 지불하고, 수출업자는 일정기간내에 이에 상응하는
상품을 선적하는 방식이다.
2) 송금수단으로 수표송금(demand draft, D/D), 우편송금(mail transfer, M/T),
전신송금(telegraphic transfer, T/T), 은행수표(Banker's Check) 및 개인수표
(Personal Check)등이 이용된다.
3) 대외무역법상에서는 단순송금방식(advance remittance : payment in
advance)이라고도 하며 견본구매나 소액의 시험주문(trial order)시에 주로 이
용된다.
4) 사전송금방식의 효용성으로 수출상은 물품대금을 상품인도 전에 미리 받기 때문
에 가장 좋은 방식이다.
정답: 1-4) (수출입대금결제 방식에 대하여 잘못 포함된 것으로는 “ 취소불능 지급
방법 (Irrevocable Payment)“은 신용장 종류에 포함된다.)
2-3) ( 송금방식 수출절차도에 대하여 잘못 설명된 것을 포함된 것은“
사전 송금방식 시 수출물품조달방법“을 사전 송금방식 시 수입물품
조달방법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3-1) (송금결제방식의 종류를 설명한 것 중에 잘못 된 것으로는 “사전송금방식은
수출업자가 대금의 전액을 물품선적 전에 외화나 수표 등으로 수출업자에
게 미리 송금하여 지불하고, 수출업자는 일정기간내에 이에 상응하는
상품을 선적하는 방식이다.“에서 수입업자로 수정 되어야 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4.05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78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