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대미 수출 증가 ……………………………3
Ⅱ. 중견 중소기업에 혜택 ……………………4
Ⅲ. 미국의 한국투자 증가 ……………………5
Ⅳ. 일자리 창출 ………………………………6
Ⅴ. 미국산 농산물 수입 감소 ………………6
Ⅱ. 중견 중소기업에 혜택 ……………………4
Ⅲ. 미국의 한국투자 증가 ……………………5
Ⅳ. 일자리 창출 ………………………………6
Ⅴ. 미국산 농산물 수입 감소 ………………6
본문내용
.
Ⅴ. 미국산 농산물 수입 감소
미국산 농산물이 국내 밥상을 점령할 것이란 우려와 달리 육류, 곡물 부문에서 수입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한·미 FTA 발효 후 미국산 육류 수입액은 2억6874만달러를 기록했다. 발효 전 같은 기간보다 24.5% 줄어든 것이다.
한미FTA를 통해서 우려했던 부분 중에 하나가 미국산 농산물의 유입이었다. 미국은 농산물을 대량으로 재배하기 때문에 저렴한 농산물이 한국시장에 유입될 경우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농산물은 특히 가격적인 부분에 민감하다고 할 수 있는데 저렴한 미국산 농산물이 들어오는 상황에서 한국산 농산물은 소비자들에게 외면을 받게 될 수밖에 없는 일인 것이다.
그런데 정작 한미FTA의 시행 후에 미국산 농산물이 오히려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예상과는 반대의 결과인 것이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 한미FTA에 효과적으로 대비한 덕분이라고 주장하는 입장이 존재한다.
반면에 미국 내에 재해로 인해서 농산물의 생산량이 크게 감소하였기 때문에 수입이 감소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타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산 농산물 수입에 대한 평가는 좀 더 지켜봐야 될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자료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3010362171
<한국경제>
http://www.fnnews.com/view?ra=Sent0601m_View&corp=fnnews&arcid=201304090100085870004890&cDateYear=2013&cDateMonth=04&cDateDay=08
<파이낸셜뉴스>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H21&newsid=02561686602774152&DCD=A00802&OutLnkChk=Y
<이데일리>
http://www.sisa-news.com/news/article.html?no=44755
<시사뉴스>
http://www.ajunews.com/common/redirect.jsp?newsId=20130408000492
<아주경제>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13/04/20130408177734.html
<조세일보>
http://www.fnnews.com/view?ra=Sent0601m_View&corp=fnnews&arcid=201304080100084540004518&cDateYear=2013&cDateMonth=04&cDateDay=08
<파이낸셜뉴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6192214
<연합뉴스>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365346800493970012
<광주일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6190057
<연합뉴스>
Ⅴ. 미국산 농산물 수입 감소
미국산 농산물이 국내 밥상을 점령할 것이란 우려와 달리 육류, 곡물 부문에서 수입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한·미 FTA 발효 후 미국산 육류 수입액은 2억6874만달러를 기록했다. 발효 전 같은 기간보다 24.5% 줄어든 것이다.
한미FTA를 통해서 우려했던 부분 중에 하나가 미국산 농산물의 유입이었다. 미국은 농산물을 대량으로 재배하기 때문에 저렴한 농산물이 한국시장에 유입될 경우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농산물은 특히 가격적인 부분에 민감하다고 할 수 있는데 저렴한 미국산 농산물이 들어오는 상황에서 한국산 농산물은 소비자들에게 외면을 받게 될 수밖에 없는 일인 것이다.
그런데 정작 한미FTA의 시행 후에 미국산 농산물이 오히려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예상과는 반대의 결과인 것이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 한미FTA에 효과적으로 대비한 덕분이라고 주장하는 입장이 존재한다.
반면에 미국 내에 재해로 인해서 농산물의 생산량이 크게 감소하였기 때문에 수입이 감소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타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산 농산물 수입에 대한 평가는 좀 더 지켜봐야 될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자료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3010362171
<한국경제>
http://www.fnnews.com/view?ra=Sent0601m_View&corp=fnnews&arcid=201304090100085870004890&cDateYear=2013&cDateMonth=04&cDateDay=08
<파이낸셜뉴스>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H21&newsid=02561686602774152&DCD=A00802&OutLnkChk=Y
<이데일리>
http://www.sisa-news.com/news/article.html?no=44755
<시사뉴스>
http://www.ajunews.com/common/redirect.jsp?newsId=20130408000492
<아주경제>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13/04/20130408177734.html
<조세일보>
http://www.fnnews.com/view?ra=Sent0601m_View&corp=fnnews&arcid=201304080100084540004518&cDateYear=2013&cDateMonth=04&cDateDay=08
<파이낸셜뉴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6192214
<연합뉴스>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365346800493970012
<광주일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6190057
<연합뉴스>
추천자료
한,칠레 자유무역협정의 문제점
한국과 칠레의 자유무역협정에 관하여
한·칠레 자유무역협정과 농업의 과제
자유무역협정 (Free Trade Agreement)에 대한 한국의 대응
한일자유무역협정의 정책과 시사점
한칠레간 자유무역협정 체결과 당면과제
동북아에서의 자유무역협정을 포함한 정부의 동북아중심국가 방안과 한국경제
“자유무역협정”에 대한 나의 견해
대한민국과 싱가포르자유무역협정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
10_한일 자유무역협정의 의의와 방향
한미 자유무역협정 협상결과와 대응방향
세계자유무역협정에 따른 우리나라 농업경제의 변화와 대처방안
북미자유무역협정, ASEAN과 AFTA, APEC, 지역무역협정의 평가, 통상협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