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➀ 한글의 유례
➁ 핸드폰의 한글 입력방식 특징 및 비교
➂ 한글 관련 뉴스
➁ 핸드폰의 한글 입력방식 특징 및 비교
➂ 한글 관련 뉴스
본문내용
있다.
2-(2) 한글입력 방식별 비교
몇 개의 실험 예문의 각각 천지인 방식, EZ한글 방식, SKY∥방식으로 입력해 보았다. 단, 마침표나 물음표 등의 문장부호와 띄어쓰기는 입력 타수에서 제외하였다. 하지만 동일한 자판에 배열되어 있는 자음이 종성과 초성에 연달아 출현해서 발생하는 Timeout Kill의 문제는 별개의 1타로 자음에 포함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위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전ㄴ체 입력 타수의 비교에 있어서는 세 가지 방식 사이에 일정한 경향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즉, 대체적으로 천지인 방식의 입력 타수가 가장 많고, EZ한글이 두 번째이며, SKY ∥방식이 가장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입력 타수의 차이가 구체적으로 어떤 항목에서 발생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위 실험 예문을 다시 자음과 모음으로 구분하여 입력 타수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위 표를 통해서 살펴보면, 세 가지의 한글입력 방식에서 전체 타수의 차이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음보다는 모음임을 알 수 있다.
3. 한글 관련 뉴스
3-(1) 휴대폰 한글 입력방식 저작권 논란
휴대폰 제조사들의 한글입력 방식 특허에 대해 한국어정보학회등이 '특허무효심판'에 공동 대응키로 해 휴대폰 한글입력 표준화 작업에 난항이 예상된다.한국어정보학회, 한국방송통신학회, 한국미디어콘텐츠학술연합은 19일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삼성전자 '천지인', LG전자 '나랏글' 관련 특허는 기존 논문의 내용을 표절 및 무단인용해 얻은 것"이라며 저작권 침해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경고했다.천지인과 나랏글은 휴대폰의 한글 입력 방식으로, 국내에서 쓰는 일반 휴대폰 중 75%가량이 2개 방식을 탑재하고 있다.한국어정보학회 등은 천지인·나랏글 관련 특허 4∼5종은 지난 1991년 송기중 서울대학교 전 교수가 한국어정보학회지에 실은 논문을 표절한 것이라 주장하고 있다. 송 전 교수는 지난해 특허무효심판을 청구했고, 이번에 한국정보학회 등이 변리사를 선임하며 대응을 강화하기로 했다.이날 진용옥 한국어정보학회장은 "휴대폰 제조사들의 이해관계 때문에 국내 표준화가 지지부진한 가운데 중국이 한글 입력방식의 국제표준화를 추진한다는, 이른바 '한글공정' 논란이 일고 있다"며 "업계의 특허를 무효화하고 새로운 표준 제정에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에 따라 한국어정보학회 등은 새로 고안한 한글 입력방식 표준안 2건을 제시하며 중국, 북한과 함께 국제표준 승인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밝혔다.국내에서 휴대폰 한글입력 방식 표준화는 이미 15년 전부터 제기돼 논의를 해왔지만, 현재 관련 특허만 400건에 달하는데다 업계가 표준화 참여에 적극 나서지 않고 있어 진척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지난해 말 휴대폰 한글입력 방식의 표준화를 올해 말까지 마무리하겠다는 방침을 밝히고 방송통신위원회 및 업계와 조율을 해왔지만,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스마트폰 확산으로 PC의 자판과 같은 한글입력 방식이 퍼지고, 한국어정보학회 등이 새로운 표준안까지 제시하고 나서 오히려 소비자 혼란만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3-(2) 휴대폰 한글입력방식 표준화 급물살
각자 특허권을 주장하던 국내 휴대폰 한글입력방식 특허업체들이 잇따라 무상으로 특허기술을 개방하겠다는 의지를 밝혀 휴대형 디지털기기의 한글입력방식 표준화 논의가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한글입력기술인 ‘나랏글’의 특허권자인 KT와 ‘천지인’의 특허권자인 삼성전자가 기술사용 권한을 휴대폰 제조업체 등에 무상으로 제공하겠다는 뜻을 전달해 왔다고 21일 밝혔다.지난 18일에는 ‘천지인’의 또 다른 특허권자인 조관현 아이디엔 사장이 특허권을 정부에 기증할 의사를 밝힌 바 있어 이번 KT와 삼성전자가 합세하면 국내 휴대폰 한글입력방식 표준 제정과 국제표준화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정보기기 자판에 대한 국제표준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전화기 영문자판 표준과 국제표준화기구(ISO)의 PC 키보드 영문자판 표준이 제정돼 있다. 최근에는 중국이 자판 표준을 마련하겠다고 나서면서 국내에서도 한글입력방식 표준화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출저
http://naver.nanet.go.kr/SearchDetailView.do?cn=KINX2009005852&sysid=nhn
뉴스 및 기사 출저
파이낸셜 뉴스 http://www.fnnews.com
2-(2) 한글입력 방식별 비교
몇 개의 실험 예문의 각각 천지인 방식, EZ한글 방식, SKY∥방식으로 입력해 보았다. 단, 마침표나 물음표 등의 문장부호와 띄어쓰기는 입력 타수에서 제외하였다. 하지만 동일한 자판에 배열되어 있는 자음이 종성과 초성에 연달아 출현해서 발생하는 Timeout Kill의 문제는 별개의 1타로 자음에 포함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위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전ㄴ체 입력 타수의 비교에 있어서는 세 가지 방식 사이에 일정한 경향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즉, 대체적으로 천지인 방식의 입력 타수가 가장 많고, EZ한글이 두 번째이며, SKY ∥방식이 가장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입력 타수의 차이가 구체적으로 어떤 항목에서 발생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위 실험 예문을 다시 자음과 모음으로 구분하여 입력 타수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위 표를 통해서 살펴보면, 세 가지의 한글입력 방식에서 전체 타수의 차이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음보다는 모음임을 알 수 있다.
3. 한글 관련 뉴스
3-(1) 휴대폰 한글 입력방식 저작권 논란
휴대폰 제조사들의 한글입력 방식 특허에 대해 한국어정보학회등이 '특허무효심판'에 공동 대응키로 해 휴대폰 한글입력 표준화 작업에 난항이 예상된다.한국어정보학회, 한국방송통신학회, 한국미디어콘텐츠학술연합은 19일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삼성전자 '천지인', LG전자 '나랏글' 관련 특허는 기존 논문의 내용을 표절 및 무단인용해 얻은 것"이라며 저작권 침해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경고했다.천지인과 나랏글은 휴대폰의 한글 입력 방식으로, 국내에서 쓰는 일반 휴대폰 중 75%가량이 2개 방식을 탑재하고 있다.한국어정보학회 등은 천지인·나랏글 관련 특허 4∼5종은 지난 1991년 송기중 서울대학교 전 교수가 한국어정보학회지에 실은 논문을 표절한 것이라 주장하고 있다. 송 전 교수는 지난해 특허무효심판을 청구했고, 이번에 한국정보학회 등이 변리사를 선임하며 대응을 강화하기로 했다.이날 진용옥 한국어정보학회장은 "휴대폰 제조사들의 이해관계 때문에 국내 표준화가 지지부진한 가운데 중국이 한글 입력방식의 국제표준화를 추진한다는, 이른바 '한글공정' 논란이 일고 있다"며 "업계의 특허를 무효화하고 새로운 표준 제정에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에 따라 한국어정보학회 등은 새로 고안한 한글 입력방식 표준안 2건을 제시하며 중국, 북한과 함께 국제표준 승인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밝혔다.국내에서 휴대폰 한글입력 방식 표준화는 이미 15년 전부터 제기돼 논의를 해왔지만, 현재 관련 특허만 400건에 달하는데다 업계가 표준화 참여에 적극 나서지 않고 있어 진척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지난해 말 휴대폰 한글입력 방식의 표준화를 올해 말까지 마무리하겠다는 방침을 밝히고 방송통신위원회 및 업계와 조율을 해왔지만,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스마트폰 확산으로 PC의 자판과 같은 한글입력 방식이 퍼지고, 한국어정보학회 등이 새로운 표준안까지 제시하고 나서 오히려 소비자 혼란만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3-(2) 휴대폰 한글입력방식 표준화 급물살
각자 특허권을 주장하던 국내 휴대폰 한글입력방식 특허업체들이 잇따라 무상으로 특허기술을 개방하겠다는 의지를 밝혀 휴대형 디지털기기의 한글입력방식 표준화 논의가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한글입력기술인 ‘나랏글’의 특허권자인 KT와 ‘천지인’의 특허권자인 삼성전자가 기술사용 권한을 휴대폰 제조업체 등에 무상으로 제공하겠다는 뜻을 전달해 왔다고 21일 밝혔다.지난 18일에는 ‘천지인’의 또 다른 특허권자인 조관현 아이디엔 사장이 특허권을 정부에 기증할 의사를 밝힌 바 있어 이번 KT와 삼성전자가 합세하면 국내 휴대폰 한글입력방식 표준 제정과 국제표준화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정보기기 자판에 대한 국제표준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전화기 영문자판 표준과 국제표준화기구(ISO)의 PC 키보드 영문자판 표준이 제정돼 있다. 최근에는 중국이 자판 표준을 마련하겠다고 나서면서 국내에서도 한글입력방식 표준화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출저
http://naver.nanet.go.kr/SearchDetailView.do?cn=KINX2009005852&sysid=nhn
뉴스 및 기사 출저
파이낸셜 뉴스 http://www.fnnews.com
추천자료
원격교육학 개론 (by Otto Peters)
유아교육학 개론 - 심리학적 기초와 사회적 기초
언론학개론 -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인터넷 분석
구비문학개론-속담
2011년 1학기 사회복지개론 중간시험 핵심체크
국문학개론
생물의학개론 - Association of SNP and Disease[Lung Cancer]에 대해서
2014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멀티미디어 강의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유비쿼터스컴퓨팅개론 공통] 현재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안드로이드 롤리팝 운영체제의 특...
2015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멀티미디어 강의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6년 2학기 맞춤법과표준어 멀티미디어 강의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국문학개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국어국문학과 국문학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