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마약성진통,진경,진정제
도취감,불쾌감,불안,구갈,오심,구토,호흡억제
내성 및 의존성
중증간질환, 담석, 진전환자, 혼수상태
1회량 25~100mg, IM, SC, slow IV. 필요에 따라 3~4시간동안 반복
ambroxol HCl
점액분비장애로 인한 급·만성 호흡기 질환, 수술 전·후의 폐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
복통, 설사, 변비, 구역, 구토, 가슴쓰림, 식욕부진, 발진, 두드러기, 가려움
신중투여
본제에 과민증 환자
1회 30mg 1일 3회 경구 투여하고 계속 치료 시 1회 15mg 1일 3회 투여한다.
Furtman
비경구영양요법의 정맥주사용 용액에 추가로 사용하여 체내 아연, 구리, 망간, 크롬의 혈청치를 유지하고 체내고갈 및 그에 따른 결핍증세를 막는다.
신기능 부전, 담도폐쇄, 당뇨병환자
신생아, 미숙아
혈장내 미량원소량을 확인하여 용량조절
Dextrose Sodium chloride
탈수증, 수분, 전해질 보급, 수술전후의 수분·전해질보급
대량 급속 투여시 뇌부종, 폐수종, 말초부종
신질환에 기인하는 신부전환자, 고장성 탈수증환자
1일 500~1000mL를 2~3회나누어 점적 정맥주사한다.
gabexate mesilate
수술수의 급성췌장염, 범발성 혈관내 혈액응고증 예방
투여부위 염증, 발적, 과민증, 혈압강하, 오심, 구토
용해후 빨리 사용
초기 투여시 1일 100∼300mg으로 그 후는 증상의 쇠퇴에 따라 감량
Kabiven peri
경구 또는 위장관 영양보급이 불가능 또는 불충분하거나 또는 제한되어 경정맥 영양공급을 실시해야 하는 환자들에게 수분, 전해질, 아미노산 및 칼로리 보급
발열, 발적, 가려움
의사의 지시에 의하여 사용
심부전, 계란·콩단백질 혹은 성분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 심한 고지혈증
1일 0.7~1.0g/kg을 말초정맥 또는 중심정맥으로 점적주사
Intralipid
비경구 영양공급 처방의 일부로서 에너지 및 필수 지방산의 보급
체온상승, 떨림, 오한, 오심, 구토, 간효소의 일시적인 증가
인슐린과 병용시 신체의 지방분해체계를 간섭
급성 쇼크환자,
불안정한 대사 환자
1일 2 g이내로 한다. 투여시간은 3시간 이상에 걸쳐 점적 정맥주사한다.
3.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간호진단 목록
우선순위
진단명
발생일
종료일
1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2
소화장애와 관련된 영양결핍 위험성
3
환경변화 및 질병과 관련된 불안
2) 간호과정
#1. 수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사정
(Assesment)
주관적 자료 (Subjective data) : “ 아파요....”
“ 진통제 주세요..”
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 : 얼굴을 찡그림
신음소리를 냄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수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계 획
(Planing)
목표
장기목표 (long goal) : 6월 5일 환자는 수술부위에 대한 통증이 없음을 표현한다.
단기목표 (short goal) : 3시간 이내에 통증강도가 경도로 변하였음을 말로 표현한다.
기대되는 결과 (outcome) : 통증이 경감됨을 말로 표현한다.
이완된 상태이며 적절하게 수면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다.
간호중재 계획
합리적 근거
NRS Numeric Rating Scale : NRS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수 개념을 이해하는 환자에게 통증강도를 측정할 때 사용
통증강도를 경도(1~4), 중증도(5~6), 중증(7~10)으로 구분.
를 통한 통증강도 및
위치를 사정한다.
통증시 PCA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교육하고 그 효과에 대해 사정한다.
통증 완화 요법을 교육한다.
시간에 따른 환자 통증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해 준다.
환자의 통증이 있을 때 마다 올바른 사용을 하도록 교육한다.
통증이 있을시 가벼운 마사지나 호흡운동을 통해 통증경감에 도움을 준다.
수 행
(Implementation)
통증 사정상 위치 : 수술부위
강도 : 5 (NRS)
양상 : 욱신거리는 듯 잡아당기는듯한
빈도 : 지속적 (지속시간 5~20분) 으로 확인 .
PCA의 사용방법을 교육하였고 그 효과를 사정하였다.
(1시간에 1~2번씩 눌렀고 통증이 절감됨을 말로 표현하였다. )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통증이 있을시 TV보기나 대화하기를 통한 전환요법과 깊은 숨을 쉬게하는 이완요법을 교육하였고 시행하였다.
평가
(Evaluation)
환자의 통증이 경감됨 (NRS 5-> 2)을 말로 표혔하였다.
환자의 진통제 요구횟수가 줄었다.
#2. 소화장애와 관련된 영양결핍 위험성
사정
(Assesment)
주관적 자료 (Subjective data) : “밥은 언제부터 먹나요?...”
“ 일반적인 식사를 하면서 살아갈수 있을까요?”
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 : 위 절제 수술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소화장애와 관련된 영양결핍 위험성
계 획
(Planing)
목표
장기목표 (long goal) : 11일 퇴원시 안정적인 체중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short goal) : 7일 문제없이 식사를 수행한다.
기대되는 결과 (outcome) : 환자의 영양결핍 증상이 없다.
간호중재 계획
합리적 근거
음료와 음식 섭취 시 복부 팽만, 통증, 경련 및 오심/구토 여부를 확인한다.
급속이동증후군에 대해 교육하고 올바른 식사법에 대하여 교육한다.
규칙적으로 구강간호를 한다.
장폐색, 마비, 급속이동증후군과 같은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식사는 소량 자주 천천히 와 같은 식사법을 통해 수술후 합병증을 예방한다.
구강의 건조와 입술의 갈라짐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수 행
(Implementation)
음식 또는 음료 섭취시 복부불편감이나 팽만감 또는 오심 구토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7일 나온 연식 식사와 위절제 후식을 통해 천천히 소량 자주 섭취하였다.
물에 적신 거즈를 입에 적셔주고 환자의 상태를 시진하였다.
평가
(Evaluation)
11일 퇴원시 환자의 몸무게는 67Kg이다. (입원시 보다 2)
올바른 식사법을 수행하였다. (소량 천천히)
영양 결핍 증상이 없었다.
4. 참고문헌
도취감,불쾌감,불안,구갈,오심,구토,호흡억제
내성 및 의존성
중증간질환, 담석, 진전환자, 혼수상태
1회량 25~100mg, IM, SC, slow IV. 필요에 따라 3~4시간동안 반복
ambroxol HCl
점액분비장애로 인한 급·만성 호흡기 질환, 수술 전·후의 폐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
복통, 설사, 변비, 구역, 구토, 가슴쓰림, 식욕부진, 발진, 두드러기, 가려움
신중투여
본제에 과민증 환자
1회 30mg 1일 3회 경구 투여하고 계속 치료 시 1회 15mg 1일 3회 투여한다.
Furtman
비경구영양요법의 정맥주사용 용액에 추가로 사용하여 체내 아연, 구리, 망간, 크롬의 혈청치를 유지하고 체내고갈 및 그에 따른 결핍증세를 막는다.
신기능 부전, 담도폐쇄, 당뇨병환자
신생아, 미숙아
혈장내 미량원소량을 확인하여 용량조절
Dextrose Sodium chloride
탈수증, 수분, 전해질 보급, 수술전후의 수분·전해질보급
대량 급속 투여시 뇌부종, 폐수종, 말초부종
신질환에 기인하는 신부전환자, 고장성 탈수증환자
1일 500~1000mL를 2~3회나누어 점적 정맥주사한다.
gabexate mesilate
수술수의 급성췌장염, 범발성 혈관내 혈액응고증 예방
투여부위 염증, 발적, 과민증, 혈압강하, 오심, 구토
용해후 빨리 사용
초기 투여시 1일 100∼300mg으로 그 후는 증상의 쇠퇴에 따라 감량
Kabiven peri
경구 또는 위장관 영양보급이 불가능 또는 불충분하거나 또는 제한되어 경정맥 영양공급을 실시해야 하는 환자들에게 수분, 전해질, 아미노산 및 칼로리 보급
발열, 발적, 가려움
의사의 지시에 의하여 사용
심부전, 계란·콩단백질 혹은 성분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 심한 고지혈증
1일 0.7~1.0g/kg을 말초정맥 또는 중심정맥으로 점적주사
Intralipid
비경구 영양공급 처방의 일부로서 에너지 및 필수 지방산의 보급
체온상승, 떨림, 오한, 오심, 구토, 간효소의 일시적인 증가
인슐린과 병용시 신체의 지방분해체계를 간섭
급성 쇼크환자,
불안정한 대사 환자
1일 2 g이내로 한다. 투여시간은 3시간 이상에 걸쳐 점적 정맥주사한다.
3.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간호진단 목록
우선순위
진단명
발생일
종료일
1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2
소화장애와 관련된 영양결핍 위험성
3
환경변화 및 질병과 관련된 불안
2) 간호과정
#1. 수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사정
(Assesment)
주관적 자료 (Subjective data) : “ 아파요....”
“ 진통제 주세요..”
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 : 얼굴을 찡그림
신음소리를 냄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수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계 획
(Planing)
목표
장기목표 (long goal) : 6월 5일 환자는 수술부위에 대한 통증이 없음을 표현한다.
단기목표 (short goal) : 3시간 이내에 통증강도가 경도로 변하였음을 말로 표현한다.
기대되는 결과 (outcome) : 통증이 경감됨을 말로 표현한다.
이완된 상태이며 적절하게 수면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다.
간호중재 계획
합리적 근거
NRS Numeric Rating Scale : NRS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수 개념을 이해하는 환자에게 통증강도를 측정할 때 사용
통증강도를 경도(1~4), 중증도(5~6), 중증(7~10)으로 구분.
를 통한 통증강도 및
위치를 사정한다.
통증시 PCA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교육하고 그 효과에 대해 사정한다.
통증 완화 요법을 교육한다.
시간에 따른 환자 통증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해 준다.
환자의 통증이 있을 때 마다 올바른 사용을 하도록 교육한다.
통증이 있을시 가벼운 마사지나 호흡운동을 통해 통증경감에 도움을 준다.
수 행
(Implementation)
통증 사정상 위치 : 수술부위
강도 : 5 (NRS)
양상 : 욱신거리는 듯 잡아당기는듯한
빈도 : 지속적 (지속시간 5~20분) 으로 확인 .
PCA의 사용방법을 교육하였고 그 효과를 사정하였다.
(1시간에 1~2번씩 눌렀고 통증이 절감됨을 말로 표현하였다. )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통증이 있을시 TV보기나 대화하기를 통한 전환요법과 깊은 숨을 쉬게하는 이완요법을 교육하였고 시행하였다.
평가
(Evaluation)
환자의 통증이 경감됨 (NRS 5-> 2)을 말로 표혔하였다.
환자의 진통제 요구횟수가 줄었다.
#2. 소화장애와 관련된 영양결핍 위험성
사정
(Assesment)
주관적 자료 (Subjective data) : “밥은 언제부터 먹나요?...”
“ 일반적인 식사를 하면서 살아갈수 있을까요?”
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 : 위 절제 수술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소화장애와 관련된 영양결핍 위험성
계 획
(Planing)
목표
장기목표 (long goal) : 11일 퇴원시 안정적인 체중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short goal) : 7일 문제없이 식사를 수행한다.
기대되는 결과 (outcome) : 환자의 영양결핍 증상이 없다.
간호중재 계획
합리적 근거
음료와 음식 섭취 시 복부 팽만, 통증, 경련 및 오심/구토 여부를 확인한다.
급속이동증후군에 대해 교육하고 올바른 식사법에 대하여 교육한다.
규칙적으로 구강간호를 한다.
장폐색, 마비, 급속이동증후군과 같은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식사는 소량 자주 천천히 와 같은 식사법을 통해 수술후 합병증을 예방한다.
구강의 건조와 입술의 갈라짐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수 행
(Implementation)
음식 또는 음료 섭취시 복부불편감이나 팽만감 또는 오심 구토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7일 나온 연식 식사와 위절제 후식을 통해 천천히 소량 자주 섭취하였다.
물에 적신 거즈를 입에 적셔주고 환자의 상태를 시진하였다.
평가
(Evaluation)
11일 퇴원시 환자의 몸무게는 67Kg이다. (입원시 보다 2)
올바른 식사법을 수행하였다. (소량 천천히)
영양 결핍 증상이 없었다.
4. 참고문헌
추천자료
대학생으로서 성의 순결에 대한 나의 생각
행복한 성 이야기
남성과 여성의 성호르몬
‘구성애의 성교육’을 읽고
카프카의 성을 읽고
중국의 성문화
장애학생의 성교육
남성과 여성의 성 호르몬
원광대 성의과학 인터넷강의 족보
2014년 2학기 성사랑사회 중간시험과제물 B형(여성 폭력, 사례, 개선을 위한 노력)
2014년 2학기 성사랑사회 중간시험과제물 A형(우리사회에서 성적차별과 다른차별)
2016년 2학기 성사랑사회 중간시험과제물 E형(남성과 여성이 자유롭고 행복한 존재)
2016년 2학기 성사랑사회 중간시험과제물 D형(일하는 여성들이 겪는 어려움, 경험과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