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져스포츠] 스키의 기본기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레져스포츠] 스키의 기본기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① 프르그 화렌

② 프르그 보겐

③ 슈템턴

④ 페러렐 턴

⑤ 베데른(숏턴)

⑥ 카빙턴

⑦ 참고 문헌

본문내용

에서 다운 패러렐 턴은 앉으면서 회전을 개시하고 다리가 펴지면서 회전의 조종이 이루어지므로 인체의 중심은 양쪽 스키위에 위치시키는 것이 좋다. 다운 패러렐은 양스키위에 균등한 체중을 유지해야 하며 가능한 양발의 동시조작이 중요하다.
③ S자 형태의 기본 패러렐 턴
폴을 찍고 업하여 회전의 안쪽으로 기울여 자동적인 개시동작을 유도하는 구간 점진적인 다운동작의 하중상태의 구간으로 나눈다.
5. 베데른(숏턴)
페러렐 턴의 축소된 형태의 회전을 베데른이라고 한다. 파워스키의 진가를 맛 볼 수 있고 짧은 회전의 기술을 익힘으로써 스키의 모든 면을 정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베데른은 회전의 반경이 짧기 때문에 다리 운동의 움직임이 적고 템포도 빨라진다. 그래서 폴 체크, 즉 팔 동작이 다리 동작을 유도하게 된다. 베데른에서는 스키를 빨리 돌리지 말고 폴을 찍고 일어설 때 자동적인 피봇동작으로 스키를 돌려 강하고 부드럽게 눌러서 돌려야 한다.
상체를 폴라인과 거의 마주한 채로 양 무릎을 좌우로 밀어 넣으면서 미끄러진다. 회전의 정점에서는 확실하게 하중을 주어 엣징한다. 회전의 경우 양발을 사용하고 폭 넓은 기술을 수용할 수 있게 양발의 넓이를 적절하게 한다.
(1) 베데른 연습방법
① 양발의 스탠스 넓이가 적절한 베데른
현대 장비의 사이드 컷이 가진 특성을 살려 부드럽고 파워가 넘치는 회전을 만들기 위해서는 양발의 스탠스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양발의 넓이가 적절하면 하중을 많이 줄 수 있으며 에지에도 많은 하중이 전달되어 짧은 회전을 쉽게 만들 수 있다.
② 안쪽스키를 들면서 회전하는 베데른
현대적 기술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연습하므로서 한쪽 발의 하중 감각을 익힐 수 있다. 이것은 폴을 찍음과 동시에 안쪽 발을 들어 올려 바깥쪽 발에 모든 하중을 걸어 회전을 만들어 내는 기술이다.
회전이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들었던 다리를 설면에 살짝 내려놓고 다시 폴을 찍음과 동시에 안쪽 발을 들어 올리며 반복된 동작으로 회전을 만들어 낸다.
(2) 베데른 베데른에서 주의 할 점
베데른에서 상체는 폴라인을 향하고 있어야 하며, 특히 언웨이팅과 스키에 압력을 가하는 하중의 리듬에서 타이밍을 잡는 것이 좋다.
스틱을 과감하게 사용할 때 오른손은 바인딩과 스키 앞부분을 삼각형으로 그림을 그려 삼각형의 안쪽에 견고하게 찍는 것이며 왼쪽 손은 반대로 손등이 약간 정면을 보도록 위치시킴으로서 자연적인 예측 동작을 만들 수 있다.
6. 카빙턴
스키의 모양을 최대로 이용하여 스키가 밀리지 않고 에지가 눈을 파고들면서 선을 그리며 회전을 하는 기술이다. 카빙턴은 회전의 개시에서 좌, 우로의 몸의 기울임과 최대경사선으로 몸을 던지듯이 회전을 개시하는 동작이 중요하다.
카빙턴 연습방법
① 카빙 페러렐 턴
카빙 페러렐의 특징은 양발의 적절한 넓이의 스탠스 사용으로 기술을 폭넓게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제일 중요한 동작은 카빙 스키의 특징을 살려 에지로 턴을 개시하여 에지로 조정하고 에지로 턴을 마무리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개시 동작에서 몸을 회전의 안쪽으로 많이 기울여 쉽게 에징각을 만들어야 한다.
카빙 턴에서의 포인트는 몸을 많이 기울여 정확한 하중동작을 취하므로 스키 자체가 설면을 파고들어 회전력을 일으키도록 유도해야한다.
② 카빙 페러렐 기르란데
개시할 때 좌, 우로 몸을 기울이는 것이 포인트가 된다. 몸을 좌, 우로 기울이는 것은 자동적으로 만들어지는 에징각을 이용하여 하중을 주기 위한 준비단계이다. 카빙 페러렐 기르란데의 목적은 업하여 좌, 우로 몸을 많이 기울이는 연습과 정확하게 하중을 주어 스키자체가 설면을 잘라내는 감각을 익히기 위한 보조연습 기술이다. 최대경사선으로 업한 후 가속을 붙이고 다시 회전의 안쪽으로 기울이며 에징각을 만들어야 한다.
③ 속도가 빠른 상태에서의 카빙 페러렐 턴
속도가 빠르고 경사도가 높을수록 원심력은 더욱 커져 회전 중 스키가 궤도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힘이 가중된다. 그러므로 스키어가 유도하는 궤도로 스키가 가도록 하기 위해 개시에서 회전의 안쪽으로 많이 기울여 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몸을 기울일 때에 엉덩이의 위치는 회전의 안쪽에 있어야 한다.
④ 안쪽 스키로의 조정턴과 속도에 따른 몸의 기울임을 위한 연습 턴
속도가 높을 수록 원심력에 적응하기 위하여 회전의 개시에서 좌, 우로 몸을 기울여 주는 것이 중요하다. 좀더 속도가 높은 상태에 도전하기 위하여 안쪽 스키를 k고 기울여 회전을 개시하는 연습을 함으로서 균형력을 개발 할 수 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4.23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07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