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자동차의 변화와 정의선 사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아자동차의 변화와 정의선 사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기아자동차의 변화와 정의선 사장


◎ 패션 입은 특별한 \'쏘울(SOUL)\' 만나세요
◎ Lewin`s Model of Organizational Change
◎ 기아자동차 파업 이미지가 브랜드 경영 걸림돌
◎ 정의선 사장의 ‘디자인 경영’
◎ 쏘울 나온 뒤 기아차 보는 눈 달라져
◎ 결 론(Conclusion)

본문내용

곳은 기아차말고 피아트·닛산뿐이다.
지금부터의 기아자동차는 이전과는 엄연히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미 많은 언론과 자동차 매니아들 사이에서 기아자동차에 대한 위신이 바뀌고 있다. 이전의 투박하고 촌스러운 이미지에서 세련되고 파워풀한 이미지도 탈바꿈하는 데 성공했다.
이것은 비단 소비자들에게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기아자동차 직원들 사이에서도 디자인 혁신을 가져온 피터 슈라이어 부사장은 ‘기아자동차의 히딩크’라고 불리우며, 높은 인지도를 얻고 있다. 그가 처음 기아자동차에 부임해왔을 당시, 지나치게 많은 연봉과 조직내에서의 영향력에 불만을 품고 마찰을 일으키던 모습과 비교해보면 천지차이다.
이렇듯 정의선 사장이 내세운 ‘브랜드 경영’이 단순히 한 부서, 한 제품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조직 내에서 당연하다는 듯이 인식하고 있는 가치관으로 굳어지게 되는 것은 르윈 이론의 3단계 'Refreeze'에 해당한다.
◎ 결 론(Conclusion)
기아자동차의 ‘브랜드 경영’으로의 변화는 르윈 이론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하나의 예시이다.
1단계 : Unfreeze
야심차게 내놓은 로체의 실패를 통해, 진부한 경영철학에 의문을 품고 그것을 바꾸기 위한 방법을 모색.
현대자동차와의 차별화 시도.
2단계 : Change
정의선 사장이 ‘브랜드 경영’을 도입하기로 결정.
하지만 각 부서별로 역할 및 위치의 변화에 따른 기존 조직구조와의 마찰 야기.
정의선 사장의 카리스마를 통한 주입식 변화 시도.
3단계 : Refreeze
1년이 지나고 로체, 모하비, 쏘울 3개의 신형차를 통한 기존의 브랜드 이미지 탈피 성공.
기아자동차만이 가지는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 확보.
조직 내에서 ‘브랜드 경영’에 대한 인지도 형성.
르윈의 이론은 단순히 기업의 변화가 성공해나가는 과정을 설명해주는 것일 뿐, 모든 조직의 모든 변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성공적으로 변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리더쉽과 카리스마 뿐만 아니라 조직 구성원들을 설득할 수 있는 능력과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만한 결과물이 필요하다.
기아자동차는 이 모든 조건들을 충족시켜 매우 성공적인 변화를 이룬 케이스라 말할 수 있다. 정의선 사장의 카리스마있는 경영능력과 슈라이어의 이미지에 관한 능력, 그리고 그들을 통한 쏘울이라는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통해, 조직 구성원들이나 외부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브랜드 이미지를 만들어내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4.06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79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