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서 정치하는 이준석의원의 스타 특강을 우연히 보게 되었다. 이준석의원의 말 중에서 와 닿았던 것은 우리나라는 무조건 어딜가나 경쟁 심리를 자극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눈치보면서 경쟁하며 남을 밟고 일어납니다. 하지만 미국은 경쟁은 곧 협력이라고 합니다. 남과 함께 가는 것을 가르칩니다.
남은 경쟁이 아니고 함께 가는 것이라고 어깨를 나란히 하여 동등하게 맞춰 나가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우리나라 교육의 현실을 비판하면서 이야기를 해나가는 이준석 의원의 말이 떠오른다. 맞다. 우리나라는 무조건 경쟁이다. 도무지 정치도 경제도 학교도 사회도 협력이라는 단어는 찾아보기 어렵지 않나.. 답답하다.
협력, 협동을 위한 교육을 초등학교부터 시켜준다면 우리나라의 미래도 변화하지 않을까 싶다. 이러한 점을 위해서 혁신학교를 더 많이 지원하고 응원해 주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혁신학교가 앞으로 헤쳐나가야 할 과제는 더 많을 것이다. 현 시대의 교육의 문제점 해결의 측면에서가 아니라 우리나라 교육의 혁신을 위해서 모든 학교의 재구조화를 외치며 혁신학교의 성공의 자리를 넓혀주는 건 어떠할까 생각해 보았다.
혁신학교에 대한 기대는 다양하다고 본다. 혁신학교가 다 같은 방향을 추구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다만 몇 가지는 추구하는 방향을 같이 보고 함께 만들어 나가는 게 좋은 방법이 아닐까 싶다.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과 함께 학교운영의 민주화가 혁신의 전제가 된다는 점, 아무도 소외되지 않고 학생 모두의 참여가 보장되는 학생 중심의 수업, 일제식 교육에서 소외되었던 교육내용을 중시하여 교육과정이 있어야 된다는 점, 결과중심에서 과정중심의 성장을 위한 평가로서 전환이 있어야 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방향을 추구하여 학교의 혁신을 위해 다 같이 소통하는 곳이 혁신학교이길 바란다.
참고문헌
서근원(2005). 학교혁신 사례 발굴과 확산을 위한 네트웍 구축 방안 연구.
정책연구 2005-06.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성열관(2011). 대담- 진보교육감 시대, 혁신학교의 의미와 과제. 교육비평 제28호
최병호(2012). 혁신학교 참여교사들의 교육관 재구성과 연결망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영태(2008). 교사의 교육혁신에 대한 관심과 학교효과성과의 관계.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효수(2012). ‘배움의 공동체’ 학교의 사회과 수업 실천사례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남은 경쟁이 아니고 함께 가는 것이라고 어깨를 나란히 하여 동등하게 맞춰 나가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우리나라 교육의 현실을 비판하면서 이야기를 해나가는 이준석 의원의 말이 떠오른다. 맞다. 우리나라는 무조건 경쟁이다. 도무지 정치도 경제도 학교도 사회도 협력이라는 단어는 찾아보기 어렵지 않나.. 답답하다.
협력, 협동을 위한 교육을 초등학교부터 시켜준다면 우리나라의 미래도 변화하지 않을까 싶다. 이러한 점을 위해서 혁신학교를 더 많이 지원하고 응원해 주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혁신학교가 앞으로 헤쳐나가야 할 과제는 더 많을 것이다. 현 시대의 교육의 문제점 해결의 측면에서가 아니라 우리나라 교육의 혁신을 위해서 모든 학교의 재구조화를 외치며 혁신학교의 성공의 자리를 넓혀주는 건 어떠할까 생각해 보았다.
혁신학교에 대한 기대는 다양하다고 본다. 혁신학교가 다 같은 방향을 추구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다만 몇 가지는 추구하는 방향을 같이 보고 함께 만들어 나가는 게 좋은 방법이 아닐까 싶다.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과 함께 학교운영의 민주화가 혁신의 전제가 된다는 점, 아무도 소외되지 않고 학생 모두의 참여가 보장되는 학생 중심의 수업, 일제식 교육에서 소외되었던 교육내용을 중시하여 교육과정이 있어야 된다는 점, 결과중심에서 과정중심의 성장을 위한 평가로서 전환이 있어야 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방향을 추구하여 학교의 혁신을 위해 다 같이 소통하는 곳이 혁신학교이길 바란다.
참고문헌
서근원(2005). 학교혁신 사례 발굴과 확산을 위한 네트웍 구축 방안 연구.
정책연구 2005-06.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성열관(2011). 대담- 진보교육감 시대, 혁신학교의 의미와 과제. 교육비평 제28호
최병호(2012). 혁신학교 참여교사들의 교육관 재구성과 연결망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영태(2008). 교사의 교육혁신에 대한 관심과 학교효과성과의 관계.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효수(2012). ‘배움의 공동체’ 학교의 사회과 수업 실천사례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